공시생
-
[수질] 독성, LD50, LC50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11:44
Q. 생물다양성이 풍부해야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 높은 수준의 생물다양성은 보다 많은 생물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공급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② 특정한 종의 생존을 원활하게 하여, 생물우점도를 높이므로서 생물종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③ 다양한 동물이나 미생물의 생존을 가능케 하여 생태계의 항상성 기능을 높이게 된다. ④ 생물종이 지닌 생화학적 특징은 인간에게 많은 의약품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고, 또한 생리적 특성은 인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답: 2번 Q. 다음 중 생태계 원리 중 틀린 것은? ① 물질은 생태계 내에서 순환한다. ② 생물종이 다양할수록 생태계는 불안정하다. ③ 생태계는 먹고 먹히는 관계가 필요하다. ④ 에너지의 흐름은 일방적이다. ⑤ 생태계 구조는 환경에 변하면..
-
[수질] 분뇨, 폐수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11:44
Q. 분뇨 및 축산 폐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기생출 질환 ∨ ② 중금속 ③ 수인성 전염병 ④ 소화기계통 전염병 Q. 분뇨나 폐수의 처리 목표에 대해 기술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생물학적 안정화 ② 위생적 안정화 ∨ ③ 최종 생산물의 양적 증가 ④ 처분의 확실성 Q. 분뇨의 특성에 관한 다음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분과 뇨의 구성비는 대략 양적으로 보아 1:10정도이고 고형질의 비는 7:1정도이다. ② 분뇨의 비중은 1.02정도이고, 점도는 1.2~2.2(비점도)이다. ③ 협잡물의 함유량은 4~7%, 토사류는 0.3~0.5%이다. ∨ ④ 분은 VS의 12~20 %, 뇨는 80~90 %의 질소화합물을 가지며, 소화조 내의 알칼리도를 낮게 유지시켜 줌으로 pH변화가 크다. Q. 하..
-
[수질] 물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시행규칙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10:07
Q. 다음 중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오염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특정수질유해물질"이 아닌 것은?(2014해경9급) ① 수은과 그 화합물 ② 디클로로메탄 ③ 1,2 - 디클로로에탄 ④ 자일렌 답: 4번 Q. 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수질오염물질은? (2018서울시9급) - 살충제, 유기, 도자기, 염료, 의약품, 합금, 반도체 등의 제조에 사용됨 - 원소 상태보다는 화합물의 독성이 훨씬 큰 편임 - 만성 중독 시에는 피부가 검게 변하고 손과 발바닥이 딱딱해지며 모발과 손톱이 변질되고 신경염과 다리의 마비 증상이 생김 ① 비소 ② 카드뮴 ③ 구리 ④ 아연 답: 1번 ● 물환경보전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
[수질] 먹는물 수질기준, 먹는물검사규칙, 먹는물관리법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8
Q. 먹는물의 수질기준 중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국민안전처9급) ① 동은 1mg/L을 넘지 아니할 것 ② 알루미늄은 0.2mg/L를 넘지 아니할 것 ③ 색도는 5도를 넘지 아니할 것 ④ 아연은 0.3mg/L를 넘지 아니할 것 답: 4번 ● 먹는물관리법 제1조(목적) 이 법은 먹는물의 수질과 위생을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국민건강을 증진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책무)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이 질 좋은 먹는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합리적인 시책을 마련하고, 먹는물관련영업자에 대하여 알맞은 지도와 관리를 하여야 한다. ②먹는물관련영업자는 관계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질 좋은 먹는물을 안전하고 알맞게 공급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3조(정의) 이 ..
-
[수질] 해양오염, 유류사고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5
Q. 해양에서 기름이 유출될 경우 그 영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해양 용존 산소량 감소 ② 광선 투과율 감소 ③ 플랑크톤의 1차 생산성 증가 ④ 생물에 기름 냄새 발생 답: 3번 Q. 해양의 기름 제거에서 기계적인 방법인 폐쇄방법으로 처리한다면 다음 중 어느 것과 관계가 깊은가? ① boom설치 ② skimmer설치 ③ 화산재 사용 ④ 절연제 사용 답: 1번 Q. 바다에 폐유가 방출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적절한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oil fence boom을 설치하여 확산을 방지한다. ② 응집제를 투여하여 침전제거 한다. ③ glass wool를 사용하여 흡착제거 한다. ④ 유화제(Emulsifier)를 사용하여 분산시킨다. 답: 2번 Q. 해양에서 발생하는 유류오염에 대한 설명이 아닌..
-
[수질] 부영양화, 적조현상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4
Q.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에 따른 영향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플랑크톤 증식으로 호수가 오탁됨에 따라 관광가치가 하락된다. ② 활발한 광합성으로 인해 용존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므로 양식장으로 적지가 된다. ③ 상수원인 경우, 여과지를 폐쇄하여 물의 정화를 어렵게 한다. ④ 조류의 광합성 증가로 인해 유기물 생성이 증가하고, 호수 심층의 용존산소가 감소한다. 답: 2번 Q. 다음 중 부영양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과 관련이 없는 항목은? ① ADI ② TSI ③ AGP ④ SDI 답: 1번 Q. 호수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수 TSI에 적용하는 수질변수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총인 ② 총질소 ③ 클로로필-a ④ 투명도 답: 2번 Q. TSI 중 대표적인 것은? ① Carlson 지수 ② Morrill ..
-
[수질] 수심에 따른 , 계절에 따른 호소 성층현상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4
Q. 호소 및 저수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연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2018서울시9급) ① 호소의 성층현상은 수심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로 인해 수직방향으로 밀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층상으로 구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② 표수층은 호소 혹은 저수지의 최상부층을 말하며 대기와 집적 접촉하고 있으므로 산소 공급이 원활하고 태양광 직접 조사를 통해 조류의 광합성 작용이 활발히 일어난다 ③ 여르 이후 가을이 되면서 높아졌던 표수층의 온도가 4도까지 저하되면 물의 밀도가 최대가 되므로 연직방향의 밀도차에 의한 자연스러운 수직혼합현상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표수층의 풍부한 산소와 영양성분이 하층부로 전달된다 ④ 겨울이 되어 호소 및 저수지 수면층이 얼게 디면 물과 얼음의 밀도차에 의해 수면..
-
[수질] 자정작용, 자정계수, Whipple 4지대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4
Q. 하천의 자정작용은 통상 겨울보다 여름에 더 활발하다. 그 원인으로 알맞은 것은? ① 여름에는 겨울보다 햇빛이 강해 살균작용이 크다. ② 겨울에는 수면이 얼어서 공기가 물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율이 낮기 때문이다. ③ 여름에는 유량이 크므로 포기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④ 여름의 높은 온도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답: 4번 Q. 자정작용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① 화학적 자정작용인 산화과정이란 공기 중에서 흡수된 산소에 의해 유기물을 수중의 용존산소에 의해 보다 안정된 유기물이나 가스로 변화시킨다. ② 일반적으로 겨울보다는 여름에 자정작용이 크다. ③ 자정작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물리적 자정작용으로 희석, 확산, 혼합, 응집, 침전, 여과 등이 있다. ④ 생물학적 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