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독성, LD50, LC50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11:44
    728x90
    반응형

    Q. 생물다양성이 풍부해야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높은 수준의 생물다양성은 보다 많은 생물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공급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특정한 종의 생존을 원활하게 하여, 생물우점도를 높이므로서 생물종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다양한 동물이나 미생물의 생존을 가능케 하여 생태계의 항상성 기능을 높이게 된다.

    생물종이 지닌 생화학적 특징은 인간에게 많은 의약품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고, 또한 생리적 특성은 인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답: 2번 

    Q. 다음 중 생태계 원리 중 틀린 것은?

    물질은 생태계 내에서 순환한다.

    생물종이 다양할수록 생태계는 불안정하다.

    생태계는 먹고 먹히는 관계가 필요하다.

    에너지의 흐름은 일방적이다.

    생태계 구조는 환경에 변하면 변화한다.

     

    답: 2번

    생물종이 다양할수록 생태계는 안정해진다

    Q. 다음은 생물학적 오탁지표인 BIPBI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BI는 현미경적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고, BIP는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한다.

    BI는 수치가 작을수록, BIP는 수치가 클수록 오염이 심하다.

    BIP 산정식은 무색 생물 수 / 전 생물 수 × 100 으로 나타낸다.

    BI 산정식은 (2A+B)/(A+B+C) × 100 으로 나타낸다.

     

    답: 1번 

    Q. 다음 독성물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독성물질의 유해도는 TLm으로 나타낸다.

    TLm 이란 시험 생물 중 10%가 살아남는 농도를 말한다.

    침전이나 물고기의 흡수로 쉽게 감소되는 독성물질은 Continuous flow로 시험한다.

    시험하기 전에 대상 폐수에 대해 10~30일 동안 물고기를 적응시킨다.

     

    답: 1번 

     

    Q. 시험용 동물에 경구투여시 50%  정도가 사망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위는 무엇인가?(2012해경9급)

    ① LD50 

    ② LC50

    ③ TLm

    ④ TTL

     

    답: 1번 

    Q. 유해물질에 대한 생물학적 또는 독성 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위해성 평가에서 시험개체 50%를 사망시키는 독성물질의 양을 의미하는 용어는 LD50이다.

    ADI는 인체허용 1일 섭취량으로서 평균체중을 갖는 성인한명이 1일 중 섭취해도 독성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섭취 허용량이다.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은 물벼룩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기준으로 하며, 단위는 TU이다.

    BIP는 유해물질에 대한 생물학적 분석지표로서 0~100까지 나타내며 값이 클수록 오염이 심하다.

    48hr TLm48시간동안 경과하는 동안 물고기의 50%가 생존할 수 있는 농도로서 급성 안정농도는 48hr TLm×0.1이다.

     

    답: 2번 

    ADI = 화학물질의 안전섭취량을 나타내는 수치, 사람이 평생 동안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양

     

    Q. 수질이 수생 생물체에 미치는 독성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생태독성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생태독성값은 Toxic Unit(TU)로 표현하며 TU24시간 후 시험생물의 50%가 유영저해를 일으키는 반수영향농도로써 계산한다.

    TU 1이라는 것은 희석하지 않은 원수 test에서 반수가 영향을 받았다는 의미이다.

    TU 4라는 것은 원수:희석수를 1:4로 희석한 시료에서 시험생물의 50%가 영향을 받는 농도라는 의미이다.

    우리나라에서 생태독성에 사용하는 시험생물은 큰 물벼룩(Daphnia magna)이며 시료채취 후 36시간 이내에 독성시험을 실시해야한다.

     

    답: 3번 


    LD50

    - 일정조건 하에서 실험동물의 독성물질을 직접 경구투여 할 경우 실험동물의 50%가 치사할 때 용량

    - 독성시험 동물군의 50%가 죽는 화학물질의 양

    - 독성물질을 다양한 용량에 걸쳐 실험동물에 노출시켜 얻은 측정치를 통계적으로 유의적 검증을 거쳐 얻은 결과이다

    - 영향을 주는 인자: , 건강, 온도에 관련된 인자

     

    LC50: 실험동물 50%를 죽이게 하는 독성물질 농도

     

    TLm: 일정시간 노출 시 대상 생물의 50%가 생존하는 독성물질의 농도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

    - LOEF: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하 선량

    - NOEL: 어떤 반응도 일어나지 않을 최고 선량

    - ADI: 뚜렷한 위해도가 없을 듯한 인체 노출 준위로 RfD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사람이 평생 동안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양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