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분뇨, 폐수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11:44
    728x90
    반응형

    Q. 분뇨 및 축산 폐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기생출 질환

    ∨ ② 중금속

    수인성 전염병

    소화기계통 전염병

     

    Q. 분뇨나 폐수의 처리 목표에 대해 기술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생물학적 안정화

    위생적 안정화

    ∨ ③ 최종 생산물의 양적 증가

    처분의 확실성

     

    Q. 분뇨의 특성에 관한 다음 내용 중 틀린 것은?

    분과 뇨의 구성비는 대략 양적으로 보아 110정도이고 고형질의 비는 71정도이다.

    분뇨의 비중은 1.02정도이고, 점도는 1.2~2.2(비점도)이다.

    협잡물의 함유량은 4~7%, 토사류는 0.3~0.5%이다.

    ∨ ④ 분은 VS12~20 %, 뇨는 80~90 %의 질소화합물을 가지며, 소화조 내의 알칼리도를 낮게 유지시켜 줌으로 pH변화가 크다.

     

    Q.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비교하여 분뇨의 특성이 아닌 것은?

    질소의 농도가 높다.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한다.

    염분 농도가 높다.

    ∨④ 고액분리가 쉽다.

     

    Q. 분뇨의 혐기성 소화처리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소화 가스를 모아서 열원으로 이용한다.

    병원균이나 기생충란을 사멸시킨다.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④ 호기성처리방법에 비해 소화속도가 빠르다.

     

    Q. 분뇨 처리에 관한 사항이다. 맞지 않는 사항은?

    분뇨의 악취 발생은 주로 NH3H2S이다.

    ∨② 분뇨의 혐기성 소화 처리 방식은 호기성 소화 처리 방식에 비하여 소화 속도가 빠르다.

    분뇨의 혐기성 소화에서 중온 소화는 35±2이다.

    분뇨의 호기성 처리시 희석 배율은 20~30배가 적당하다.

     

    Q. 다음 내용은 분뇨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분뇨 정화조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부패조, 산화조, 소독조 순으로 되어있다.

    분뇨는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거분뇨 BOD는 평균농도 20000 ppm정도이다.

    ∨④ 수세식 변소에서 수거된 액체성 및 고체성 물질도 분뇨에 해당된다.

     


    ● 분뇨 

    - 고농도 다낵질을 함유하고 있어 고액분리가 어렵다

    - 질소화합물의 하량이 높다

    - 질소화합물의 형태는 NH4HCO2, (NH4)2CO3

    - 질소화합물 존재로 혐기성 소화시 pH 강하를 막아주는 완충작용을 한다

    - 분원성 대장균군은 온혈동물의 분에서 발견되는 대장균군의 90%이상을 차지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