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생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산화지법)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5. 09:37
Q. 다음은 산화지법과 활성슬러지법을 비교한 것이다. 옳은 것은? ∨① 산화지법은 부지면적이 크다. ② 산화지법은 수심이 깊을수록 좋다. ③ 산화지법은 공기를 다량으로 송입해야 한다. ④ 산화지법은 원생동물이 정화작용의 주체가 된다. Q.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그 방법의 원리가 잘못 설명된 것은? ① 회전원판법 - 미생물 부착성장형으로서 별도의 산소 공급장치가 없다. ② 접촉안정법 - 생물흡수(Biosorption)에 의하여 폐수 중의 유기물을 슬러지에 흡착시킨다. ③ 심층포기법 - U자형의 관을 이용하여 포기를 실시하며 주로 부상조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분리시킨다. ∨④ 산화지법 - 수심 1 m이하의 경우 호기성 세균의 산소 공급원은 조류와 균류이다 ● 산화지법 - 박테리아와 조류의 공생현상을 이용하여 생..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5. 09:15
Q. 생물학적처리에 관련된 개념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Anoxic denitrfication:용존산소 농도 0.5 ㎎/ℓ 이하에서 생물학적으로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하는 프로세스 ② Facultative process:용존산소 유무에 상관없이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 프로세스 ③ Nitrification:암모니아가 먼저 아질산성이 되고 이어서 질산염이 되는 2단계 생물학적 프로세스 ∨④ Nitrification:용존산소 존재 하에서 황산화 박테리아에 의해 이루어진다. Q. 다음의 공장폐수 중 생물학적 처리가 곤란한 폐수는? ① 식품공장의 폐수 ∨② 도금공장의 폐수 ③ 전분공장의 폐수 ④ 맥주제조공장의 폐수 Q. 다음은 생물학적 처리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주로 유기성 폐수..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산화,환원처리)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5. 09:14
Q. 크롬폐수에 관련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6가크롬을 3가로 환원시킨 후 수산화물로 침전시킨다. ∨② 3가크롬의 침전은 pH2~3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③ 낮은 pH에서 환원 처리 시에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④ 화장품 공장에서도 유출되기도 한다. Q. 크롬 함유폐수의 처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크롬 3가의 침전은 pH7.5~9.5에서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다. ∨② 6가 크롬의 환원은 pH4~5에서 가장 활발하다. ③ 6가 크롬은 황색이며, 3가크롬으로 환원되면 청록색으로 변화한다. ④ 6가크롬의 환원제로는 FeSO4, Na2SO3, NaHSO3 등이 있다. Q. Cr⁶⁺은 Cr³⁺보다 독성이 매우 강하고, 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 Cr⁶⁺를 Cr³⁺로 환원하는데 이용할..
-
[한국사] 년도별 정리(고조선 ~ 통일신라)공무원/한국사 2021. 11. 5. 09:08
[BC 2333] 단군왕검이 고조선 건국 [BC 4세기경] 라오시를 경계로 연나라와 대립할 만큼 단군왕검이 커짐 [BC 3세기초] 연나라 장수 진개가 고조선을 침입함 [BC 3세기경] 고조선의 국력이 높아짐 [BC 2세기초] 준왕 시기에 연나라 위만이 1천여명 식솔을 데리고 고조선으로 망명 [BC 194] 위만이 준왕을 축출하고 남하하여 마한을 건국하여 진왕이 되고 위만조선을 성립함 [BC 128] 한이 예에 창해군을 설치함 [BC 108] 우거왕이 한나라의 사신 섭하를 살해해서 한 무제가 고조선으로 침략해서 패수 전투에서는 고조선이 승리하고 전쟁이 1년동안 장기화 되면서 지배층이 내분됨-> 우거왕이 피살되고 왕검성은 함락되면서 고조선은 멸망하고 성기 장군이 최후 항전을 했다 -> 한 군현(한4군-낙랑,..
-
[수질] 수질오염 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 (소독)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4. 12:30
Q 염소소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염소의 가수분해에 의해 유리잔류염소가 생성되며 이 유리잔류염소에 의해 살균효과가 발생한다. ② 염소소독의 대표적인 단점은 THMs와 HAAs와 같은 발암물질이 부산물로 생성된다는 것이다. ③ 염소소독으로는 Virus를 완전제거하지 못한다. ∨④ 잔류염소의 소독잔류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파과점까지 염소를 투여하여야 한다. Q. 다음 중 염소소독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유리잔류염소 농도가 높을수록 접촉시간이 길수록, 수온이 높을수록 소독부산물의 생성량이 증가한다. ∨②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길수록, 주입농도가 높을수록, pH가 높을수록 살균력이 증가한다. ③ 부활현상(After growth)이란 염소, 표백분 등으로 소독할 때 일단 사멸되었..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해수의 담수화기술)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4. 12:27
Q. 해수 담수화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증발법:역삼투나 전기투석과는 달리 에너지요구량이 처리수중의 염의 농도와 비교적 무관하다. ∨ ② 전기투석법:기전력을 추진력으로 물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선택적막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 역삼투법 ③ 역삼투법:반투막과 정수압을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순수한 물을 분리하는 방법. ④ 냉동법:해수를 빙점(약 -1.8℃)이하로 냉각시킨 얼음결정을 세정한 후 녹여 담수를 얻는 방법 Q. 해수의 담수화는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앟고 안정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에 다량의 농축해수 방류로 인한 생태계의 악영향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음 중 해수의 담수화 방식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2016국민안전처9급) ∨① 막분리법-투과기화법 ② 증..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 (연수화)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4. 12:25
Q. 연수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Mg2+의 제거가 Ca2+의 제거보다 더 어렵다. ② Lime-soda방법은 이온교환보다 저렴하고 실용적이다. ∨③ 비탄산경도는 탄산경도를 제거한 후 제거한다 ④ 비탄산경도 제거에는 pH가 중성범위에 있어야 한다. ⑤ 경도는 완전제거보다 필요량만 제거하는 것이 적합하다. Q. 경수를 연수로 연수화시키는데 이용되지 않는 방법은? ∨① Zeolite법 ② 이온교환수지법 ③ 석회소다법 ④ 차아염소산 소다법 Q. 물의 연수화를 위한 처리법 중 Zeollite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영구경도의 제거효과를 가진다. ②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③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다. ∨④ 현탁물질을 함유한 수처리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 경도 경도는 물의 세기 정도를 나타내는 ..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 (흡착, 이온교환)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4. 12:22
Q. 가스 중 특정성분을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켜 분리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서 가장거리가 먼 것은? ① 활성화에너지가 필요하며 흡착열도 비교적 큰 화학적 흡착은 비가역적이다 ② 입자들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을 주로 이용하는 흡착법은 물리적 흡착이라 하며, 이는 비교적 흡착속도도 빠르다. ∨③ 물리적 흡착은 흡착열이 비교적 작지만,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온도가 낮을수록 흡착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④ 임계온도이하의 모든 기체를 흡착하기 때문에 물질적 흡착은 비선택성 흡착이라 한다. Q. 흡착에 의한 유해가스의 처리에 있어 파과점을 지나 돌파현상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배출가스의 양이 갑자기 감소한다. ② 배출가스의 양이 갑자기 증가한다. ③ 배출가스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