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생
-
[수질] 수질환경미생물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3
Q. 다음 중 조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규조류는 광합성 생물로서 수중에 존재하는 실리카를 추출하여 세포골격을 만들며 수중동물의 먹이그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② 녹조류는 대체로 여름철에 가장 풍부하며, 선명한 초록색을 띠는 이유는 엽록소 a와 b, 크산토필 (xanthophyll),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등의 광합성 색소가 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③ 남조류는 bacteria에 가까우며, 내부기관 미분화되어 있고 단세포, 또는 세포가 여러개 집합된 선상체를 형성하거나 한천질 피막에 묻힌 균체를 형성한다. ④ 적조란 해수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조류가 단시간내에 급격히 증식하여 물의 색을 변하게 하는 현상인데, 마지막단계에서 규조류가 급성장한다. 답: 4번 Q. 환경미생물에..
-
[수질] 알칼리도, 알칼리도 계산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0:00
Q. 알칼리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총알킬리도는 pH를 8.3까지 낮추는데 소모된 산의 양을 CaCO3로 환산한 양이다. ② 응집처리시 응집제를 사용하면 알칼리도가 감소한다. ③ 알칼리도가 낮은 물은 철관을 부식시키기 쉽다. ④ 산이 유입될 때 이를 중화시킬수 있는 능력의 척도이다. 답: 1번 Q. 알칼리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산이 유입될 때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의 척도이다. ② 알칼리도는 물에 알칼리를 주입, 소모된 알칼리물질의 양을 환산한 값이다. ③ 메틸오렌지 알칼리도와 총알칼리도는 같은 의미이다. ④ 알칼리도 유발물질로는 수산화물, 중탄산염, 탄산염 등이 있다. 답: 2번 Q. 알카리도에 관한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총알카리도는 M-알카리도와 P-알카리도를 ..
-
[수질] DO 용존산소량, 윙클러 아지드법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1. 08:49
Q. 수중의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은 조건으로 옳은 것은? ① 물의 온도가 높은 것 보다 낮은 쪽이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② 수중 유기물양이 많은 쪽이 적은 쪽보다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③ 같은 온도에서 염분이 많은 물이 적은 물보다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④ 재폭기계수(k2)가 큰 물보다 작은 물이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답: 1번 Q. 포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산소의 전달속도는 기포가 작을수록 크게 된다. ② 산소의 전달속도는 교반강도가 클수록 크게 된다. ③ 산소의 전달속도는 수중의 용존산소농도가 높을수록 크게 된다. ④ 산소의 전달속도는 공기 중의 산소 분압이 작게 되면 감소한다. 답: 3번 Q. 수중의 산소전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수온이 높아지면 재폭기 계수가 ..
-
[수질] COD, NOD, TOC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1. 08:48
Q. 다음 중 COD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COD는 물속의 총산화성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산화제로서는 황산과 염산을 사용한다. ② 펄프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통상적으로 COD가 BOD보다 더 높은 편이다. ③ 우리나라에서는 COD측정을 위해 중크롬산칼륨을 사용한다. ④ COD의 검정에 있어 염화물이온의 마스킹제로서 첨가하는 물질은 염화구리이다. ⑤ COD에는 생물이 분해하지 못하는 유기물도 포함되므로 단점이 되고 있다. 답: 2번 Q. 다음 중 CO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COD로 생물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의 함량을 추정할 수 있다. ② 산화제를 촉매로 사용하여 산화할 때 감소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한다. ③ BOD는 측정하는데 5일이 걸리는 반면 COD는 2시간 정도면 측정이 ..
-
[헌법] 헌법전문(前文)공무원/헌법 2021. 11. 1. 00:01
1. 헌법전문(前文)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①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 ✓ -> 대한국민 ②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 ✳ ▷ ‘헌법 전문에 기재된 3․1정신’은 우리나라 헌법의 연혁적․ 이념적 기초로서 헌법이나 법률해석에서의 해석기준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지만, 그에 기하여 곧바로 국민의 개별적 기본권성을 도출해낼 수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헌법소원의 대상인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에 해당하지 아니한다(2021지방직7급) (✳2021경찰승진) (2021지방직7급) ▷ 헌법 전문에서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선언하고 있는바, 국가는 일제로부터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하여 공헌한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하여는 응분의 예우를..
-
[수질] 점오염원, 비점오염원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0. 30. 00:07
Q. 오염원 형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점오염원은 관이나 지점을 통하여 유입된다. ② 생활하수나 산업폐수는 점오염원에 속한다. ③ 비점오염원은 분산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④ 비점오염원은 차집하여 종말처리시설로 처리한다. ⑤ 비점오염원이 총 오염부하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기도 한다. 답: 4번 Q. 다음 중 비점오염원(Point Source)으로 옳은 것은? ① 가정하수 ② 공장폐수 ③ 공단폐수 ④ 농경지 유출수 답: 4번 Q. 다음 중 비점오염원(point sour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보다 넓은 면적에 분포되어 있다. ② 토지이용이 고도화함이 따라 비점오염원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③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에 비해 차집이 어렵고 계절에 따른 변..
-
[수질] 지하수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0. 29. 12:22
Q. 지하수의 특징이라 할 수 없는 것은? ① 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가 주된 생물작용이다. ② 자연 및 인위의 국지적 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기 쉽다. ③ 분해성 유기물질이 풍부한 토양을 통과하게 되면 물은 유기물의 분해산물의 탄산가스를 용해하여 산성이 된다. ④ 비교적 낮은 곳의 지하수일수록 지층과의 접촉시간이 길어 경도가 높다. 답: 4번 Q. 지하수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속이 적고 수온 변화가 적다. ② 지리적 환경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③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가 주된 생물작용이다 ④ 지표수보다 용존 염류량이 다소 많다. 답: 2번 Q. 지하수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지하수는 빗물과 지표수가 땅속에 들어가 대수층에 고인 것이며, 용천수와 복류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