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 점오염원, 비점오염원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0. 30. 00:07728x90반응형
Q. 오염원 형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점오염원은 관이나 지점을 통하여 유입된다.
② 생활하수나 산업폐수는 점오염원에 속한다.
③ 비점오염원은 분산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④ 비점오염원은 차집하여 종말처리시설로 처리한다.
⑤ 비점오염원이 총 오염부하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기도 한다.
답: 4번
Q. 다음 중 비점오염원(Point Source)으로 옳은 것은?
① 가정하수
② 공장폐수
③ 공단폐수
④ 농경지 유출수
답: 4번
Q. 다음 중 비점오염원(point sour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보다 넓은 면적에 분포되어 있다.
② 토지이용이 고도화함이 따라 비점오염원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③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에 비해 차집이 어렵고 계절에 따른 변하가 심하다.
④ 토지의 불투수성이 클수록 비점오염원 배출량이 감소한다.
답: 4번
에스비이앤이 ● 점오염원
- 오염배출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점
- 관이나 지점을 통하여 유입된다.
- 자연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연중 배출량의 차이가 일정함
- 가정하수, 공장폐수, 공단폐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 수질모델링은 점오염원을 기준으로 한다.
● 비점오염원
-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배출원
-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특성이 있다
- 광산, 벌목장, 임야 등이 비점오염원에 속하며 오염물질의 차집이 어렵다
- 오염물질의 유입이 일시적이기 때문에 점오염원에 비해 관리가 어렵다.
-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보다 넓은 면적에 분포되어 있다.
- 토지이용이 고도화함이 따라 비점오염원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에 비해 차집이 어렵고 계절에 따른 변하가 심하다.
- 농약, 비료, 합성세제
▶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① 자연형 시설
- 인공습지
- 침투시설
- 식생형 시설
- 저류시설
② 장치형시설
- 여과형시설
- 소용돌이형 시설
- 스크린형 시설
- 응집, 침전 처리형 시설
-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 비점오염원관리 대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 관리목표, 관리목표 달성시간, 달성평가
- 관리대상 수질오염물질의 발생량
- 수질오염물질의 발생예방 및 저감방안
728x90반응형'환경직공무원 > 수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 COD, NOD, TOC (0) 2021.11.01 [수질] BOD (0) 2021.10.30 [수질] 지하수 (0) 2021.10.29 [수질] 해수 (0) 2021.10.29 [수질] 물, 지표수 (0) 202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