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생
-
[대기] 굴뚝 연기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10:25
Q. 굴뚝에서 배출되어지는 연기의 모양과 대기상태를 설명한 것 중 환상형에 관하여 맞는 것은? ① 상층이 불안정하고 하층이 안정할 경우에 나타나며, 연기가 서서히 확산된다. ② 전체 대기층이 중립일 경우에 나타나며, 연기모양의 요동이 적은 형태이다. ③ 전체 대기층이 강한 안정 시에 나타나며, 지상에는 오염물질의 영향이 매우 크다. ④ 전체 대기층이 불안정할 경우에 나타나며, 연기의 모양이 상하로 요동이 심하며, 순간적으로 지상에 고농도가 될 수 있다. 답: 4번 Q. 굴뚝연기의 모양 중 원추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① 대기안정도가 불안정한 조건에서 발생된다. ② 복사역전층 내에 배출원이 존재할 때 발생한다. ③ 굴뚝 배출원에 의한 지표오염도가 가장 높은 plume 형태이다. ④ 구름이 많이 낀..
-
[대기] 대기확산 모델: 상자모델, 가우시안모델, 분산모델, 수용모델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08:58
Q. 대기오염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상자모델’의 이론을 전개하기 위한 가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고려되는 공간에서 오염물의 농도는 균일하다. ② 오염물 방출원이 지면전역에 균등히 분포되어 있다. ③ 오염원은 방출과 동시에 균등하게 혼합된다. ④ 오염물의 분해는 0차반응에 의한다. 답: 4번 Q. ‘분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할 수 있다. ② 2차 오염물의 확인이 가능하다. ③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④ 새로운 오염원이 지역내에 생길 때, 매번 재평가를 하여야 한다. 답: 3번 Q. 대기예측모델이 아닌 것은? ① Vollenweider 모델 ② Gaussian Plume 모델 ③ Gaussian Puff 모델 ④ Box 모델 ⑤ L..
-
[대기] 기온역전의 종류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08:58
Q. 다음 중 기온역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역전이란 상공으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② 복사역전은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며, LA스모그사건의 원인이었다. ③ 연기가 배출되는 상당한 높이까지 강안정상태가 유지되는 기온역전일 경우 배출되는 연기의 형태는 부채형이 되고 굴뚝부근의 지표에서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다. ④ 세계적인 오염사건의 공통인자로 기온역전을 들 수 있다. 답: 2번 LA스모그는 침강역전으로 일어난다 Q. 침강역전(subsidence inversion)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하늘이 맑고 바람이 적을 때 지표근처의 공기가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서 침강기류를 형성한다. ② 고기압 영역의 공기가 하강하면서 기온이 단열변화로 승온되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
[대기] 바람, 바람의 종류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08:57
Q. 바람에 관여하는 힘 중 ‘전향력’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지구의 자전현상에 의해서 생기는 수평방향으로의 가상적인 힘을 말한다. ② 바람의 근본원인이 된다. ③ 극지방에서 최대가 되고 적도지방에서 최소가 된다. ④ 바람의 방향만을 변화시킬 뿐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답: 2번 Q. 바람에 관여하는 힘 중 “전향력”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지구의 자전현상에 의해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한다. ② 북반구에서는 바람방향의 우측 직각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코리올리의 힘이라고도 한다. ④ 경도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답: 4번 Q. 국지풍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육지와 바다는 서로 다른 열적 성질 때문에 주간에는 바다로부터, 야간에는 육지로부터 바람이 ..
-
[대기] 대기 안정도 분류방법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7. 14:20
Q. 리차드슨 수(Richardson Number)와 관련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대기 난류확산의 유형을 열적대류와 역학적 대류로 보았다. ② 바람의 수직분포, 난류의 성질, 대기의 안정도 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③ 리차드슨 수는 무차원이다. ④ 기온역전시 리차드슨 수는 음의 값을 갖는다. ⑤ 리차드슨 수가 0일 때는 역학적 대류만 존재한다. 답: 4번 Q. 리차드슨수(Richardson number)의 크기와 대기의 혼합간의 관계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R=0:대류에 의한 혼합만 존재한다 ② R〈 -0.04:대류에 의한 혼합이 기계적 혼합을 지배한다. ③ 0.25〈 R:수직방향의 혼합이 없다. ④ -0.03〈 R〈 0:기계적난류와 대류가 존재하나 기계적 난류가 혼합을 주로 일으킨다. 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