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기] 바람, 바람의 종류
    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8. 08:57
    728x90
    반응형

    Q. 바람에 관여하는 힘 중 ‘전향력’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지구의 자전현상에 의해서 생기는 수평방향으로의 가상적인 힘을 말한다.
    ② 바람의 근본원인이 된다.
    ③ 극지방에서 최대가 되고 적도지방에서 최소가 된다.
    ④ 바람의 방향만을 변화시킬 뿐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답: 2번

    Q. 바람에 관여하는 힘 중 “전향력”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① 지구의 자전현상에 의해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한다.
    ② 북반구에서는 바람방향의 우측 직각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코리올리의 힘이라고도 한다.
    ④ 경도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답: 4번


    Q. 국지풍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육지와 바다는 서로 다른 열적 성질 때문에 주간에는 바다로부터, 야간에는 육지로부터 바람이 부는 해륙풍이 생겨난다.
    ② 해륙풍이 장기간 지속되지 않을 때는 국지순환의 폐쇄로 해안가 산업지역에 대기오염물질의 축적이 일어난다.
    ③ 산악지형인 경우, 야간에는 상부에서부터 장파복사냉각이 시작되어 중력에 의한 하강기류가 생기며 이를 산풍이라 한다.
    ④ 바람장미를 이용하여 특정지역 오염물질의 대체적인 확산패턴을 이해할 수 있다.

    답: 2번

    Q. 다음 그림은 16등급으로 구분된 오산지역의 풍향별 발생빈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가장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 풍향은?

    답: 북북서풍


    ● 바람
    - 공기의 움직임 중 수평방향으로 움직임

    ● 바람을 일으키는 힘


    ① 기압경도력


    - 공기의 흐름을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향하도록 하는 힘
    - 바람 발생의 근본원인이 됨
    - 기압차에 비례하고 등압선의 간격에 반비례한다

    ② 전향력=코리올리의 힘


    - 지구의 자전현상에 의해서 생기는 수평방향으로의 가상적인 힘
    - 극지방에서 최대가 되고 적도지방에서 최소가 된다
    - 바람의 방향만을 변화시킬 뿐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북반구에서는 바람방향의 우측 직각방향으로 작용하고 남반구에서는 좌측 직각방향으로 작용함
    - 지구자전에 의해 생기는 가속도를 전향가속도라고 함

    ③ 마찰력: 지표에서 풍속에 비례하며 진행방향의 반대로 작용하는 힘

    ④ 원심력: 곡선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힘

    ● 풍배도(바람장미)


    - 방위: 8방위, 16방위
    - 풍향: 바람이 불어오는 쪽 방향, 가장 긴 막대가 주풍
    - 지속도(방향량): 어떤 일정한 기간에 어떤 방햐으이 바람이 얼마동안 불었는가의 발생빈도
    - 풍속: 막대기의 굵기로 구분, 0.2m/sec이하는 무풍으로 백분율로 표지한다


    ● 바람의 종류


    ① 경도풍


    - 기압경도력, 전향력,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어 부는 바람이다.
    - 등압선이 원형인 경우 수평방향의 기압경도력과 전향력, 원심력이 균형을 이룰 때 등압선을 따라 부는 바람
    -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저기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고기압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불고 남반구에서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 북반구에서 고기압 중심부에서 아래로 침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부는데 이를 역선풍이라 함
    - 북반구에서 저기압 중심부에서 위로 상승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부는데 이를 선풍이라 함
    -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 고공풍에 속한다

    ② 지균풍


    - 마찰을 무시하며, 코리올리힘과 기압경도력만이 작용한다.
    -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의 힘이 평형이 될 때 등압선에 평행하게 직선운동하는 수평의 바람
    - 북반구에서는 왼쪽에서 저기압을 두고 오른쪽에서 고기압을 두고 평행하게 부는 바람이다.
    - 마찰력이 없는 고공, 최소 500~600m 상공에서 나타나므로 고공풍이라고도 함

    ③ 지상풍


    - 기압경도력, 마찰력, 전향력이 세 힘으로 인해 부는 바람
    - 지상풍은 마찰이 발생하는 지표부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마찰이 커질수록 지상풍은 등압선과 이루는 각이 커진다
    - 해상보다 육지에서 지상풍과 등압선을 이루는 각이 더 크다


    ④ 국지풍


    - 육지와 바다는 서로 다른 열적 성질 때문에 주간에는 바다로부터, 야간에는 육지로부터 바람이 부는 해륙풍이 생겨난다.
    - 산악지형인 경우, 야간에는 상부에서부터 장파복사냉각이 시작되어 중력에 의한 하강기류가 생기며 이를 산풍이라 한다.
    - 바람장미를 이용하여 특정지역 오염물질의 대체적인 확산패턴을 이해할 수 있다.
    - 국지풍의 종류에는 해륙풍, 산곡풍, 휀풍, 전원풍이 있다

    ⑤ 전원풍


    - 열섬효과로 인하여 도시 중심부가 주위보다 고온이 되어 도시 중심부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도시 주위의 시골에서 도시로 부는 바람

    ⑥ 산곡풍


    - 일출시 산 정상은 받는 열이 커서 기류는 산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를 곡풍이라 한다
    - 야간에는 상부에서부터 냉각이 시작되어 중력에 의한 하강기류가 생기고 이를 산풍이라 한다
    - 산풍은 경사면 -> 계곡 -> 주계곡으로 수렴하면서 풍속이 가속화되기 때문에 낮에 부는 곡풍보다 강하다

    ⑦ 휀풍


    - 고도가 높은 산맥에 직각으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풍상측의 습한바람이 산맥의 풍하 쪽으로 넘어가면서 고온, 건조한 바람이 부는 현상
    - 알프스산맥, 로키산맥의 치누크, 태백산맥 서쪽에서 부는 높새바람


    ⑧ 해륙풍


    - 바다와 육지의 비열차에 의해 부는 바람
    - 해풍: 낮에 육지가 빨리 가열되면서 공기가 상승하야 바다 -> 육지로 부는 바람
    - 육풍: 밤에 육지 -> 바람
    - 낮에 바다와 육지의 기온차가 커 일반적으로 해퓽이 육풍보다 풍속이 강하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