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5 경기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0번 기출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6. 16:43
    728x90
    반응형

    1. 화재조사 보고규정에 의한 화재의 정의로 옳은 것?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 )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 )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① 과실 - 화학

    ② 과실 - 물리

    ③ 고의 - 화학

    ④ 고의 - 물리

     

    답: 3번 

    풀이 

    화재의 정의: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 

     

    2. 스프링클러 설명 틀린 것?

    ① 스프링클러 설비는 복구가 용이하고 수손피해가 크며 설치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② 준비작동식은 동결우려가 없어서 차고 주차장에 적합하다.

    ③ 일제살수식 일제개방밸브를 열면 작동하며 일제히 소화되며 초기 소화에 적합하다.

    ④ 건식스프링클러는 1차측에는 가압수로 되어있고, 2차측은 대기압 또는 저압이 충전되어있다

     

    답: 4번 

    건식스프링클러는 1차측은 가압수, 2차측은 압축공기로 충전되어있다 


    3. 중앙통제단 부서별 임무에서 구조진압반, 현장통제반, 응급의료반은 어느 부서에 속하는 가?

    ① 현장지휘대 ② 자원지원부 ③ 대응계획부 ④ 긴급복구부

     

    답: 1번 

    풀이 

    - 대응계획부: 상황보고반, 계획지원반, 정보지원반, 신속기동요원

    - 자원지원부: 수송지언반, 통신지원반, 자원지원반(자원지원요원)

    - 현장지휘대 : 구조진압반(통신지휘요원), 현장통제반(경찰관서에서 파견된 연락관), 응급의료반(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파견된 연락관) ☆

    - 긴급복구부 : 긴급구호반, 긴급시설복구반, 긴급오염통제반 


    4.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① 재난사태 선포 심의

    ② 특별재난사태 선포 심의

    ③ 재난 및 사고의 예방사업 추진에 관한사항 심의

    ④ 국가기반시설의 지정에 관한 사항의 심의

     

    답: 4번 

    풀이 

    중앙안전관리위원회 (9조)

    ①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중앙안전관리위원회(중앙위원회)를 둔다 

    1.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중요 정책에 관한 사항 

    2.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 관한 사항 (지방자치X) 

    2의2. 재난 및 안전관리 사업 관련 중기사업계획서, 투자우선순위 의견 및 예산요구서에 관한 사항

    3.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수립ㆍ시행하는 계획, 점검ㆍ검사, 교육ㆍ훈련, 평가 등 재난 및 안전관리업무의 조정에 관한 사항 

    3의2. 안전기준관리에 관한 사항

    4. 재난사태의 선포에 관한 사항 

    5. 특별재난지역의 선포에 관한 사항 

    6.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이를 수습하기 위한 관계 기관 간 협력에 관한 중요 사항

    6의2. 재난안전의무보험의 관리ㆍ운용 등에 관한 사항

    7.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시행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재난 및 사고의 예방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8. 그 밖에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5. 수계와 가스계로 분류할 때 가스계 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①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② 공기포소화약제

    ③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④ 분말소화약제

     

    답: 2번 

    풀이 


    6. 재난현장에서는 시·군·구 긴급구조통제단장이 긴급구조활동을 지휘한다. 다음 중 긴급구조통제단장이 하는 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재난현장의 인명 탐색.구조

    ② 재난피해상황조사

    ③ 긴급구조기관 및 긴급구조지원기관의 인력. 장비 배치 운용

    ④ 추가 재난방지 응급조치

     

    답: 2번 

    풀이 

     재난현장에서는 시ㆍ군ㆍ구긴급구조통제단장이 긴급구조활동을 지휘한다. 다만, 치안활동과 관련된 사항은 관할 경찰관서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②  현장지휘

    • 재난현장에서 인명의 탐색ㆍ구조 
    • 긴급구조기관 및 긴급구조지원기관의 인력ㆍ장비의 배치와 운용  (재난구조기관X)
    • 추가 재난의 방지를 위한 응급조치 
    • 긴급구조지원기관 및 자원봉사자 등에 대한 임무의 부여 
    • 사상자의 응급처치 및 의료기관으로의 이송 
    • 긴급구조에 필요한 물자의 관리
    • 현장접근 통제, 현장 주변의 교통정리, 그 밖에 긴급구조활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③ 시ㆍ도긴급구조통제단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제1항에도 불구하고 직접 현장지휘를 할 수 있다.


    7. 담양 펜션화재사건에서 삼겹살 구울 때 불판에 불을끄려고 물을 부었더니 화가 확대되었다. 이와 관련된 현상은 무엇인가?

    ① 백드래프트 ② 플래시오버 ③ 슬롭오버 ④ 롤오버

     

    답: 3번 

    풀이 

    - 슬롭오버: 중질유 탱크의 액 표면온도가 물의 비점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포나 소화용수를 방사했을때 증발된 수증기와 함께 유류가 급격한 부피팽창으로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

    - 롤오버: 화재초기에 가연성물질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천장 부근에 축적되고 이 축적된 가연성 증기가 인화점에 도달해 연소하는 현상

    - 플래시오버: 일정공간 안에 가연성 가스가 축적된 상태에서 폭발적으로 실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현상 

    - 백드래프트: 실내의 산소가 부족한 불완전한 훈소 상태에서 갑작스러운 개구부 개방으로 급격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져 폭발현상을 일으키는 것


    8. 가연물이 점화원 없이 가열된 열만으로 발화할 수 있는 최저온도는?

    ① 착화점 ② 인화점 ③ 연소점 ④ 연소범위

     

    답: 1번 

    풀이 

    - 인화점: 외부 에너지(점화원)에 의해 발화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 

    - 연소점: 가연물에 점화원을 제거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소할 수 있는 온도 

    - 착화점: 착화원이 없는 상태에서 가연성 물질 자체의 열로서 공기 또는 산소 중에서 가열했을때 발화되는 최저온도


    9. 기체의 연소형태가 아닌것은?

    ① 확산연소 ② 폭발연소 ③ 증발연소 ④ 예혼합연소

     

    답: 3번 


    10. 분진폭발의 특징이 아닌 것?

    ① 가연성 미분태 부유중인 것 일수록 폭발하기 쉽다

    ② 폭발입자가 비산하여 부딪히는 가연물은 탄화가 발생하며, 인체에 닿으면 화상위험이 있다

    ③ 연소속도와 폭발압력은 가스폭발에 비하여 작으나 연소시간이 길고 발생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파괴력과 연소정도가 크다

    ④ 수분이 많을수록 위험성이 적어지고 마그네슘,알루미늄분을 함유하면 폭발성이 적어진다.

     

    답: 4번 

    풀이 

    마그네슘, 알루미늄분을 함유하면 폭발성이 커진다 

     

    분진 폭발(dust explosion) 

    - 공기 중에 잘 혼합되어 있는 분진이 에너지를 받아 분해되면서 발생한 열과 압력이 분진운 전체로 전이되어 갑자기 연소, 폭발하는 현상

    -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을 때에 어떤 착화원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  

    - 가스폭발에 비해 연소속도나 폭발 압력이 작으나 연소시간이 길고 발생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파괴력과 연소정도가 크다.

    - 과거 탄광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근 곡물과 연료 저장설비나 금속공정, 식료품 공정, 제약 공정 등 여러 분야 에서도 발생한다

    - 분진 폭발 요소에는 가연물, 발화, 개폐정도, 분산, 산소가 있으며, 이를 통틀어 분진 폭발 오각형이라고 부른다

    - 분진 폭발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 밀가루, 석탄가루, 먼지, 전분, 플라스틱 분말, 금속분 (Al, Mg, Zn, Ti 등) 등이다.

    - 분진폭발이 일어나지 않은 물질: 시멘트, 석회석, 탄산칼슘, 생석회,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것 

     

    (1) 분진폭발의 조건  

    - 가연성분진

    - 미분상태의 분진

    - 지연성가스(공기)

    - 점화원 존재

    - 밀폐된 공간

    - 분진 농도가 폭발범위 이내인 것

     

    (2) 분진폭발의 영향인자 

    ① 분진의 화학적 조성 및 성질 

    -  분진의 휘발성이 크고, 발열량이 많고, 회분함유량이 적고, 열분해가 용이하며, 탄화수소계 기체의 반응속도가 클수록 폭발력이 크다 

    - 분진의 화학구조에 OH, COOH, NO2 등이 많으면 폭발위험을 증가시키고, Cl, Br, F 등의 할로겐족 원소가 많으면 폭발위험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② 입자의 크기 및 밀도 

    - 입자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열축적이 용이하여 폭발성이 크다 

    - 분진의 표면적이 입자체적에 비하여 클수록 폭발이 용이하다 

    - 분진의 밀도, 직경이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지므로 폭발성이 크다

    S = Φ/ρd (S :비표면적, Φ :형상계수, ρ :입자의 밀도, d :입자의 직경)

     

    ③ 분진의 농도

    - 분진의 농도가 양론조성농도보다 약간 높을 때, 폭발속도가 최대가 된다 

    - 최소폭발농도는 유기성 분진이 금속성 분진보다 매우 낮다(유기성 분진이 더 위 험함)

     

    ④ 입자의 형상 및 표면 상태 

    - 분진의 입자가 구상 < 침상 < 평편상 으로 침상입자가 비표면적이 커서 더 위험하다  

    - 입자 표면이 매끄럽고 깨끗할수록 활성이 커서 더 위험하다

     

    ⑤ 분진의 온도 

    - 초기온도가 높을수록 MIE는 감소되며, 약1,000℃정도에서 0.088mJ로 수렴된다

     

    ⑥ 수분 함유량

    - 수분 함유량이 적을수록 폭발성이 급격히 증가된다 

    - 수분의 영향

    ㉠ 분진의 부유성 억제

    ㉡ 폭발 시 발생열을 흡수

    ㉢ 불활성화(수증기가 가연성 혼합기의 농도를 저하시킴)

    ㉣ 점화에너지의 흡수

    ㉤ 정전기 방지(가습)

     

    ⑦ 산소농도 

    - 산소농도가 낮을수록 폭발성은 감소된다 

    -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산소농도를 낮춘다

     

    (3) 분진폭발의 특징 (VS 가스폭발) 

    - 발화 에너지와 발생에너지가 크다 

    - CO 발생량이 많다 : 불완전 연소를 일으키기 쉬우며, 가스 중독 위험이 크다 

    - 파괴력이 크다 : 연소 시간이 길고, 발생 에너지가 크기 때문이다 

    - 최초 폭발압력이 작다 

    - 연소속도가 늦다 : 발화 에너지가 크기 때문이다 

    - 폭발압력이 작다 

    - 최소발화에너지가 크다 

    - 1차 분진폭발의 영향으로 주위의 분진을 날리게 해서 2차, 3차 폭발로 파급하면서 피해가 커진다 

    - 심한 그을음, 심한 탄화, 인체에 심한 화상, 탄화수소 양이 많다

     

    (4) 분진폭발 방지대책

    ① 물적조건에 의한 예방

    ㉠ 불활성화(CO2, N2, H2O)

    ㉡ 부유성 억제(가연물 관리)

    ㉢ 분진의 퇴적, 비산의 우려가 있는 부분의 제거

     

    ② 에너지조건에 의한 예방

    ㉠ 마찰, 충격 등의 기계적 열원의 제거

    ㉡ 열면의 제어(전기기기의 방폭화)

    ㉢ 분진 내의 훈소 여부 감시, 제어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