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1 서울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6. 12:38
    728x90
    반응형

    1. 식용유화재가 발생한 곳에 식용유를 첨가해서 소화를 했다면 다음 중 적합한 소화는 무엇인가?

    ① 희석소화 ② 질식소화 ③ 냉각소화 ④ 부촉매소화 

     

    답: 3번 

    풀이 

    냉각소화 

    - 점화원, 점화에너지를 차단하는 소화방법

    - 연소 중 가연물에 물을 주수하여 열 방출량을 낮추는 소화방법

    - 물 등을 이용하여 가연성 연소분해물의 생성물을 흡수하기 위한 소화방법

    - 열을 흡수하여 연소반응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목적이 있는 소화방법

    - 발화점 이하의 에너지 상태로 가연물을 유지하기 위함  

    - 옥내ㆍ외, 스프링클러, 물분무 등이 이 소화방법을 이용한 설비이다

    - 구체적인 소화방법은 액체의 현열, 증발잠열을 이용하는 방법(옥내 옥외, 스프링클러, 물분무 등)과 열용량이 큰 고체(화염방지기)를 이용하는 방법, 식용유 화재 시 신선한 야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 식용유에 불이 붙어 옆에 있는 상온의 식용유를 부었더니 꺼진 경우 

    - 물의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에 화재의 소화작업에 주로 물을 사용한다 

    - 봉상주수 , 적상주수, 무상주수 


    2. 질산에스테르유에 화재가 발생했다. 다음 중 적합한 연소는 무엇인가?

    ① 자기연소 ② 표면연소 ③ 증발연소 ④ 불꽃연소

     

    답: 1번 

    - 자기반응성 물질:  또는 액체로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가열분해의 격렬함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 

    - 가연성 물질로 연소 또는 분해 속도가 매우 빠르다. 

    - 분자 내 조연성 물질을 함유하여 쉽게 연소를 한다. 

    -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서 폭발의 위험성이 높다. 

    - 장시간 공기 중에 방치하면 산화 열분해에 의한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있다.

    - 대부분 유기화합물로 가연성 액체 또는 고체이다 

    - 물질 자체가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 산소공급없이 연소가능하다 

    - 자기연소성(내부연소성) 물질이다

    - 대부분 물에 잘 녹지 않고 물과 반응하지 않는다 

     


    3. 다음은 포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① 단백포 소화약제는 유동성 좋다

    ② 수성막포는 소화력이 가장 우수하다

    ③ 불화단백포는 단백포에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소량첨가했다

    ④ 수성막포는 표면장력이 낮아 링파이어 현상이 발생한다

     

    답; 1번 

    풀이 


    4. 국제구조대의 구성은 무엇인가?

    ① 의료반, 시설관리반, 안전평가반, 탐색반, 구조대

    ② 의료반, 시설관리반, 운영반, 탐색반, 구조대

    ③ 의료반, 시설관리반, 통역반, 탐색반, 구조대

    ④ 항공반, 시설관리반, 안전평가반, 탐색반, 구조대 

     

    답: 1번 

    풀이 

    119구조ㆍ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조(국제구조대의 편성과 운영) 

    ① 소방청장은 국제구조대를 편성ㆍ운영하는 경우 인명 탐색 및 구조, 응급의료, 안전평가, 시설관리, 공보연락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5. 다음 중 구급대의 지원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중앙기관 또는 지방자치 단체기관에서 2년 이상 경력자

    ② 간호사 

    ③ 응급구조사 1급 

    ④ 간호조무사 

     

    답: 1번 

    풀이 

    구급대원의 자격기준 

    - 구급대원은 소방공무원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제4호에 해당하는 구급대원은 구급차 운전과 구급에 관한 보조업무만 할 수 있다.  

     

    1. 「의료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인 

    의료인"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ㆍ치과의사ㆍ한의사ㆍ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한다

     

    2.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36조제2항에 따라 1급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1급 응급구조사가 되려는 사람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인정을 받아야 한다.

    - 대학 또는 전문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

    -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외국의 응급구조사 자격인정을 받은 사람

    - 2급 응급구조사로서 응급구조사의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3.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36조제3항에 따라 2급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2급 응급구조사가 되려는 사람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인정을 받아야 한다. 

    -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응급구조사 양성기관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양성과정을 마친 사람

    -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외국의 응급구조사 자격인정을 받은 사람

     

    4. 소방청장이 실시하는 구급업무에 관한 교육을 받은 사람 


    6. 다음은 연소생성물의 연소가스 종류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무엇인가? 

    ① 일산화탄소를 흡입하면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사망한다 

    ② 암모니아 가스는 상, 공업용의 냉동시설에서 프레온 냉매로 사용된다

    ③ 이산화탄소 농도가 5%이상이면 사망한다 

    ④ 시안화수소는 맹독성의 유독가스로 0.3%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즉사하고 공기보다 가볍다 

     

    답: 3번 

    풀이 

    1. 일산화탄소 (CO)

    - 마취 및 독성가스로 화재중독사의 가장 주된 유해가스

    - 폐에 흡입된 CO가 헤모글로빈(Hb)와 결합 혈중산도농도를 저하 -> 질식  

    - 인체의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강하다 

    - 물질의 불완전 연소시 많이 발생 

    - 공기보다 가벼운 무색, 무취인 유독성 가스

    - 상온에서 염소와 작용하여 포스겐(COCl2)를 생성한다

    - 가연성물질

    - 허용농도: 50ppm

     

    2. 이산화탄소(CO2)

    - 공기보다 무거운 무색, 무취인 가스

    - 호흡률을 증가시켜 공존하는 독성가스의 흡입증대

    - 불연성물질

    - 완전 연소 시 발생 ☆ 

    - 독성은 거의 없으나 호흡속도를 증가

    - 다량으로 흡입 시 인체에 해를 주는 유독성가스라고 할 수 있다 

    - 비가연성 물질로서 연소가스 중 가장 많은 양을 가지고 있다 

    - 허용농도: 5000ppm

     

    - CO2에 의한 인체의 영향 

    3. 암모니아(NH3) 

    - 질소함유물인 열경화성 수지 또는 나일론 등의 연소시 발생 

    - 냉동시설의 냉매로 많이 쓰이고 있다 

    - 강자극성 가스로 눈, 코, 목, 폐에 자극  

    - 0.25~0.65% 농도에서 30분 이상 노출 시 사망

    - 허용농도: 25ppm 

     

    4. 시안화수소(HCN) 

    - 질소성분을 가진 합성수지, 인조견, 모직물(나일론), 목재, 종이, 우레탄 등 섬유가 불완전 연소 시 발생 

    - 인체에 대량 흡입되면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지 않고 질식을 유발한다 

    - 기체는 청산가스 

    - 0.3%이상 농도에서 즉사

    - 허용농도: 10ppm


    7. 포 소화설비에서 고발포형 제2종 기계포 팽창비는?

    ① 60-250배 ② 250-500배 미만 ③ 500배-1000배 미만 ④ 6-20이하

     

    답: 2번 

    풀이 

    팽창비에 따른 분류 

    - 팽창비 = 발포 후 포의 체적 / 발포 전 포 수용액의 체적 

    - 저팽창포에는 기계포의 모든 소화약제가 사용되며 고팽창포에는 합성계면활성제포가 사용됨 

     

    ① 저발포 (3, 6%)

    - 6배 이상 20배 이하

    - B급 화재 

     

    ② 고발포 (1, 1.5, 2%)

    - 제1종 기계포: 80배 이상 250배 미만

    - 제2종 기계포: 250배 이상 500배 미만 

    - 제3종 기계포: 500배 이상 1000배 미만 

    - A, B급 화재 


    8. 화재시 피난 본능에서 화재가 발생한 반대방향을 향해 피하는 본능은?

    ① 귀소본능 ② 퇴피본능 ③ 좌회본능 ④ 지광본능 

     

    답: 2번 

    풀이 

    인간의 본능적 피난행동 

    ① 추종본능

    - 불특정 다수의 인원이 모인 경우에 화재가 발생하면 최초에 행동을 개시한 사람(리더)을 따라서 전체가 움직임으로써 인명피해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② 귀소본능

    - 인간은 본능적으로 비상 시 자신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원래 온길 또는 늘 사용하는 경로에 의해 탈출 을 도모하고자 한다

     

    ③ 좌회본능

    - 일반적으로 오른발의 지지력이 강하기 때문에 체력조건이 동등한 경우 도로를 향하여 우측의 인원이 먼저 진 입하며 군집은 좌측으로 회전한다.

     

    ④ 퇴피본능

    - 화재 발생초기에는 그 상황의 확인을 위하여 소수 인원이 모여들지만 화세가 확대되어감에 따라 화염과 연 기 등에 대한 공포감이 급증되어 발화지점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⑤ 지광본능

    - 화재 시 정전 또는 검은 연기로 인해 주위가 어두워지면 사람들은 밝은 곳으로 피난 하고자 한다


    9. 일반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피해가 가장 큰 영향요소는?

    ① 전도 ② 대류 ③ 복사 ④ 전도+복사 

     

    답: 4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03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열전달(전도, 대류, 복사)

    1. 열전달 - 온도차가 발생되어 열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 - 종류 : 전도, 대류, 복사 ☆ 1) 4가지 온도 관계 2) 전도 - 고체 또는 정지상태의 유체 (액체, 기체)에서 매질을 통해 이

    poo318.tistory.com


    10. 다음은 화재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쓰레기통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큰 피해없이 스스로 소화했다면 불에 해당된다 

    ② 불이 그 사용목적을 넘어 다른 곳으로 연소하여 사람들이 예상치 않은 경제상의 손해를 발생하는 현상이다

    ③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출화 또는 방화에 의해 불이 발생하고 확대되는 현상이다 

    ④ 화재는 인간이 제어 및 통제될 ㄸ이고 제어 및 통제 불가능할 때는 불이 된다 

     

    답: 4번

    풀이 

    화재의 정의 

    -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 

    - ‘반하거나’의 뜻은 과실에 의한 화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기취급 중 발생하는 실화뿐만 아니라 부작위에 의한 자연발화까지 포함하며 ‘고의에 의해’라는 뜻은 사람의 의도에 의한 방화를 의미한다.

    - ‘연소현상’은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빛과 열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다.’ 라는 것은 사회공익을 해치거나 경제적인 손실 및 인명피해를 가져오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폭발현상’은 착화까지는 연소와 동일하나 착화이후 급격한 압력의 전파로 폭음과 함께 파괴 를 수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