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5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7. 22:57
    728x90
    반응형

    1. 오전층 파괴지수(O.D.P)가 제일 큰 것은?

    ① 할론 1301 ② 할론 1211 ③ 할론 2402 ④ 이산화탄소

     

    답: 1번

    풀이`https://poo318.tistory.com/424

    오존파괴지수(ODP) : 할론1301 > 할론 2402 > 할론 1211 > IG-541 > CO2


    2. 아세톤과 휘발유는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제1석유류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답: 1번 

    풀이 

     제4류 위험물 (인화성액체) 

    - 인화성 액체:  액체 중 인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

    - 특수인화물: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100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섭씨 - 20 이하이고 비점이 섭씨 40 이하인 것 

    - 제1석유류: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 미만인 것 

    - 알코올류: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변성알코올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 내지 3개의 포화1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60중량퍼센트 미만인 수용액

    . 가연성액체량이 60중량퍼센트 미만이고 인화점 및 연소점(태그개방식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연소점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에틸알코올 60중량퍼센트 수용액의 인화점 및 연소점을 초과하는 것

    - 제2석유류: 등유, 경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이상 7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에 있어서 가연성 액체량이 40중량퍼센트 이하이면서 인화점이 섭씨 40도 이상인 동시에 연소점이 섭씨 60도 이상인 것은 제외한다.

    - 제3석유류: 중유, 클레오소트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70도 이상 섭씨 20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 제4석유류: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00도 이상 섭씨 250도 미만의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 동식물유류: 동물의 지육 등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5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법 제2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용기기준과 수납·저장기준에 따라 수납되어 저장·보관되고 용기의 외부에 물품의 통칭명, 수량 및 화기엄금의 표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3. 소방력 3요소가 아닌 것은?

    ① 소방인력 ② 장비 ③ 소방설비 ④ 물

     

    답: 3번 

    풀이 

    소방력 3요소 ☆

    - 인력(소방대원), 장비(소방장비), 소방용수 

    - 소방활동 수행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

    - 소방업무 수행을 위한 최소한의 소방력의 적정수준을 제시함으로써 전국적으로 균형있는 소방업무를 추진할 뿐만 아니라 소방환경의 변화와 특성에 따라 지속적인 소방력 보강을 통하여 소방 발전을 기하고자 한 것


    4. 다음 중 목재건축물 화재 진행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발화 -발염착화 - 무염착화 - 최성기

    ② 무염착화 - 발염착화 - 발화 - 최성기

    ③ 발염착화 - 무염착화 - 최성기 -발화

    ④ 발화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최성기

     

    답: 2번 

    풀이 

    목재건축물의 화재 진행과정 

    - 화재원인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발화 - 최성기 - 연소낙하 - 진화 


    5. 다음에 해당하는 스프링클러설비는? (=2007대구)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작동하게 되는 설비

     

    ①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④ 일제 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답: 1번 

    풀이 


    6.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신기는 화재시 발신기 또는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거쳐 수신하여 건물 관계자에게 표시 및 음향장치로 알려주는 설비이며 P형은 고유신호로 수신 하고 R형은 공통 신호로 수신한다.

    ② 발신기는 화재발생신고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것을 말한다

    ③ 경계구역이란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④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하는 설비로 자동화재 속보 설비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답: 1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37

     

    [소방학개론] 8. 시설론 - 경보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1. 자동화재탐지설비 - 화재발생을 조기에 정확히 발견하여 줌으로써 피해를 감소시키는 설비 - 조기에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통보하고 소화설비, 피난설비 기타 설비가 효과적으로

    poo318.tistory.com

    ▶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 또는 탐지부에서 발하는 가스누설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장치. 

    - 수신기는 화재시 발신기 또는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거쳐 수신하여 건물 관계자에게 표시 및 음향장치로 알려주는 설비 

    - 고유의 신호로 수신하는 R형과 공통의 신호로 수신하는 P형이 있다 

    - 수신기는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하거나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기능도 있다.


    7. 다음 중 재난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 중에 종류가 다른 하나는?

    ① 재난 유형별 사전교육 및 훈련 실시

    ② 비상방송 시스템구축

    ③ 재난 취약 시설 점검

    ④ 자원 관리 체계 구축

     

    답: 3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57

    재난취약시설점건은 예방 단계에 속한다. 

    나머지는 대비 단계에 속한다 


    8. 다음 중 소방에서 행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주유취급소 시설에 대한 설치허가

    ② 화재경계지구 안의 대상물의 위치, 구조 및 설비 등에 대한 특별 조사

    ③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건축허가

    ④ 이상기상 특보시 화재경계발령

     

    답: 3번 

     

    풀이 

    제4조(소방특별조사) ①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관할구역에 있는 소방대상물, 관계 지역 또는 관계인에 대하여 소방시설등이 이 법 또는 소방 관계 법령에 적합하게 설치ㆍ유지ㆍ관리되고 있는지, 소방대상물에 화재, 재난ㆍ재해 등의 발생 위험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계 공무원으로 하여금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특별조사(이하 “소방특별조사”라 한다)를 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주거에 대하여는 관계인의 승낙이 있거나 화재발생의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는 때에 한정한다. 

    ② 소방특별조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실시한다.

    1. 관계인이 이 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실시하는 소방시설등, 방화시설, 피난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등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소방기본법」 제13조에 따른 화재경계지구에 대한 소방특별조사 등 다른 법률에서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하도록 한 경우

    3.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경우

    4.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

    5.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 재난ㆍ재해의 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7조(건축허가등의 동의 등) ① 건축물 등의 신축ㆍ증축ㆍ개축ㆍ재축(再築)ㆍ이전ㆍ용도변경 또는 대수선(大修繕)의 허가ㆍ협의 및 사용승인(「주택법」 제15조에 따른 승인 및 같은 법 제49조에 따른 사용검사, 「학교시설사업 촉진법」 제4조에 따른 승인 및 같은 법 제13조에 따른 사용승인을 포함하며, 이하 “건축허가등”이라 한다)의 권한이 있는 행정기관은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그 건축물 등의 시공지(施工地) 또는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9. 다음 중 화재피해조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② 연소 상황 조사

    ③ 열에 의한 파손, 탄화, 융용등의 피해

    ④ 소화활동 중 사용된 물로 인한 피해

     

    답: 1번 

    풀이

     

    1) 화재원인조사 

    가. 발화원인 조사 : 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 발견, 통보 및 초기소화상황 조사 : 발견경위, 통보 및 초기소화 등 일련의 행동과정 

    다. 연소상황 조사 : 화재의 연소경로 및 연소확대물, 연소확대사유 등 

    라. 피난상황 조사 : 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마. 소방·방화시설 등 조사 : 소방·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2) 화재피해조사 

    가. 인명피해
    -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 화재진압 중 발생한 사망자 및 부상자 

     

    나. 재산피해
    - 소실피해 :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피해
    - 수손피해 : 소화활동으로 발생한 수손피해 등
    - 기타피해 : 연기, 물품반출, 화재중 발생한 폭발 등에 의한 피해 등 


    10. 다음 중 기상폭발이 아닌 것은?

    ① 분무폭발 ② 분진폭발 ③ 분해폭발 ④ 증기폭발

     

    답: 4번 

    풀이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