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풀이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7. 23:41728x90반응형
11. 다음 중 물 분무소화의 주된 작용은?
① 냉각소화 ② 희석소화 ③ 질식소화 ④ 제거소화
답: 3번
▶ 물 소화약제
- 증발잠열이 커서 냉각, 질식효과가 매우 높음.
- 수소와 산소의 결합으로 인체에 무해.
- 변질의 우려가 없고 장기간 보관 가능.
- 펌프, 배관, 호스 등을 사용하여 유체의 이송이 용이하다.
- 비압축성유체로 쉽게 펌핑 및 이송 가능.
- 소화효과 증진 첨가제 및 주수방법 가능.
- 구하기 쉬워 경제적.
12. 감광계수가 0.3 이며 가시거리는 5m 일 때 맞는 상황은?
① 어두침침한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②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
③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할 때 약간 지장을 느낄 정도
④ 화재 최성기때의 농도로 유도등이 보이지 않을 경우
답: 3번
풀이
연기농도에 따른 가시거리
- 감광계수와 가시거리는 반비례한다 ☆
13. 기름탱크 1/2이하 충전되어 있고 화재 진압시 증기 압력으로 탱크가 파열되었다 다음은 무슨 현상인가?
① 슬롭오버 ② 보일오버 ③ 오일오버 ④ 플래시현상
답: 3번
풀이
- 보일오버: 유류탱크화재 시 탱크 유면에서부터 고온층이 확대되어 고온층이 탱크 하부에 있는 물을 가열, 비등시켜 발생된 수증기가 체적팽창에 의해 상층의 유류를 탱크 밖으로 분출시키는 현상
- 슬롭오버: 중질유 탱크의 액 표면온도가 물의 비점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포나 소화용수를 방사했을때 증발된 수증기와 함께 유류가 급격한 부피팽창으로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
- 오일오버: 탱크 내 유류가 1/2 이하로 채워진 상태에서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한 폭발화재 현상
- 플래시오버: 가연물의 착화와 열분해 시 생성된 가연성 가스가 천장아래에 축적되고 천장아래에 축적된 연기층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바닥면의 복사수열량이 증가될때 순간적으로 방전체가 급격하게 타오르는 화재확대현상
14.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기체를 형성하였을 때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물질은?
① 수소 ② 이황화탄소 ③ 부탄 ④ 아세틸렌
답: 4번
15. 소방활동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제연설비 ② 무선통신보조설비 ③ 연소방지 ④ 비상방송
답: 4번
풀이
비상방송은 경보설비이다
소화활동설비
소화활동설비 -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제연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연소방지설비
16. 물이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장점으로 옳은 것은? (지문추가)
① 증발잠열이 커 냉각효과가 크다
② 압력을 가하면 압축이 가능하다
③ 경제적이고 초기소화에 적합하다
④ 변질의 우려가 있어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하다
답: 1번
▶ 물 소화약제
- 증발잠열이 커서 냉각, 질식효과가 매우 높음.
- 수소와 산소의 결합으로 인체에 무해.
- 변질의 우려가 없고 장기간 보관 가능.
- 펌프, 배관, 호스 등을 사용하여 유체의 이송이 용이하다.
- 비압축성유체로 쉽게 펌핑 및 이송 가능.
- 소화효과 증진 첨가제 및 주수방법 가능.
- 구하기 쉬워 경제적.
17. 소방의 역사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① 1426년 세종8년에 금화도감 설치
② 1925년 최초 소방서 경성소방서 설치됨과 동시에 소방법 제정
③ 1972년 서울과 부산 이원적 소방행정체제가 시행되었다.
④ 2004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을 공포하였다.
답: 2번
풀이
소방조직의 발전과정
1) 삼국시대
- 화재가 사회적재앙으로 등장(국가적 관심사)
- 금화의식 싹틈
2) 통일신라시대
- 지붕(기와), 화재예방의식 높음, 군대
- 백성 진화
- 금화의식 가짐
3) 고려시대
- 소방을 소재(消災 : 사라질 소, 화재 재)라고 부름
- 금화제도 시작 -> 아직 금화조직은 없음
- 실화 및 방화관리자에 처벌
4) 조선시대 ☆
- 1417. 금화법령 시행
- 1426.6(세종8년) 우리나라 최초 소방관서 금화도감 설치 ☆☆☆☆☆☆
- 1426.8 수성금화도감
- 1723. 중국으로수벝 수총기를 도입
5) 갑오개혁 (1894) ☆
- 경무청이 신설되고 소방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함 ☆☆
- 1908. 최초 화재보험회사 설립
- 1908. 완용펌프 3대 도입
- 1909. 수도의 개설로 소화전이 설치
6) 일제강점기
- 상비소방수제도: 전문적으로 소방을 상설해 놓은 제도 ☆
- 1925. 최초 경성(종로)소방서 설치, 의용소방조, 민간소방대 조직 ☆☆☆
- 화재진압장비가 도입 설치, 불조심 행사
7) 미군정시대 (자치소방체제, 1946-1948) ☆☆
- 1946. 독립된 자치소방제도를 최초로 시행
-> 중앙: 중앙소방위원회(소방청), 지방: 도 소방위원회(지방소방청) ☆☆☆
- 1947. 중앙소방위원회의 집행기구로 소방청을 설치
8) 정부 수립 이후(국가소방체제, 1948-1970) ☆
- 1948. 정부수립, 국가소방체제의 틀 속에서 경찰사무로 포함 ☆
- 중앙:내무무 치안국 소방과, 지방 : 경찰국 소방과 소방서
- 1958.3.소방법 제정 ☆☆☆☆☆
- 1969. 경찰공무원법 제정
9) 발전시기(국가, 자치 이원적 체제, 1971-1992) ☆☆
- 소방이 경찰로부터 독립성 확보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소방국
-> 지방 : 서울, 부산 자치 소방, 도민방위국 소방과
- 1972. 서울, 부산에 각각 소방본부 설치 ☆☆☆
- 1975. 민방위기본법 제정
- 1978.3. 소방공무원법 제정(신분 : 소방공무원)
- 1978.7. 소방학교 설치 - 소방교육의 체계화
- 1983. 119구조대 설치 - 소방안전 문화의 정착
10) 현재(광역자치소방체제, 1992 ~ ) ☆
- 광역체제 정착(지방자치제 실시)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산하 소방국
- 지방 : 16개(시7, 도9) 시ㆍ도 광역체제 일원화
- 1992.4.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 설치 ☆
- 1995.1 신분 : 지방공무원
- 1995.10 중앙 119구조대 직제 공포
- 2004. 5. 4분법 제정
① 소방기본법 ②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③ 소방시설 공사업법 ④ 위험물 안전관리법
- 2004. 6. 소방방재청 개청 (대구지하철 사고를 계기로 신설) ☆☆☆☆
-> 소방방재청을 설립하여 소방업무, 민방위 재난, 재해업무까지 관장하였다 ☆
- 2008. 3. 소방방재청장(소방총감으로 임명)
- 2014.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하고 소방방재청을 국민안전처로 편입하여 국민안전처 소속 중앙소방본부
- 2017. 국민안전처가 행정안전부에 흡수, 통합되면서 행정안전부 산하의 소방청으로 신설 ☆
- 2019. 국가직전환으로 국가공무원법 적용
18. 다음 중 정전기 방지를 위한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전기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에 접지시설 설치
② 공기를 이온화하여 정전기 발생을 예방
③ 공기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한다.
④ 전기의 저항이 큰 물질은 대전이 용이하므로 부도체 물질을 사용
답: 4번
풀이
전기적 점화원
- 저항열, 아크열, 낙뢰, 정전기, 유도열, 누전열, 유전열 등 ☆
① 정전기
- 전하의 이동이 적어 전기가 흐르지 못하고 축적되어 있는 전기
- 발생과정
- 대전서열이 멀수록
- 물페 표면적이 거칠수록
-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 접촉압력과 면적이 클수록
- 방지대책
- 정전기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에 접지를 한다 ☆
- 상대습도 70% 이상 유지 ☆☆
- 전도성이 큰 물체(도체) 사용 ☆
- 배관 내 유속을 제한 ☆
- 공기를 이온화하여 정전기 발생을 예방한다 ☆
- 대전방지제를 사용한다
- 제전기를 사용한다
19. 병원으로 이송을 위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가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사망 또는 생존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지연환자-흰색
② 수시간 이내 응급처치를 요하는 환자-응급환자-황색
③ 수시간, 수일 후 치료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환자-비응급 환자-녹색
④ 수분, 수시간 이내 응급처치를 요구하는 단계-긴급환자-적색
답: 1번
풀이
중증도 분류 ☆☆☆
- 응급의료기관의 장은 응급실의 입구에 환자분류소를 설치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교육을 이수한 의사, 간호사 또는 1급 응급구조사가 응급환자 등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감염병 의심환자 등을 선별하도록 해야 한다.
- 제1항에 따라 응급환자 등의 중증도를 분류하거나 감염병 의심환자 등을 선별할 때에는 환자의 주요증상, 활력징후(호흡, 맥박, 혈압, 체온), 의식 수준, 손상 기전, 통증 정도 등을 고려해야 하며 그 세부적인 기준ㆍ방법 및 절차 등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에 따른다.
순서 분류 색깔 심벌 증상 1 긴급환자 적색 토끼 - 생명이 위험한 상태
- 수분, 수시간 이내 응급처치를 요구하는 중증환자 ☆2 응급환자 황색 거북이 - 생명에는 큰 지장이 없는 부상상태, 다발성골절
- 수시간 이내 응급처치를 요구하는 환자 ☆3 비응급환자 녹색 X 표시 - 구급을 이송할 필요가 없는 경상인 상태
- 수시간, 수일 후 치료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환자 ☆4 지연환자 흑색 십자가 표시 - 사망 또는 구명 불가능한 상태 ☆ - 순서는 치료의 우선순위를 말한다 ☆
20. 고체연소 중 맞는 것은? (지문추가)
① 목재,나프탈렌- 증발연소
② 종이, 마그네슘 - 표면연소
③ 숯, 유황 - 자기연소
④ 플라스틱, 석탄, 면- 분해연소
답: 4번
풀이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풀이 (0) 2021.12.18 2016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풀이 (0) 2021.12.18 2015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풀이 (0) 2021.12.17 2015 경기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20번 기출풀이 (0) 2021.12.16 2015 경기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0번 기출풀이 (0)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