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2016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8. 01:07
    728x90
    반응형

    답: 5번 

     

    최소발화에너지(MIE) = 최소점화에너지, 최소착화에너지 

     

    - 가연성 혼합기를 발화시키는데 필요한 최저에너지

    - 혼합기의 온도, 압력, 조성 등에 따라 변한다

    - 온도가 상승하면 분자간 운동이 활발해지므로 MIE는 작아진다 

    - 압력이 상승하면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MIE는 작아진다 

    - 농도가 짙고 발열량이 크고 산소분압이 높아질때 MIE는 작아진다 

    - 가연성가스의 조성이 화학양론농도 부근일때 MIE는 최저가 된다  

    - 열전도율이 낮아질때 MIE는 작아진다 

     


    답: 2번 

    풀이 

    1. 연기

    - 공기 중 부유하는 0.01 ~ 10μm 크기의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 

    - 연기는 독성이 있다 

    - 공기보다 고온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천장의 하면을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 유동속도: 수평방향(0.5~1m/s) < 수직방향(2~3m/s) < 계단실내(3~5m/s) 

    - 피난활동 중 인체 시각의 제약요인이 가장 큰 것이다 


    답: 1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07

     

    [소방학개론] 3. 폭발 - 폭발의 원인(화학적폭발)

    1. 물리적폭발 [소방학개론] 3. 폭발 - 폭발의 원인(물리적폭발) 1. 물리적폭발 (응상폭발) - 원소간 화학적 반응 없이 물리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 기체나 액체의 팽창 상변화 등의 , 물

    poo318.tistory.com

     

    수증기 폭발(steam explosion) - 물리적폭발 

    - 물에 의하여 증기 폭발이 발생하는 경우로 고온물질이 물속에 투입되거나(열이동형 증기폭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과열된 물이 순간적으로 대기압으로 방출되어 평형상태가 파괴 되는 경우(평형파괴형 증기폭발) 발생한다

    - 평형파 괴형 증기폭발은 보일러 관체가 파손되는 경우 발생하기도 한다.


    답: 3번 

    풀이

     

    자연발화의 종류 

     - 분해열, 산화열, 흡착열, 중합열, 발효열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조건(자연발화가 쉬운 조건)

      • 열전도율(열전도도)이 적을수록 
      • 발열량이 클수록 
      • 열축적이 용이할수록 
      • 주위 온도가 높아질수록 
      • 표면적이 넓을수록 
      • 산소와 친화력, 농도가 클수록 
      • 공기유통이 적을수록
      • 고온 다습할수록  
      •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 유속이 빠를수록
      • 부피가 클수록, 분자량이 클수록
      • 압력이 클수록 

    답: 4번 

     

    풀이 

     

    하인리히 도미노이론 (최초이론) 

    - 사회적요인 및 유전적결함 → 개인적결함(인간의 결함)  불완전상태(10%), 행동(88%) 제거 시 연쇄고리 단절, 재해예방가능   사고  상해

    - 사고구성비율 = 중상:경상:무상해사고 = 1 : 29 : 300 

    - 재해예방 4원칙 

    • 손실우연의 법칙 ; 동종사고 되풀이/손실크기 우연히 결정
    • 원인계기의 원칙 ; 사고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
    • 예방가능의 원칙 ; 원인제거 시 예방가능
    • 대책선정의 원칙 ; 재해예방의 안전대책 존재

    - 예: 삼풍백화점


    답: 2번 

    풀이 

     

    능력단위에 따른 분류 

    ① 소형소화기

    - A급 화재용 소화기 또는 B급 화재용 소화기는 능력단위의 수치가 1단위 이상이어야 한다. 

    - 보행거리 20m 이내마다 설치

    - 대형소화기 능력단위 미만인 소화기 

     

    ② 대형소화기

    - 화재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되어있다 

    - A급 화재: 10단위 이상 

    - B급 화재: 20단위 이상 

    - 보행거리 30m 이내마다 설치

     

    소화기설치기준 

    - 각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m 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할 것. 다만, 가연성물질이 없는 작업장의 경우에는 작업장의 실정에 맞게 보행거리를 완화하여 배치할 수 있다.

    - 특정소방대상물의 각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가목의 규정에 따라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아파트의 경우에는 각 세대를 말한다)에도 배치할 것

    - 능력단위가 2단위 이상이 되도록 소화기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간이소화용구의 능력단위가 전체 능력단위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아니하게 할 것 다만, 노유자시설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답: 3번

    풀이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소방시설법 )

    제4조(소방특별조사)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관할구역에 있는 소방대상물, 관계 지역 또는 관계인에 대하여 소방시설등이 이 법 또는 소방 관계 법령에 적합하게 설치·유지·관리되고 있는지, 소방대상물에 화재, 재난·재해 등의 발생 위험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계 공무원으로 하여금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특별조사(이하 "소방특별조사"라 한다)를 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주거에 대하여는 관계인의 승낙이 있거나 화재발생의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는 때에 한정한다.

     ② 소방특별조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실시한다.

    1. 관계인이 이 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실시하는 소방시설등, 방화시설, 피난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등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소방기본법」 제13조에 따른 화재경계지구에 대한 소방특별조사 등 다른 법률에서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하도록 한 경우

    3.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경우

    4.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

    5.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 재난·재해의 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6. 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현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4조의3(소방특별조사의 방법ㆍ절차 등)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특별조사를 하려면 7일 전에 관계인에게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서면으로 알려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화재, 재난ㆍ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2. 소방특별조사의 실시를 사전에 통지하면 조사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소방특별조사는 관계인의 승낙 없이 해가 뜨기 전이나 해가 진 뒤에 할 수 없다. 다만,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제1항에 따른 통지를 받은 관계인은 천재지변이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소방특별조사를 받기 곤란한 경우에는 소방특별조사를 통지한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방특별조사를 연기하여 줄 것을 신청할 수 있다.  

    ④ 제3항에 따라 연기신청을 받은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연기신청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조사 개시 전까지 관계인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⑤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특별조사를 마친 때에는 그 조사결과를 관계인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개정 2014. 11. 19., 2017. 7. 26.>

    ⑥ 제1항부터 제5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소방특별조사의 방법 및 절차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답: 1번 

    풀이 

    구조활동의 우선순위 

    - 인명을 구조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요구조자의 생명을 보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구명』을 최우선으로 하고 다음에 『신체구출』,『정신적, 육체적 고통경감』,『피해의 최소화』의 순으로 구조활동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 요구조자의 2차 피해를 방지한다

    - 안전구역으로 구출활동을 침착히 한다

    - 대원 진입시 장애물을 제거한다 


    답: 3번 

    풀이 

     

    ▶ 지방 소방행정조직

    ① 소방본부

    ② 소방서 등 

    ③ 119안전센터, 119지역대

    ④ 구조구급센터

    ⑤ 지방소방학교

    ⑥ 소방정대

    ⑦ 서울종합방재센터

    ⑧ 의무소방대:구조대, 구급대

     

    민간 소방행정조직

    ① 의용소방대

    ② 소방안전관리자

    ③ 위험물안전관리자

    ④ 자체소방대 


    답: 5번 

    풀이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