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
[수질] 상수도 취수시설(호소, 댐 취수시설)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7. 22:47
3. 취수시설(호소, 댐을 수원하는 경우) 1) 취수탑 (1) 고정식 ① 기능, 목적 - 호소나 댐의 대량취수시설로서 많이 사용된다. - 취수구의 배치를 고려하면 선택취수가 가능 ② 특징 - 수위변화가 많은 저수지 등에서도 계획취수량을 안정되게 취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③ 기본적인 요인 - 취수량의 대소: 일반적으로 대량취수에 적합 - 취수량의 안정상황: 안정된 취수가 가능하다. ④ 외적요인 - 취수지점: 취수할 때에는 수심이 큰 지점 쪽이 유리하지만, 유지관리상으로는 만수시에도 물가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가 바람직하다. - 호소 등의 규모: 대규모인 호소 등에 사용 - 수위변화: 비교적 영향이 적다 - 수질상황: 수문조작으로 선택 취수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양질의 원수를 취수할 수 있다 - 수심상..
-
[수질] 상수도 (계획취수량, 하천수 취수시설)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7. 22:45
● 상수도 취수시설 1. 계획취수량 계획취수량은 계획1일최대급수량을 기준으로 하며, 기타 필요한 작업용수를 포함한 손실수량 등을 고려한다. 2. 취수시설 (하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1) 취수보 ① 기능, 목적 - 하천을 막아 계획취수위를 확보하여 안정된 취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설 - 둑의 본체, 취수구․침사지 등이 일체가 되어 기능을 한다. ② 특징 - 안정된 취수와 침사효과가 큼 - 개발이 진행된 하천 등에서 정확한 취수조정이 필요한 경우, 대량취수할 때, 하천의 흐름이 불안정한 경우 등에 적합 ③ 기본적인 요인 - 취수량의 대소: 보통 대량 취수에 적합, 그러나 간이식은 중․소량 취수에도 사용된다. - 취수량의 안정상황: 안정된 취수가 가능하다 ④ 외적요인 - 제외지의 상황: 하천유황이 크..
-
[수질] 상수도 (기본계획, 저수시설)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7. 22:45
Q. 다음 중 상수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저수 ② 정수 ③ 송수 ④ 배수 Q. 송수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수원에서 소요수량을 취입하는 것 ② 원수를 정수시설에 보내는 것 ∨③ 정수시설에서 배수시설 시점까지 보내는 것 ④ 배수시설에 의해서 급수지에 보내는 것 Q. 도수시설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정수장으로부터 배수시설까지 상수를 보내는 시설 ② 원수를 취수시설까지 보내는 시설 ∨③ 취수시설로부터 정수시설까지 원수를 보내는 시설 ④ 배수시설로부터 급수지로 보내는 시설 Q. 상하수도 계획에 있어 고려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계획오수량은 생활오수량, 공장폐수량 및 지하수량으로 구분한다. ②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로 계산한..
-
[수질] 하수도 관거시설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7. 22:45
Q. 하수관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우수관거에서 계획하수량은 계획우수량으로 한다. ② 합류식 관거에서 계획하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한다. ∨③ 차집관거에서 계획하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으로 한다. ④ 지역의 실정에 따라 계획하수량에 여유율을 둘 수 있다. Q. 하수관거 내에서 황화수소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를 가장 정확히 설명한 것은? ① 미생물이 하수내의 용존산소를 이용하여 황산염을 산화시키기 때문이다. ② 하수내의 단백질이 용존산소에 의해 산화되기 때문이다. ③ 하수관거 내에서 침전된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황산염으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④ 미생물이 혐기성 상태에서 하수내의 황산염을 환원시키기 때문이다. Q. 하수관로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
-
[수질] 하수도 기본계획 (하수거, 우수배제계획)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7. 00:55
Q. 계획급수량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지만 시설의 설계기준이 되는 것은? ① 계획 1인 1일 최대급수량 ∨② 계획 1일 최대급수량 ③ 계획 1일 평균급수량 ④ 계획 1시간 최대급수량 Q. 상하수도 계획에 있어 고려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계획오수량은 생활오수량, 공장폐수량 및 지하수량으로 구분한다. ②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로 계산한다. ③ 우수토실은 합류식 배제방식의 합류관거와 차집관거 연결장소에 설치하는 우수 조절장치이다. ∨④ 합류식에서 우천시 계획하수량의 계산은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이상으로 한다. Q. 계획오수량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알맞지 않은 것은? ① 합류식에서 우천시 계획 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시간 최대..
-
[수질] 혐기성 소화, 호기성 소화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6. 10:14
Q. 혐기성 소화법 운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적정범위를 벗어나 pH가 낮아진다. ∨ ② 중간 분해산물인 휘발성유기산의 농도가 감소한다. ③ 발생 가스 중 CO2함량이 증가한다. ④ 가스발생량이 감소한다. Q. 호기성 소화와 비교하여 혐기소화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슬러지의 탈수성이 양호하다 ② 슬러지 생산량이 적다. ③ 유기물 농도가 매우 큰 폐수처리가 가능하다. ∨④ 호기성 소화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르다. Q. 폐수의 혐기성처리의 원리에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BOD농도가 10000 mg/L이하이어야 하며, 혐기성 미생물에 쉽게 분해되는 탄수화물이 높아야 열이 많이 난다. ② 미생물에 필요한 무기성 영양소가 충분히 있어야만 한다. ③ 독성물질이 없고..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고도처리공법[하수의 고도처리(생물학적 고도처리)]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6. 10:13
Q. 부영양화를 제어하기 위한 고도처리공법 중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의 운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 제거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혐기와 호기조건이 반복되어야 한다. ② 침전조에서 반송된 슬러지는 혐기조 유입부로 투입된다. ∨③ 질산염은 인방출을 촉진한다. ④ 유출수 내 인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금속염을 공정 내 주입할 수 있다 Q. 다음 중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하수내 질소를 제거(3차 처리)하기 위한 공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SBR 공정 ② UCT 공정 ∨③ A/O 공정 ④ Badenpho 공정 ≒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가 아닌 것은? ① A2/O ② bardenpho ③ phostrip ∨ ④ A/O Q. 2차적 ..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고도처리공법[하수의 고도처리(화학적 고도처리]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6. 10:09
Q. 물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 ∨① 금속염(Al, Fe)첨가법 ② 탈기법(Air Stripping) ③ 이온교환법 ④ Break Point 염소 제거법 Q. 다음의 물리화학적 처리방법 중 수중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효과적 제거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alum주입 ② break point염소 주입법 ③ zeolite이용법 ④ 탈기법 Q. 하수내의 잔류인 제거를 위한 화학적 침전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 ① 수중의 인제거를 위해서는 우선 인을 부유물질로 만들어야 한다. ∨② pH 10이하에서 인은 잉여칼슘이온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 ( Ca10(PO4)6(OH)2 )를 형성한다. ③ 침전제로서 석회는 금속염보다 슬러지 양이 많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