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혐기성 소화, 호기성 소화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6. 10:14
    728x90
    반응형

    Q. 혐기성 소화법 운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적정범위를 벗어나 pH가 낮아진다.
    ∨ ② 중간 분해산물인 휘발성유기산의 농도가 감소한다.
    ③ 발생 가스 중 CO2함량이 증가한다.
    ④ 가스발생량이 감소한다.

    Q. 호기성 소화와 비교하여 혐기소화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슬러지의 탈수성이 양호하다
    ② 슬러지 생산량이 적다.
    ③ 유기물 농도가 매우 큰 폐수처리가 가능하다.
    ∨④ 호기성 소화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르다.

    Q. 폐수의 혐기성처리의 원리에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BOD농도가 10000 mg/L이하이어야 하며, 혐기성 미생물에 쉽게 분해되는 탄수화물이 높아야 열이 많이 난다.
    ② 미생물에 필요한 무기성 영양소가 충분히 있어야만 한다.
    ③ 독성물질이 없고, 알칼리도가 적당해야 한다.
    ④ BOD농도가 높고, 가능하면 단백질, 지방함량이 높은 것이 좋다.

    Q. 혐기성처리 방식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혐기성 반응을 주도하는 박테리아는 혐기성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임의성 박테리아이다.
    ∨② 혐기성처리의 조건은 유기물 농도가 높아야 하며, 단백질 보다는 지방이나 탄수화물이 높을수록 좋다.
    ③ 혐기성 반응에서 에너지의 획득 방법은 주로 발효 반응이다.
    ④ 혐기성 반응에서 Na+, K+ 등은 낮은 농도에서는 반응을 촉진하지만 고농도에서는 독성물질로 영향을 줌

    Q. 호기성처리 방법에 비해 혐기성 처리 방법의 장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① 산소 공급이 필요 없다.
    ② 슬러지 생성량이 적다.
    ∨③ 영양소가 호기성에서보다 많이 소요된다.
    ④ 유기물 농도가 매우 큰 폐수 처리가 가능하다.

    Q. 다음 중 혐기성소화와 비교하여 설명한 호기성소화의 장점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휘발성 고형물의 감소는 혐기성소화에서와 거의 같다.
    ② 악취가 없는 안정한 최종생성물을 얻는다.
    ③ 상징액의 BOD5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④ 기계적인 탈수가 잘되는 특성이 있다.
    ⑤ 슬러지내 기본적인 비료 가치를 회수하기 좋다.

    Q. 혐기성소화법에 비해 호기성소화법의 장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① 시설투자비가 저렴하다.
    ②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③ 운전비가 저렴하다.
    ④ 상징수의 BOD농도가 낮다.

    Q. 혐기성 폐수처리 프로세스에 관한 아래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을 지적하시오.

    ① 1kg BOD5 로부터 생산되는 메탄 가스의 표준량은 이론적으로 0.35 ㎥ 이다.
    ∨② 메탄 발효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 단계에서 당질이 아세트산보다 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③ 잉여 세포물질을 소화시키는 경우 세포의 인 물질은 다시 상징수에 용출된다.
    ④ 혐기성 소화법은 용존 BOD의 제거보다 슬러지의 감량화 및 안정화에 더 적합하다.
    ⑤ 혐기성 소화조에서는 수소 분압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Q. 다음 혐기성반응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① 반응기간이 호기성 반응보다 길다.
    ② 양이온 농도가 지나치면 반응이 억제된다.
    ③ BOD제거율이 90%미만이다.
    ∨④ 세포생산 계수(g세포/g BOD)가 호기성 반응의 경우보다 크다.

    Q. 슬러지 혐기성소화 과정에서 발생 가능성이 가장 적은 것은?

    ① CH4
    ② CO2
    ③ H2S
    ∨ ④ SO2

    Q. 다음 중 혐기성소화의 운전이 실패(failure)에 도달할 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가스발생량 감소
    ② 유기휘발성의 증가
    ③ pH의 감소
    ∨④ 가스의 CO2 함량 감소

    Q. 혐기성 처리의 중요 영향 인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온도
    ∨ ② 무기산
    ③ 독성물질
    ④ pH

    Q. 어떤 폐수가 혐기성 방법에 의하여 처리되기 위한 조건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① 미생물에게 필요한 무기성 영양소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② 유기물농도가 높아야 하며 단백질이나 지방질보다는 탄수화물이 높은 것이 좋다.
    ③ 알칼리도가 알맞게 있어야 하며 독성물질이 없어야 한다.
    ④ 비교적, 높은 온도를 가져야 한다.

    Q. 다음 기체 중 일반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로부터 발생되지 않는 것은?

    ∨① 염소
    ② 메탄
    ③ 암모니아
    ④ 메르캅탄

    Q. 다음 혐기성 처리 시 반응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온도가 하강하면 메탄형성 박테리아보다 산형성 박테리아가 더 영향을 받는다.
    ② 메탄 박테리아는 pH에 민감하므로 과도하게 낮거나 높은 pH에서는 반응이 느리다.
    ③ 혐기성 반응조에 독성 물질이 유입하면 메탄 반응이 더 큰 방해를 받는다.
    ④ 메탄 발생을 위한 최종 온도는 대체로 중온에서 35℃이고 고온에서는 55℃이다.

    Q. 혐기성 슬러지 소화조의 운영과 통제를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분석은?

    ① pH
    ② 알칼리도
    ∨③ 잔류염소
    ④ 소화가스의 CO2 함유도

    Q. 혐기성 소화조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

    ① 소화조에 주입되는 슬러지의 양과 특성
    ② 슬러지 소화를 위한 온도
    ∨③ 소요 산소량
    ④ 슬러지의 소화정도

    Q. 슬러지 처리 방법 중 혐기성 소화방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비료가치가 호기성 소화방식에 비하여 크다
    ② 운전이 호기성 소화방식에 비하여 까다롭다.
    ③ 질소는 NH3-N 으로 방출한다.
    ④ 상등액 BOD, SS등이 호기성 소화방식에 비하여 높다.

    Q. 혐기성소화조의 부대장치 중 필요치 않은 것은?

    ① 교반장치
    ∨ ②산기장치
    ③ 가온장치
    ④ 가스포집장치

    Q. 혐기성소화에 있어서 소화된 슬러지와 생슬러지의 비교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소화슬러지는 생슬러지에 비해 알칼리도가 낮다.
    ② 대체로 소화슬러지의 열량이 생슬러지의 열량에 비해 낮다.
    ③ 소화슬러지의 탈수성은 생슬러지에 비해 일반적으로 좋다.
    ④ 소화슬러지는 생슬러지에 비해 병원균이 적다.

    Q. 혐기성소화 탱크의 부피를 결정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① 소화슬러지 축적 속도
    ② 소화슬러지 저장기간
    ③ 소화기간
    ④ 소화슬러지 부하유량


    ● 혐기성 소화

    1. 원리

    (1) 혐기성 소화는 혐기성균의 활동에 의해 슬러지가 분해되어 안정화되는 것이다.
    (2) 소화 목적은 슬러지의 안정화, 부피 및 무게의 감소, 병원균 사멸 등을 들수 있다.
    (3) 공정 영향인자에는 체류시간, 온도, 영양염류, pH, 독성물질, 알칼리도 등이 있다.
    (4) 혐기성 소화공정을 적절하게 운전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입슬러지의 상태 및 주입량, 소화조내의 슬러지 성상, 거품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이상사태가 발생하면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혐기성 소화

    용존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으로 슬러지 중의 유기물은 혐기성균의 활동에 의해 분해된다


    3. 혐기성 소화가 호기성 소화에 비해 지닌 장점

    • 고농도 폐수를 직접 처리 가능하다
    • 영양원은 적게 소요된다
    • 처리후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 유효한 자원인 메탄이 생성된다.
    •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4. 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혐기성으로 소화시키는 목적

    ① 슬러지내의 유기물을 분해시킴으로써 슬러지를 안정화시킨다.
    ② 슬러지의 무게와 부피를 감소시킨다.
    ③ 이용가치가 있는 메탄을 부산물로 얻을 수 있다.
    ④ 병원균을 죽이거나 통제할 수 있다.

    5. 혐기성 소화조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원인

    - 유입수의 과다한 기름성분 함유
    - 과다 혹은 과소 혼합
    - 유입수 중 높은 활성슬러지 함유량
    - 심한 온도 변화
    - 높은 CO2 농도
    - 높은 알칼리도 등

    ● 호기성 소화

    호기성 소화는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이용하여 유기물의 안정화를 도모하며, 슬러지 감량뿐만 아니라 차후의 처리 및 처분에 알맞는 슬러지를 만드는데 있다.


    1) 장점
    - 최초 시공비가 싸다
    - 악취 발생이 적다
    - 운전이 용이하다
    - 상징수의 수질이 양호하다

    2) 단점
    - 소화슬러지의 탈수불량
    - 포기에 드는 동력비 과다
    - 유기물 감소율 저조
    - 건설부지 과다
    - 저온시의 효율 저하
    - 가치있는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음.


    출처: 하수도시설기준(2011)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