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고도처리공법[하수의 고도처리(생물학적 고도처리)]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6. 10:13
    728x90
    반응형

    Q. 부영양화를 제어하기 위한 고도처리공법 중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의 운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 제거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혐기와 호기조건이 반복되어야 한다.

     침전조에서 반송된 슬러지는 혐기조 유입부로 투입된다.

    ∨③ 질산염은 인방출을 촉진한다.

     유출수 내 인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금속염을 공정 내 주입할 수 있다

     

    Q. 다음 중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하수내 질소를 제거(3차 처리)하기 위한 공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SBR 공정 

     UCT 공정 

    ∨③ A/O 공정 

     Badenpho 공정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가 아닌 것은?

     A2/O  bardenpho  phostrip ∨ ④ A/O

     

    Q. 2차적 처리 수중에 함유된 N, P 등의 영양 염류는 하류 수역의 부영양화 원인이 된다. P를 제거하기 위한 처리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polyelectrolytes에 의한 응집 

     활성 Alumina로 채워진 흡수관

     생물학적 탈인 

    ∨④ Air stripping

     

    Q. 다음의 그림은 생물학적 3차처리를 위한 A/O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각 반응조 역할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① 혐기조에서는 유기물제거와 인의 방출이 일어나고 폭기조에서는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폭기조에서는 유기물 제거가 일어나고 혐기조에서는 질산화 및 탈질이 동시에 일어난다.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탄소원인 메탄올 등을 폭기조에 필요에 다라 간헐적으로 주입한다.

     혐기조에서는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나며 폭기조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난다.

     

    Q. 하수고도처리를 위한 A/O 공정이 일반적인 활성슬러지 공법과 비교하여 가지는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포기조내에서 질산화가 잘 이루어진다. 

     폭기조내에서 탈질이 잘 이루어진다.

    ∨③ 잉여슬러지내의 인농도가 매우 높다. 

     최종 침전지 상등수를 응집처리한다.

     

    Q. 생물학적 방법으로 하수내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 공정의 A/O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무산소조에서 질산화 및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혐기조에서 유기물제거와 함께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폭기조에서 인의 방출과 질산화가 동시에 일어난다.

    ∨④ 하수내의 인은 결국 잉여슬러지의 인발에 의하여 제거된다.

     

    Q. 하수 내 함유된 유기물질 뿐 아니라 영양물까지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된 A2/O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인과 질소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혐기조에서는 인의 방출이 일어난다.

    ∨③ 폐슬러지 내의 인함유량은 일반 슬러지에 비해 2~3배 낮게 유지될 수 있다.

     폭기조의 주된 역할은 질산화와 인의 과잉 섭취이며 다시 무산소조로 반송시킨다.

     

    Q. 하수의 고도처리시 N, P을 동시 제거할 수 있는 A2O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호기조와 질산성 질소의 순환에 따라 혐기조와 무산소조로 구분된다

    ∨② 혐기성 반응조에서 인을 섭취하고, 후속 호기조에서 미생물이 인이 방출한다.

     무산소조에서는 호기조의 내부 반송수중의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역할을 한다.

     혐기조에서는 유입수나 탄소원 또는 아세트산 등의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이 존재해야 한다

     

    Q. 아래의 공정은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의 대표적 공정인 A2/O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각 반응조의 기능에 대하여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 혐기조인 방출 / 무산소조탈질 / 폭기조질산화

     

     고도처리법 중 하나인 A2/O공정의 순서: 혐기조-무산소조-호기조

    ≒ 2차 처리수 중 미제거된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한 UCT 프로세스의 배열: 혐기성조 → 무산소조 → 호기성조 → 침전조

    Q. 생물학적 질소, 인 처리공정인 5단계 Bardenpho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폐슬러지내의 인의 농도가 높다.

     1차 무산소조에서는 탈질화현상으로 질소제거가 이루어진다.

    ∨③ 호기성조에서는 질산화와 인의 방출이 이루어진다.

     2차 무산소조에서는 잔류 질산성질소가 제거된다.

     

    Q. 생물학적으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공법 중 5단계 Bardenpho공정의 호기조 역할이 아닌 것은?

    ∨① 탈질 

     질산화 

     BOD제거 

     인과잉 섭취

     

    Q. 3차 처리 프로세스 중 5단계-Bardenpho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혐기조에서는 질산화로 질소가 제거된다.

     혐기조에서는 용해성 인의 방출이 일어난다.

     인의 제거는 인의 함량이 높은 잉여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폭기조에서는 질산화 과정이 일어난다.

     

    Q. 하수처리에서 기존의 활성 슬러지 공정과 비교할 때 막분리 생물반응조 공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8지방직9급)

    ∨① 일반적인 처리장 운전에서 슬러지 체류시간을 짧게 하여 잉여 슬러지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② 하수처리를 위한 부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③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짧게 유지할 수 있다

    ④ 주기적인 막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이 발생한다


    ● 생물학적 고도처리 (생물학적 탈질과정)

    1. 원리

    - 인 제거: 혐기(인 방출), 호기(인 섭취) -> Acinetobacter

    - 질소 제거: 호기(독립영양 미생물에 의한 질산화), 무산소(종속영양 미생물에 의한 탈질)

    - 유기물 제거: 호기조(호기성 종속영양 미생물)

     

    2. 질소제거 반응

    ① 질산화 반응

     

    탈질산화 반응 

    - 종속영양미생물에 의해 진행된다

    - 반응 후 pH가 증가하면서 알칼리도도 증가한다

     

    ※ 질소순환

     

    3. A/O 공법 (혐기호기조합법)

    - 생물학적 인 및 질소제거 공정 중 인의 제거만을 주목적으로 개발한 공법

    - 잉여슬러지내의 인농도가 활성슬러지 공법에 비해 매우 높다. 

    - 하수유입과 반송슬러지의 유입이 첫 단계의 혐기조로 함께 유입되는 생물학적 탈 인 공정의 대표적인 예이다.

    - 하수내의 인은 결국 잉여슬러지의 인발에 의하여 제거된다.

    1) 공정

    - 혐기조: 유기물 제거와 P의 방출이 일어남

    - 폭기조(호기조): P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2) 장점과 단점

    ① 장점

    - 운전이 비교적 간단하다

    - 체류기간이 짧다

     

    ② 단점

    - 높은 정도의 질소와 인이 동시에 제거되지 않는다

    - 높은 BOD/P 비가 요구된다

    - 낮은 수온조건에서 운전 성능이 불확실하다

    - 공정의 운전 유연성이 제한되어 있다

    - 호기성 미생물의 체류기간 감소시 고효율의 산소 전달장치가 필요하다 

     

     

    4. A2/O 공법 (혐기무산소호기조합법)

    -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공법

    - A/O 공정에서 인 제거, 무산소조건에서 질소가 제거되어지는 공법

    - 호기조와 질산성 질소의 순환에 따라 혐기조와 무산소조로 구분된다

    환경직공무원 교재 226p / 시대고시기획

    혐기반응조, 무산소(탈질)반응조, 호기(질산화)반응조의 순서로 배치하여 유입수와 반송슬러지를 혐기반응조에 유입시키면서, 호기반응조 혼합액을 무산소반응조에 순환시키는 방법이다.

    ① 혐기조

    - P의 방출이 일어난다

    - 유입수나 탄소원 또는 아세트산 등의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이 존재해야 한다

    ② 무산소조:  호기조의 내부 반송수중의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역할을 한다.

    ③ 폭기조(호기조): 질산화와 인의 과잉 섭취하고 다시 무산소조로 반송시킨다.

     

     

    5. Bardenpho 공정 

    - 질소와 인을 제거한다 

    - 폐슬러지내의 인의 농도가 높다.

    - 인의 제거는 인의 함량이 높은 잉여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환경직공무원 교재 227p / 시대고시기획

    ① 혐기조

    - 용해성 인의 방출이 일어난다.

    ② 1차 무산소조

    - 탈질화현상으로 질소제거가 이루어진다.

    ③ 1차 폭기조(호기조)

    - BOD 잔여량을 제거한다

    - 질산화 과정이 일어난다

    - P의 과잉섭취 

    ④ 2차 무산소조

    - 잔류 질산성질소가 제거된다.

    ⑤ 2차 폭기조

    - 최종 침전지의 인산염 인의 방출을 막기 위해 DO를 공급한다 

     

    6. UCT 공정

    - 질소와 인 제거 

     

    7. Phostrip 공정

    - 생물화학적 인 및 질소의 제거공법 중 인의 제거만을 주목적으로 개발된 공정

    - 비교적 유입수의 유기물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인을 과잉으로 함유하여 잉여슬러지로 배출하는 혐기호기조합법에 비해 슬러지의 처리가 용이하다.

    - 석회주입량은 알루미늄이나 금속염과 달리 알칼리도에 의하여 결정되고 탈인조 상징액이 총유입수량에 비하여 아주 적으므로 인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석회의 양이 순수화학처리방법보다 적게 된다.

     

    8. VIP 공정 

     

    9. SBR 공정

    -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폐수를 고도처리(영양염류 제거공정)하기 위한 공정중 하나의 탱크에서 시차를 두고 유입, 반송, 침전, 유출 등의 각 과정을 거치는 것

     

    10. 전무산소 공정

     

    11. MBR : 막분리 생물 반응조 

    - 생물반응조와 분리막을 결합하여 이차침전지 및 3차처리 여과시설을 대체하는 시설

    - 미생물 Floc을 중력침전의 침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분리막으로 분리하는 공정

     

    1) 장점

    - 안정적인 처리 수질을 얻는다

    - 완벽한 고액분리가 가능하며 높은 MLSS 유지가 가능하므로 지속적인 안정된 처리수질을 획득할 수 있다

    - 적은 소요부지로 부지이용성이 탁월하다.

    - 긴 SRT 로 인하여 슬러지발생량이 적다.

    -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짧게 유지할 수 있다

     

     

    2) 단점

    - 분리막의 유지보수비용, 특히 분리막의 교체비용 등이 과다하다.

    - 질산화균 증식이 가능하다

    - 분리막의 파울링에 대처가 곤란하며, 높은 에너지 비용소비로 유지관리 비용이 증대된다.

    - 분리막을 보호하기 위한 전처리로 1mm 이하의 스크린 설비가 필요하다.

     

    12. 혐기성 암모늄 산화 공정 (ANAMMOX)

    https://www.bkt21.co.kr/paper-link/2020/amx3

    ammonia와 nitrite를 각각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여 질소를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질소 제거 과정을 단축함과 동시에 별도의 유기물을 주입할 필요가 없으며 부산물인 슬러지의 발생 량도 감축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질소 제거 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① ANAMMOX 세균 전자공여체 : 암모늄이온 NH4+

    ② ANAMMOX 세균 전자수용체: NO2-

    ③ 탄소원: HCO3- 독립영양미생물

    ④ 효과적 운영을 위해 많은 바이오매스량이 필요하다

    ⑤ 잉여슬러지가 적게 발생된다 

     

     

     

    참고:

    하수도시설기준(2011)

    https://www.koreascience.or.kr/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