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
[수질] 부영양화, 적조현상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4
Q.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에 따른 영향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플랑크톤 증식으로 호수가 오탁됨에 따라 관광가치가 하락된다. ② 활발한 광합성으로 인해 용존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므로 양식장으로 적지가 된다. ③ 상수원인 경우, 여과지를 폐쇄하여 물의 정화를 어렵게 한다. ④ 조류의 광합성 증가로 인해 유기물 생성이 증가하고, 호수 심층의 용존산소가 감소한다. 답: 2번 Q. 다음 중 부영양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과 관련이 없는 항목은? ① ADI ② TSI ③ AGP ④ SDI 답: 1번 Q. 호수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수 TSI에 적용하는 수질변수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총인 ② 총질소 ③ 클로로필-a ④ 투명도 답: 2번 Q. TSI 중 대표적인 것은? ① Carlson 지수 ② Morrill ..
-
[수질] 수심에 따른 , 계절에 따른 호소 성층현상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4
Q. 호소 및 저수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연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2018서울시9급) ① 호소의 성층현상은 수심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로 인해 수직방향으로 밀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층상으로 구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② 표수층은 호소 혹은 저수지의 최상부층을 말하며 대기와 집적 접촉하고 있으므로 산소 공급이 원활하고 태양광 직접 조사를 통해 조류의 광합성 작용이 활발히 일어난다 ③ 여르 이후 가을이 되면서 높아졌던 표수층의 온도가 4도까지 저하되면 물의 밀도가 최대가 되므로 연직방향의 밀도차에 의한 자연스러운 수직혼합현상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표수층의 풍부한 산소와 영양성분이 하층부로 전달된다 ④ 겨울이 되어 호소 및 저수지 수면층이 얼게 디면 물과 얼음의 밀도차에 의해 수면..
-
[수질] 자정작용, 자정계수, Whipple 4지대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4
Q. 하천의 자정작용은 통상 겨울보다 여름에 더 활발하다. 그 원인으로 알맞은 것은? ① 여름에는 겨울보다 햇빛이 강해 살균작용이 크다. ② 겨울에는 수면이 얼어서 공기가 물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율이 낮기 때문이다. ③ 여름에는 유량이 크므로 포기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④ 여름의 높은 온도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답: 4번 Q. 자정작용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① 화학적 자정작용인 산화과정이란 공기 중에서 흡수된 산소에 의해 유기물을 수중의 용존산소에 의해 보다 안정된 유기물이나 가스로 변화시킨다. ② 일반적으로 겨울보다는 여름에 자정작용이 크다. ③ 자정작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물리적 자정작용으로 희석, 확산, 혼합, 응집, 침전, 여과 등이 있다. ④ 생물학적 자정..
-
[수질] 수질환경미생물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9:13
Q. 다음 중 조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규조류는 광합성 생물로서 수중에 존재하는 실리카를 추출하여 세포골격을 만들며 수중동물의 먹이그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② 녹조류는 대체로 여름철에 가장 풍부하며, 선명한 초록색을 띠는 이유는 엽록소 a와 b, 크산토필 (xanthophyll),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등의 광합성 색소가 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③ 남조류는 bacteria에 가까우며, 내부기관 미분화되어 있고 단세포, 또는 세포가 여러개 집합된 선상체를 형성하거나 한천질 피막에 묻힌 균체를 형성한다. ④ 적조란 해수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조류가 단시간내에 급격히 증식하여 물의 색을 변하게 하는 현상인데, 마지막단계에서 규조류가 급성장한다. 답: 4번 Q. 환경미생물에..
-
[수질] 알칼리도, 알칼리도 계산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2. 00:00
Q. 알칼리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총알킬리도는 pH를 8.3까지 낮추는데 소모된 산의 양을 CaCO3로 환산한 양이다. ② 응집처리시 응집제를 사용하면 알칼리도가 감소한다. ③ 알칼리도가 낮은 물은 철관을 부식시키기 쉽다. ④ 산이 유입될 때 이를 중화시킬수 있는 능력의 척도이다. 답: 1번 Q. 알칼리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산이 유입될 때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의 척도이다. ② 알칼리도는 물에 알칼리를 주입, 소모된 알칼리물질의 양을 환산한 값이다. ③ 메틸오렌지 알칼리도와 총알칼리도는 같은 의미이다. ④ 알칼리도 유발물질로는 수산화물, 중탄산염, 탄산염 등이 있다. 답: 2번 Q. 알카리도에 관한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총알카리도는 M-알카리도와 P-알카리도를 ..
-
[수질] DO 용존산소량, 윙클러 아지드법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1. 08:49
Q. 수중의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은 조건으로 옳은 것은? ① 물의 온도가 높은 것 보다 낮은 쪽이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② 수중 유기물양이 많은 쪽이 적은 쪽보다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③ 같은 온도에서 염분이 많은 물이 적은 물보다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④ 재폭기계수(k2)가 큰 물보다 작은 물이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답: 1번 Q. 포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산소의 전달속도는 기포가 작을수록 크게 된다. ② 산소의 전달속도는 교반강도가 클수록 크게 된다. ③ 산소의 전달속도는 수중의 용존산소농도가 높을수록 크게 된다. ④ 산소의 전달속도는 공기 중의 산소 분압이 작게 되면 감소한다. 답: 3번 Q. 수중의 산소전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수온이 높아지면 재폭기 계수가 ..
-
[수질] COD, NOD, TOC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1. 08:48
Q. 다음 중 COD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COD는 물속의 총산화성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산화제로서는 황산과 염산을 사용한다. ② 펄프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통상적으로 COD가 BOD보다 더 높은 편이다. ③ 우리나라에서는 COD측정을 위해 중크롬산칼륨을 사용한다. ④ COD의 검정에 있어 염화물이온의 마스킹제로서 첨가하는 물질은 염화구리이다. ⑤ COD에는 생물이 분해하지 못하는 유기물도 포함되므로 단점이 되고 있다. 답: 2번 Q. 다음 중 CO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COD로 생물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의 함량을 추정할 수 있다. ② 산화제를 촉매로 사용하여 산화할 때 감소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한다. ③ BOD는 측정하는데 5일이 걸리는 반면 COD는 2시간 정도면 측정이 ..
-
[수질] 점오염원, 비점오염원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0. 30. 00:07
Q. 오염원 형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점오염원은 관이나 지점을 통하여 유입된다. ② 생활하수나 산업폐수는 점오염원에 속한다. ③ 비점오염원은 분산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④ 비점오염원은 차집하여 종말처리시설로 처리한다. ⑤ 비점오염원이 총 오염부하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기도 한다. 답: 4번 Q. 다음 중 비점오염원(Point Source)으로 옳은 것은? ① 가정하수 ② 공장폐수 ③ 공단폐수 ④ 농경지 유출수 답: 4번 Q. 다음 중 비점오염원(point sour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보다 넓은 면적에 분포되어 있다. ② 토지이용이 고도화함이 따라 비점오염원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③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에 비해 차집이 어렵고 계절에 따른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