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8. 시설론 - 소화용수설비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0. 11:50
1. 소화용수설비 - 화재를 진압하는 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저장하는 설비 1) 상수도소화용수설비 - 호칭지름 75㎜ 이상의 수도배관에 호칭지름 100㎜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할 것 - 소화전은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할 것 - 소화전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것 2) 소화수조·저수조, 그 밖의 소화용수설비 - 수조를 설치하고 여기에 소화에 필요한 물을 항시 채워두는 것 - 소화수조, 저수조의 채수구 또는 흡수관투입구는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저수량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을 다음 표에 따른 기준면적으로 나누어 얻은 수(소수점이하의 수는 1로 본다)..
-
[소방학개론] 8. 시설론 - 소화설비(소화기구, 자동소화장치)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8. 11:50
1. 소화설비 2. 소화기구 1) 소화기 - 물이나 소화약제를 압력에 의하여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조작하여 소화하는 것(소화약제에 의한 간이소화용구를 제외한다)을 말한다 - 소화약제의 양, 방출시간, 방출거리, 화재의 종류 등에 따라 소화 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초기 소화에는 절대적인 효과가 있지만 플래시 오버(Flash Over) 시에는 효과가 없다. - 소화기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소화 능력단위, 소화약제 분출방법,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1) 가압방식에 따른 분류 ① 가압식 소화기 -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가압가스를 소화기 본체 용기와는 별도의 가압용 가스용기에 충전하고 소화기 가압용 가스 용기의 작동 봉판을 파괴하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방..
-
[소방학개론] 8. 시설론 - 소방시설 분류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8. 10:01
1. 소방시설 -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구조설비, 소화용수설비, 그 밖에 소화활동설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2. 소방시설의 종류 ☆☆☆☆☆☆☆☆☆☆☆☆ 문제유형 : 설비와 종류의 연결문제 1) 소화설비 소화설비 -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 소화기구 - 소화기 - 간이소화용구(에어로졸식 소화용구, 투척용 소화용구, 소공간용 소화용구 및 소화약제 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 - 자동확산 소화기 자동소화장치 -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 -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 가스자동소화장치 - 분말자동소화장치 - 고체에어로졸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설비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 스프링클러설비등 - 스프링클러설비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캐비..
-
[소방학개론] 7. 위험물질론 - 위험물 정의, 위험물 분류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20:55
1. 위험물의 정의 2. 위험물 유별 - 성질 - 품명 - 지정수량 연결 3. 위험물 성질 1. 위험물 -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 ☆☆ 2. 위험물 분류 ☆☆☆☆☆ ※ 헷갈리는 것 - 과염소산염류 : 제1류 위험물 - 과염소산: 제6류 위험물 - 황화린 : 제2류 위험물 - 황린 : 제3류 위험물 1)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 - 산화성고체 : 고체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 또는 충격에 대한 민감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 (1) 성질 - 강산화제 ☆ - 불연성, 조연성(지연성)물질 ☆☆ - 대부분 무기화합물 ☆ - 대부분 무색결정 또는 백색분말 ☆ - 비중..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가스=청정소화약제)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7:58
1. 청정소화약제 - 할로겐화합물(할론1301, 1211, 2402 제외) 또는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 화재진화 후 잔사가 남지 않는다 ☆ -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소화약제 ☆ - 소화 후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다 ☆ - 부패 변질 등 화학적 변화가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 2. 청정소화약제의 조건 (1) 소화성능 - 소화성능이 우수할 것 -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 -냉각, 부촉매 효과로 소화 ① F, Cl이 들어가는 물질은 냉각이 주, 부촉매가 보조효과 ② Br, I가 들어가는 물질은 부촉매가 주, 냉각이 보조효과 - 불활성기체 청정소화약제 - 질식, 냉각효과 소화 (2) 독성 - 독성이 적어 인체에 무해할 것 -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 ① NOAEL - 농도를 증가시킬때 악영향을 감지할 수 없는..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분말)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6:03
1. 분말 소화약제 1) 소화효과 - 습기에 방지하지 못하면(습기에 약하면) 소화효과가 떨어진다 ☆ - 유동성이 좋아야 소화효과가 높아진다 ① 질식효과 ☆ - 분말 소화약제가 열에 의해 분해될 때 CO2, NH3, 수증기 등의 불연성 기체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저하되어 나타나는 현상 ② 냉각효과 ☆ - 분말 소화약제가 열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되는 흡열반응과 고체분말에 의한 화염온도가 저하(고농도인 경우)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주된 소화효과는 아니다. ③ 부촉매효과 - 분말 소화약제가 고온의 화염에 접하게 되면 그 일부가 분해되어 유리 할로겐(Na+, K+, NH4+ ) 이 발생되고 이 유리할로겐이 가연물의 활성라디칼(H-, OH-)인 연쇄전달체를 포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크게 하여 연소반응..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할론)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5:18
1. 할론(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 지방족 탄화수소인 메탄(CH4), 에탄 (C2H6)등의 수소 일부 또는 전부가 주기율표 VII족 원소 (F, Cl, Br, I 등 ) 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하며, Halon15)이라고 부르고 있다 - 연소의 요소 중의 하나인 연쇄반응을 억제시켜 소화하는 부촉매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화학적 소화에 해당된다 - 상온 상압에서 기체(할론1301, 할론1211) 또는 액체상태(할론2402)로 존재하나 저장하는 경우에는 액화시켜 저장하며 일반적으로 유류화재 (B급) , 전기화재(C급)에 적합하나 전역방출과 같은 밀폐상태에서는 일반화재 (A급)에도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위험물에 적응이 가능하지는 않다 ☆ 1) 할론 소화약제의 소화효과 ☆ ① 질식효과 : 공기 중의 산소농..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포)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4:15
1. 포 소화약제 ☆ -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는 위험물 화재시 사용하는 설비 - 폼을 방사하여 화언의 표면을 덮음으로 유류표면에 물로 형성된 층은 물과 기름의 엷은 막을 만들며 곧 공기차단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연소의 확대 우려가 큰 가연성 액체의 화재 등에 사용하는 설비로서 연소의 4요소 중 산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이다 - 포의 생성원리에 따라 화학포와 기계포로 분류하며 기계포는 다시 단백포, 수성막포, 합성계면활성제포, 불화단백포 등으로 재분류 할 수 있다. - 포소화약제는 소화성능, 독성, 환경영향성, 물성, 안전성, 경제성 측면에서도 분류할 수 있다 1) 포의 성질 - 소화성능은 포의 성질인 단친매성과 양친매성 성질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