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화상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7:30
1. 1도 화상 ☆ - 홍반성 - 표피에 국한된 손상으로 그 부위가 빨간 색깔을 띠고 심한 통증을 느낌 - 태양광이나 부엌에서 약하게 데인 정도 - 국소연고제로만으로 효과가 있으며 흉터가 남지 않음 2. 2도 화상 ☆ - 수포성 - 진피까지 손상되어 그 부위가 분홍 색깔을 띠고 분비물이 모여 물집이 생김 - 진피 손상깊이에 따라 얕은 도와 깊은 도로 나누어진다 1) 얕은 2도(표재성) ∙ 표피 전부와 진피의 까지 1/3 화상 ∙ 과열된 온수나 불꽃 화상에 의해 발생 ∙ 1~2주내에 재상피화가 일어나면서 치유 오랫동안 연한 변색 2) 깊은 2도(심재성) ∙ 표피 전부와 진피의 까지 2/3 화상 ∙ 3~8주 치료로 재상피화 ∙ 염증이 생기면 도 화상으로 전환됨 3. 3도 화상 ☆ - 괴사성 - 표피와 진피외..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열전달(전도, 대류, 복사)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7:17
1. 열전달 - 온도차가 발생되어 열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 - 종류 : 전도, 대류, 복사 ☆ 1) 4가지 온도 관계 2) 전도 - 고체 또는 정지상태의 유체 (액체, 기체)에서 매질을 통해 이루어진다. ☆ - 물체내의 온도차로 인해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직접접촉에 의하여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 물질들의 분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위치의 변동 없이 분자의 진동에 의해 열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열의 전달은 전도에 기인한다 ☆ - 완전 진공상태에서는 열은 전달되지 않는다. - 고체는 기체보다 열전도율이 좋다. - Fourier의 열전도 법칙을 따른다 - 주택의 벽면용 단열재의 경우 • 벽의 면적이 클수록 열손실이 많다 (면적: A) •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기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00:31
1. 연기 - 공기 중 부유하는 0.01 ~ 10μm 크기의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 ☆ - 연기생성물 중에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가 들어 있어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 - 기체 가운데 완전 연소되지 않은 가연물이 고체 미립자가 되어 떠돌아다니는 상태 - 탄소함유량이 많은 가연성 물질이 산소부족 상태에서 연소할 경우 다량의 탄소입자가 생성되는 것 - 연기는 독성이 있다 ☆ - 공기보다 고온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천장의 하면을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 - 유동속도: 수평방향(0.5~1m/s) < 수직방향(2~3m/s) < 계단실내(3~5m/s) ☆☆☆☆ - 피난활동 중 인체 시각의 제약요인이 가장 큰 것이다 ☆ 2. 연기의 유동 ☆ ① 바람 ☆☆ - 외부의 바람이 건물 내로 유입하여 연기를 이동시킬 수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가스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23:13
▶ 유해 연소 가스 발생상황 (1) Flashover 산소농도는 급강하하여 직후 약 2[%] (2) CO2농도는 급상승하여 최고 농도는 15[%], CO 6[%] (3) CO > HCl > HCN > NH 3 순서로 많이 발생 (4) HCl 은 합성계, 나머지는 천연계에서 많이 발생 (5) CO농도는 화재하중이 클수록 환기량이 적을수록 증대 ▶ 유해 연소 가스의 분류 유해(연소) 가스는 마취성 가스, 자극성가스, 독성가스로 분류한다 (1) 마취성가스: CO, HCN, CO, 고농도CO2, 저농도O2 (2) 자극성가스: HCl, HF, HBr, 아크롤레인, 폼알데하이드 (3) 독성가스: CO, HCl, HCN, NH3, COCl2, SO2, NO2 ※ 연소가스의 독성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 독성가스: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에너지조건, 자연발화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5:56
1. 에너지 조건 - 온도: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 1) 인화점(Flash Point) - 외부 에너지(점화원)에 의해 발화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 ☆ - 물적조건과 에너지조건이 만나는 최소값이다. -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는 최저온도이다. - 액면에서 증발된 증기의 농도가 연소하한계에 도달하여 점화되는 최저온도 ☆ - 증기가 연소범위의 하한계에 이르러 점화되는 최저온도 ☆ - 가연성 액체의 위험도 기준 ☆ 2) 연소점(Fire Point) - 연소시 필요한 온도 - 가연물에 점화원을 제거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소할 수 있는 온도 ☆ - 외부에너지를 제거해도 발열반응의 연소열에 의해 미반응부분의 연쇄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온도 - 자력에 의해 연소를 지속할 수 있는 온도 - 인화점에 도달하여도..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범위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2:20
1. 연소범위 - 연소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가연성가스나 증기의 농도범위 - 자력으로 화염을 전파하는 공간 1) 연소상한계와 하한계 (1) 연소하한계(LFL) = 가연물의 최저용량비 ① 공기중에서 가장 낮은 농도에서 연소할 수 있는 부피 ② 지연성가스는 多 가연성가스는 小 그 이하에서는 연소할 수 없는 한계치 ③ 연소하한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크다 ☆☆☆ ④ 물질의 인화점에 해당한다 ☆☆ (2) 연소상한계(UFL) = 가연물의 최대용량비 ① 공기중에서 가장 높은 농도에서 연소할 수 있는 부피 ② 지연성가스는 小 가연성가스는 多 그 이상에서는 연소할 수 없는 한계치 ③ 연소상한계가 높을수록 위험성이 크다 ☆☆☆ 2) 연소범위의 특징 ☆ (1) 연소범위 - 가연성 혼합기에 점화했을때 화염이 지속되는 범위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의 정의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0:36
1. 연소 1) 정의 ☆☆☆☆ -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만나 빛과 열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현상 = 물질이 산화제와 화합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는 급격한 산화반응 = 빛과 발열반응을 수반하는 산화반응 2) 산화반응과 환원반응 ☆ 구분 산소 전자 수소 산화반응 얻음 잃음 잃음 환원반응 잃음 얻음 얻음 3) 발열반응 에너지 변환의 한 과정으로 발열은 물질이 보유한 화학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할 때 발생한다. 이는 연소전후 생성열 차이로 나타나며 발생한 열은 물질의 온도상승에 사용된다. ☆ 기출문제 ☆ 면접에도 중요함
-
[소방학개론] 1. 기본이론 - 기체의 법칙, 기타의 법칙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09:33
1. 보일의 법칙 ☆ -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한다 2. 샤를의 법칙 -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3. 보일-샤를의 법칙 -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4. 아보가드로의 법칙 -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몰수에 비례한다 - 모든 기체는 등온 · 등압일 때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 5.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P = 기체의 압력 V = 기체의 부피 n = 기체 성분의 양 R = 기체상수, 볼츠만상수와 아보가드로 수의 곱 T = 기체의 절대온도 • 세 가지 기체 법칙 즉 기체의 부피가 압력, 온도, 몰수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받는가를 하나의 식으로 결합시킨 식 • 이상기체 법칙을 사용하면 변수 P,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