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간부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분말)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6:03
1. 분말 소화약제 1) 소화효과 - 습기에 방지하지 못하면(습기에 약하면) 소화효과가 떨어진다 ☆ - 유동성이 좋아야 소화효과가 높아진다 ① 질식효과 ☆ - 분말 소화약제가 열에 의해 분해될 때 CO2, NH3, 수증기 등의 불연성 기체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저하되어 나타나는 현상 ② 냉각효과 ☆ - 분말 소화약제가 열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되는 흡열반응과 고체분말에 의한 화염온도가 저하(고농도인 경우)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주된 소화효과는 아니다. ③ 부촉매효과 - 분말 소화약제가 고온의 화염에 접하게 되면 그 일부가 분해되어 유리 할로겐(Na+, K+, NH4+ ) 이 발생되고 이 유리할로겐이 가연물의 활성라디칼(H-, OH-)인 연쇄전달체를 포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크게 하여 연소반응..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할론)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5:18
1. 할론(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 지방족 탄화수소인 메탄(CH4), 에탄 (C2H6)등의 수소 일부 또는 전부가 주기율표 VII족 원소 (F, Cl, Br, I 등 ) 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하며, Halon15)이라고 부르고 있다 - 연소의 요소 중의 하나인 연쇄반응을 억제시켜 소화하는 부촉매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화학적 소화에 해당된다 - 상온 상압에서 기체(할론1301, 할론1211) 또는 액체상태(할론2402)로 존재하나 저장하는 경우에는 액화시켜 저장하며 일반적으로 유류화재 (B급) , 전기화재(C급)에 적합하나 전역방출과 같은 밀폐상태에서는 일반화재 (A급)에도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위험물에 적응이 가능하지는 않다 ☆ 1) 할론 소화약제의 소화효과 ☆ ① 질식효과 : 공기 중의 산소농..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약제 (포)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4:15
1. 포 소화약제 ☆ -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는 위험물 화재시 사용하는 설비 - 폼을 방사하여 화언의 표면을 덮음으로 유류표면에 물로 형성된 층은 물과 기름의 엷은 막을 만들며 곧 공기차단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연소의 확대 우려가 큰 가연성 액체의 화재 등에 사용하는 설비로서 연소의 4요소 중 산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이다 - 포의 생성원리에 따라 화학포와 기계포로 분류하며 기계포는 다시 단백포, 수성막포, 합성계면활성제포, 불화단백포 등으로 재분류 할 수 있다. - 포소화약제는 소화성능, 독성, 환경영향성, 물성, 안전성, 경제성 측면에서도 분류할 수 있다 1) 포의 성질 - 소화성능은 포의 성질인 단친매성과 양친매성 성질에 의해..
-
[소방학개론] 6. 소화론 - 소화의 원리, 소화방법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1:31
1. 소화의 원리 ① 소화란 가연성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연소, 즉 화재를 산소의 공급을 차단 ․희석시키거나 발화온도 이하로 감소시키거나 가연성물질을 화재 현장으로부터 제거시키거나 연소의 연쇄반응을 차단․억제 시키는 것을 말한다. ② 소화방법은 연소의 3요소를 차단하는 질식, 냉각, 제거 or 물적, 에너지조건을 제어하는 물리적 소화방법과 화학적 제어를 통해 연소의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화학적 소화방법이 있다. 2. 소화방법 ☆☆☆☆☆ - 제거소화, 질식소화, 냉각소화, 억제소화 1) 물리적 소화 (1) 제거소화 ☆☆☆ - 연료의 공급이 “0”이 되도록 가연물을 연소상태에서 직접 제거하거나 격리시킨다. - 가연물을 제거하거나 공급을 중단시켜 소화시킨다 - 유전..
-
[소방학개론] 5. 방화론 - 건축물의 피난계획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10:00
1. 피난안전구역 - 건축물의 피난·안전을 위하여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 ① 초고층 건축물 -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 ② 준초고층건축물 -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 1)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 대피에 장애가 되지 아니한 범위에서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등 건축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같은 층에 설치 가능, 이 경우 피난안전구역은 건축설비 설치공간과 내화구조로 구획 - 피난안전구역에 연결되는 특별피난계단은 피난안전구역을 거쳐서 상하층으로 갈 수 있는 구조로 설치 -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함. 2) 피난층 -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
[소방학개론] 5. 방화론 - 건축물의 방재계획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7. 09:42
1. 건축물 용어 (1) 피난층 -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 (2) 지하층 -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 -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인 것 (3) 무창층 ☆ - 무창층”(無窓層):지상층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건축물에서 채광ㆍ환기ㆍ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ㆍ출입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30분의 1 이하가 되는 층 ① 크기 :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한 것 ☆☆ ② 높이 : 그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내일 것 ☆ ③ 위치 : 도로 또는 차량의 진입이 가능한 공지에 면할 것 ④ 구조 :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
-
[소방학개론] 5. 방화론 - 방화구조, 방화구획, 방염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6. 23:59
1. 방화구조 1) 방화구조 ① 일정시간동안 일정구획에서 화재를 한정시키는 구조 ② 화재에 대한 내력은 없더라도 화재 시 건축물의 인접부분으로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구조 ③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④ 내화구조보다는 방화성능이 적다. ⑤ 화재 성장기의 화재저항을 나타낸다 2) 방화구조의 기준 - 두께 2 cm 이상: 철망 모르타르 바르기 : 두께 2 cm 이상 - 두께 2.5 cm 이상 ㆍ석고판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 바른 것 : ㆍ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 ㆍ시멘트 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 - 모두 해당 :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2. 방화구획 1) 방화구획 ☆ - 실내화재 발생시 인접 구역의 화염, 열, ..
-
[소방학개론] 5. 방화론 - 건축물 내화구조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6. 23:32
1. 내화구조 ① 화재 시 일정시간동안 건물의 강도ㆍ성능 유지가능 구조 ② 내장재가 전소되더라도 다시 수리 사용할 수 있는 구조 ③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연화조, 석조 ④ 화재 최성기의 화재저항을 나타낸다. 2. 내화구조의 기준 ① 모든 벽 ㆍ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두께 10cm이상) ㆍ골구-철골조(그 양면을 두께 4cm 이상의 철망 모르타르 또는 5cm 이상의 콘크리트블록ㆍ벽돌ㆍ석재로 덮은 것) ㆍ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ㆍ석조(두께 5cm이상) ㆍ벽돌조(두께 19cm 이상) ㆍ고온ㆍ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콘크리트패널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조(두께10cm 이상) ② 외벽 중 비내력벽 ㆍ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두께 7cm이상) ㆍ골구-철골조(그 양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