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
[유기화학] 1. 구조와 결합(2) - 이온결합, 공유결합, 원자가결합이론, 혼성오비탈, 분자궤도함수전공/유기화학 2019. 12. 9. 16:48
1. 이온결합 - 양이온, 음이온이 화합물 내에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서로 붙들려 있는 결합 ex) Na+ + Cl- => NaCl 2. 공유결합 - 전자를 서로 공유해서 결합을 이룸. - 전자-점구조식과 선-결합구조식으로 공유결합을 나타낼 수 있음. 3. 원자가 결합 이론(VBT) - 두 원자가 서로 접근하여 한 워자에 전자 한 개가 들어있는 궤도함수와 다른 원자의 한 개 전자가 들어 있는 궤도함수가 서로 겹쳐질 때 공유결합이 형성된다. - σ - 결합: 두 개의 권자 궤도함수의 정면 겹침에 의해 형성된 결합 - 두 오비탈이 겹쳐지기 시작함에 따라 에너지는 방추로디고 안정성은 증가된다. ∴ 각 원자의 전자는 자신의 원자핵과 다른 원자의 양으로 하전된 원자핵에 끌리기 때문. - 양으로 하전된 두 원자핵..
-
[유기화학] 1.구조와 결합(1) - 원자구조, 동위원소, 양자수, 전자배치규칙, 오비탈전공/유기화학 2019. 12. 9. 16:39
1. 원자구조 - 원자: 핵+전자, 중성, 양성자의 수=전자의 수 - 핵: 양성자+중성자 - 전하: 전자: -1, 양성자: 1 , 중성자: 0 2. 동위원소 - 원자번호는 같지만 질량수가 다른 원자 - 질량수(A)=원자번호(Z)+중성자의 수 3. 양자수 1) 주양자수(n) : 전자가 채워지는 주 에너지의 준위, 껍질, 양의 정수 n = 1,2,3 … 2) 각운동량 양자수(l) : 전자가 채워지는 공간 영역의 모양, l = 0,1,2, … , (n-1) l = 0 ( s-orbital ) , l = 1 ( p-orbital ) , l = 2 ( d-orbital) , l = 3 (f-orbital) 3) 자기양자수(ml) : 부껍질 내에 존재하는 특정 궤도함수, 부껍질 내에 존재하는 궤도함수들은 공간 배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