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화학] 13. 방향족 화합물(3) - 치환기효과, 지향성 판단전공/유기화학 2019. 12. 12. 20:52728x90반응형
1) EDG와 EWG
① EDG (활성화기)
- 전자를 밀어주는 치환기
- 고리를 보다 더 전자가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 탄소양이온 중간체를 안정화시키고 활성화에너지를 낮춰 반응속도를 더 빠르게 한다.
② EWG (활성감소기)
- 전자를 끌어당기는 치환기
- 고리를 보다 전자가 부족하게 만든다.
- 탄소양이온 중간체를 불안정화시킨다.
③ 반응성: EDG > EWG
- EDG는 오쏘-파라- 지향성 활성기
- EWG 중 X는 오쏘-, 파라- 지향성 활성감소기
- EWG (X제외)는 메타- 지향성 활성감소기
④ 유발효과와 공명효과
- 유발효과: 전기음성도에 의해 시그마 결합을 통한 전자의 주기 또는 전자의 끌기가 나타난다.
-> EWG 치환기는 전기음성도에 의해 전자를 끈다.
-> EDG 치환기는 전기음성도에 의해 전자를 준다.
- 공명효과: 치환기에 있는 p 오비탈과 방향족 고리에 있는 p 오비탈과의 겹침을 통해 π 결합을 이루고 이를 통해 전자를 끌어당기거나 밀어준다.
- 오쏘- , 파라- 지향성을 판단할 때 공명효과와 유도효과를 모두 고려해야한다.
- 메타- 지향성을 판단할 때에는 유도 효과만 고려한다.
맥머리의 유기화학 표 16.1 맥머리의 유기화학 525P 2) 지향성 판단
① 알킬기가 있는 경우 -> 오쏘- , 파라-
- 오쏘- , 파라- 반응에서 공명형태를 살펴보았을 때 메틸기가 치환되어 있는 탄소에 양전하가 바로 놓여있고 이 탄소는 3차 탄소로서 메틸기의 전자주기 유발 효과에 의해 가장 잘 안정화 된다.
- 메타 중간체보다 오쏘와 파라 중간체의 에너지가 훨씬 낮고 빨리 생성된다.
맥머리의 유기화학 그림16.13 ② -OH, -NH2, 할로젠 기가 있는 경우
- 할로젠 원소는 약한 전자주기 공명효과에 비해 강한 전자 끌기 유발효과가 더 영향을 많이 주기 때문에 활성감소기
- 오쏘와 파라 중간체는 산소 또는 질소 또는 할로젠 원소로부터 전자쌍을 받음으로써 양전하가 안정화 되는 공명구조를 가지고 있다.
- 메타 중간체는 양전하가 안정화되지 않는다.
맥머리의 유기화학 그림 16.14 ③ EWG (할로젠 원소 제외) 있는 경우
- 오쏘와 파라 중간체에 모두 알데하이드 기를 가지고 있는 탄소에 직접적으로 양전하가 놓여있기 때문에 불안정하다. -> 카보닐기에서 양으로 하전된 탄소 원자와 반발력이 작용하게 됨.
맥머리의 유기화학 그림16.16 728x90반응형'전공 > 유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화학] 14. 알코올, 페놀 반응 - 제법, 피나콜 자리옮김 반응, Kolbe-Schmitt 반응 (0) 2019.12.13 [유기화학] 13. 방향족 화합물(4) - 친핵성 방향족 치환 반응(SNAr), 벤자인, 산화반응, 환원반응 (0) 2019.12.13 [유기화학] 13. 방향족 화합물(2) -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EAS) (0) 2019.12.12 [유기화학] 13. 방향족 화합물 (1) - 종류, 명명법, Hückel's Rule, 방향족 이온, 헤테로고리 화합물 (0) 2019.12.12 [유기화학] 12. 콘쥬게이션 화합물 - Diels-Alder 반응, 전자고리화 반응 (0) 20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