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폐기물] 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압축, 파쇄, 선별)
    환경직공무원/폐기물 2021. 11. 17. 01:41
    728x90
    반응형

    Q. 현행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의 중간처리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위생매립시설

    소각시설

    탈수시설

    퇴비화 및 안정화시설

     

    Q. 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인 압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재활용 가능물질의 저장면적 감소와 운반시 부피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압축비는 압축 전 부피를 압축 후 부피로 나눈 값이다.

    압축비가 1.25라면 부피감소율은 20%이다.

    ∨④ 부피감소율이 50%라면 압축비는 1.5이다.

    Bag compactor, 베일링 기계, Pellet 제조기 등이 사용된다.

     

    Q. 어떤 폐기물의 압축전 부피는 1.8이고 압축후의 부피는 0.38이었다. Compaction Ratio(압축비)?

    풀이: CR = 압축전 부피 / 압축후 부피 = 1.8 / 0.38 = 4.736

    답: 4.74

     

    Q. 다음 중 폐기물을 분쇄하거나 파쇄하는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겉보기 비중의 증가

    유가물의 분리

    ∨ ③ 비표면적의 감소

    입경분포의 균일화

     

    Q. 다음 중 폐기물 파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폐기물이 미생물과 접촉할 수 있는 비표적이 커진다.

    부피감소로 인해 운반비용이 줄어든다.

    취급이 용이해 후속처리시 효율이 증가한다.

    ∨④ 부피증가로 인해 운반비용이 증가한다.

    입경분포가 균일해지며, 겉보기 밀도가 증가한다.

     

    Q. 쓰레기의 압축, 파쇄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쓰레기를 압축하여 매립하면 매립지의 수명이 증가한다.

    ∨② 압축처리의 주 목적은 쓰레기를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적 큰 쓰레기는 전단파쇄기를 주로 사용한다.

    비교적 미세한 쓰레기와 유리 등의 파쇄에는 충격식 파쇄기가 많이 사용된다.

     

    Q. 폐기물의 선별법이 아닌 것은?

    손선별

    체선별

    ∨③ 여과

    중력분별

     

    Q. 다음 폐기물 선별장치 중 건식 방법이 아닌 것은?

    stoner

    fluidized bed separator

    ∨③ jig

    trommel screen

    ballistic separator

     

    Q. 다음 중 선별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스크린 선별은 속도가 클수록 선별효율이 저하된다.

    알루미늄은 와전류 분리법으로 선별한다.

    ∨③ 지그(Jig)선별은 건식선별법이다.

    풍력식 선별은 직선형보다 지그재그발식이 효율이 좋다.

    플라스틱과 물에 젖은 종이는 전도체로서 정전기 선별법이 이용된다.


    1. 압축 

    1) 효과 

    - 1/10 부피 감소

    - 젖은 쓰레기의 중량감소율 1~35%

    - 폐기물의 밀도 5배 증가

    경제적 압축 밀도(1,000kg/)

    - 유효매립면적 증대

     

    2) 고형화와의 비교

    ① 고형화

    : 고형화 재료 + 폐기물 → 부피 증가 → 비표면적 감소 → 용출 감소 → 독성 감소

     

    ② 압축

    : 폐기물만 압축 → 부피 감소 → 유효매립면적 증대 → 매립지의 수명연장 → 다짐성 향상 → 침출수의 생성량 저하 → 지반 침하 방지

     

    3) 압축비

    CR = 압축전 부피 / 압축후 부피

     

    4) 부피감소율 

    VR = (1 - 압축후부피 / 압축전부피) X 100 

     

    2. 파쇄

    1) 목적 

    기계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쉽게 선별

    공극률을 향상 → 비표면적 증대 → 건조성과 연소성 향상 → 미연물의 감소 → 강열감량을 적게 하고 → 재의 무기화와 2차 오염을 방지

    매립지 다짐성 향상 → 침출수 생성량 저하 → 안정화 기간 단축

    종이류는 파쇄시 부피 증가 → 운반불편과 날림을 조장

     

    2) 파쇄 이론 

    dW = -k(1/X^n)dX 

     

    W = 파쇄에너지

    X = 파쇄된 폐기물의 크기

    k, n = 상수 

     

    ① kick 의 법칙 : n=1 

    W = Ck ln(Xi/Xf )

     

    ② Rittinger 법칙 : n=2 

    W = Cr(1/Xf - 1/Xi)

     

    ③ bond 법칙 : n=1.5 

    W = 2Cb(1/√Xf - 1/√Xi)

     

    3. 선별 

    1) 선별이론

    (1) worrell 이론 

    (2) Rietema 이론 

     

    2) 선별 종류 

    (1) 크기선별

    - 진동스크린

    - 트롬멜스크린

    - 디스크 스크린

     

    (2) 밀도차 선별

    - 공기선별 

    - 스토너 

    - 관성선별 

     

    (3) 기타 건식 선별 

    - 광학선별: 색유리와 보통유리 선별

    - 자력선별: 철 성분 회수 

    - 와전류 선별: 구리, 알루미늄, 아연 선별 

    - 정전기선별: 종이와 플라스틱 분리에 이용

     

    (4) 습식 선별 

    - 침전부상법

    - wet classifiers

    - jigs

    - table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