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기물] 폐기물의 관리, 수거 및 수송환경직공무원/폐기물 2021. 11. 18. 03:44728x90반응형
Q. 폐기물의 수거노선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수거지점과 빈도를 결정할 때 기존정책이나 규정을 참고한다.
② 가능한 한 지형지물 및 도로 경계와 같은 장벽을 이용하여 간선도로 부근에서 시작하고 끝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③ 아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④ 가능한 한 반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하며 U자형 회전은 피하여 수거한다.
Q. 폐기물의 효율적 수거와 경제적인 수거노선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쓰레기의 성상
② 수거 인부 수
③ 쓰레기의 생성량
④ 쓰레기통의 위치 및 모양
Q. 다음의 폐기물의 관리단계 중 비용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단계는?
① 중간처리단계
∨② 수거 및 운반단계
③ 중간처리된 폐기물의 수송단계
④ 폐기물의 처분단계
Q. 다음 중 폐기물 수거노선 선정시 고려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언덕인 경우 올라가면서 수거한다. ②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한다.
③ 반복운행, U턴은 피해 수거하도록 한다.
④ 가능한 한 지형지물 및 도로경계와 같은 장벽을 이용하여 간선도로 부근에서 시작하고 끝나도록 배치한다
⑤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지역부터 먼저 수거한다.
Q. 적환장에 대한 설명 중 바르게 설명되지 못한 항목은?
① 최종 처리장과 수거지역의 거리가 먼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③ 적환장에서 재사용 가능한 물질의 선별이 가능하다.
∨④ 적환장의 위치는 최종 처분지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Q. 다음 중 적환장(transfer station)을 설치해야 될 경우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① 압축식 수거시스템의 경우
② 처리장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③ 최종처리장이 소규모인 경우
④ 수거차량이 소형일 때
Q. 적환장은 쓰레기 집하기지를 말한다. 적환장의 설치목적이 아닌 것은?
① 처리장이 원거리일 때 수송비용 절감
② 폐기물의 압축, 분쇄, 절단
③ 교통사정 개선
∨④ 쓰레기의 발생량 감소
Q. 적환장의 설치장소 선정조건이 아닌 것은?
∨① 발생지역의 중심에서 멀고 주거 밀도가 높은 곳
② 주요 간선도로에 접근성이 좋은 곳
③ 설치 및 작업이 용이한 곳
④ 건설과 운전이 경제적인 장소
Q. 적환장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소량의 폐기물을 한곳으로 모아 대량차량으로 폐기물을 적환하는 곳에 적당하다.
② 공중위생 및 환경에의 영향이 최소인 곳에 설치한다.
③ 2차수송수단과 연계가 잘 되는 곳에 설치한다.
∨④ 가능한 발생지역과 거리가 먼 속에 설치한다.
⑤ 설치와 작업이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
Q. 쓰레기 발생량이 5백만톤/년인 지역의 수거인부의 하루 작업시간이 10시간이고, 1년의 작업일수는 300일이며 수거효율(MHT)은 1.8로 운영되고 있다면 필요한 수거인부의 수는?
풀이 : MHT = 수거인부수 x 10시간/일÷ 5백만톤/년 x 300일/년 = 1.8
수거인부수 = 1.8 x 5백만톤/년 ÷ 10시간/일 ÷ 300일/년 = 3000명
답: 3000
Q. 년간 3,000,000 ton의 쓰레기를 5,000명의 인부들이 매일 8시간 수거한다. 이 때 인부의 수거능력(manㆍhour/ton)은?
풀이: MHT = 5000명 x 8시간/일 ÷ 3,000,000톤/년 x 365일/년 = 4.86 => 약 5시간/ton
답: 약 5시간/ton
폐기물 관리
1. 수거계획 및 방법
(1) 수거단계 - 전체 비용의 60% 이상을 차지
(2) 수거노선 설정요령
- 지형이 언덕인 경우는 내려가면서 수거
- 반복운행 또는 U자 회전을 피하여 수거
- 출발점은 차고와 가까운 곳으로
-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설정
- 교통 혼잡 지역에서는 새벽에 수거한다
- 발생량이 많은 곳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 발생량이 적으나 수거빈도가 동일하기를 원하는 곳은 같은 날 왕복하면서 처리한다
- 한번 간 길은 가지 않는다
2. 폐기물의 수거 및 운반
1) 폐기물 수거
(1) 수거방법
① 문전수거
- 수거인부가 방문하여 수거
- MHT = 2.3 수거효율이 가장 낮음
② 타종수거
- 수거 효율이 가장 높다
③ 대형 쓰레기통 수거
(2) MHT
- 쓰레기 1ton을 수거하는데 인부 1인이 소 요하는 총 시간
- MHT=총작업시간/총수거량 (man.h/ton)
= 일 인부수 X 1일 작업시간 / 연간 폐기물 발생량 ) X 연간 일하는 날
- 1인당 1일 쓰레기 배출량
: (쓰레기 평균밀도 X 적재용량(m3/1대) X 트럭 수)/(인구수 X 날짜)
-타종 수거 : 0.84MHT
-대형 쓰레기통 : 1.1MHT
-플라스틱 자루 : 1.35MHT
-집밖 이동식 : 1.47MHT
-집안 이동식 : 1.86MHT
-집밖 고정식 : 1.96MHT
-문전 수거 : 2.3MHT
-벽면 부착식 : 2.38MHT
(3) 수거효율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
- MHT
- SDT:수거트럭 1대당 1일 수거 가옥수
- SMH:수거인부 1인당 1시간 수거 가옥수
- TDT:수거트럭 1대당 1일 수거량
2) 폐기물의 수송방식
(1) 모노 레일 수송
(2) 컨테이너 수송
(3) 컨베이어 수송
(4) 파이프 라인 수송
① 장점
- 완전자동화, 성력화 가능
- 분진, 소음, 진동, 악취 등의 문제점이 없는 가장 이상적인 수거방식
- 교통체증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미관상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는다
② 단점
- 전처리 공정이 필요
- 설비비가 비싸고, 일단 가설된 겨우는 변동하기 어렵다
- 잘못 투입된 폐기물을 회수하기가 어렵다
- 장거리를 이송하는데 부적합
- 시스템에 대한 고도의 신뢰성이 필요
- 쓰레기로 인한 사고(화재, 폭발)에 대비한 예비시스템 필요
3. 적환장의 설계 및 운전관리
1) 기능
- 폐기물 대량 운반함으로써 장거리 운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한다
- 폐기물의 압축, 분쇄, 절단 함으로써 부피를 감량하여 효율적으로 수송한다
- 폐기물을 재분류하여 재활용 효율을 증대한다
2) 적환장 설치 장소
- 주요 간선도로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2차적 보조수송수단에 연결이 쉬운 곳
- 쓰레기 발생지역의 무게중심에 가까운 곳
- 적환 작업으로 인한 반대가 적고 환경피해가 최소인 곳
- 설치 및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곳
3) 적환장의 형식
(1) 직접 투하방식
- 소형차에서 대형차로 직접 투하
- 주택가와 거리가 먼 교외 지역에 설치 가능
(2) 저장 투하방식
-저장 피트에 저장하여 불도저, 압축기로 중계처리
-대도시의 대용량 쓰레기처리
(3) 직접, 저장 결합방식
-재활용품의 회수율을 증대시키고자 할 때 적합
4) 적환장의 문제점
- 작업시 폐기물 비산으로 위생상 유해하다
- 도시 미관상 청결하지 못하다
- 교통상의 장애가 일어난다
- 인근 주민의 불평을 받는다
728x90반응형'환경직공무원 > 폐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기물] 소각 및 열분해 (1) 2021.11.19 [폐기물] 분뇨 (0) 2021.11.19 [폐기물] 폐기물 관리 및 정책 (0) 2021.11.17 [폐기물] 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압축, 파쇄, 선별) (0) 2021.11.17 [폐기물] 폐기물 발생량 및 성상 (0)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