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감식평가기사] 중성대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2021. 11. 9. 01:15728x90반응형
1. 중성대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16)(2019)
① 정의를 쓰시오.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열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므로 실의 상부는 실외보다 압력이 높고 , 하부는 압력이 낮다. 따라서 그 사이 어느 높이에는 실내와 실외의 압이 같아지는 경계가 형성되는데 그 면의 중성대라 한다
② 화재의 성장기와 최성기 중 중성대 높이가 낮은 것은?
성장기2. 아파트 내 유독가스와 검은 연기로 가득하고 화염이 위층 반절까지 상승한 경우 화재는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가? (2018)
성장기
제 1성장기(발화기)
화재의 4요소들이 서로 결합하여 연소가 시작될 때의 시기. 발화시점에서 화재는 규모가 작고 일반적으로 처음 발화된 가연물에 한정된다.
제 2성장기(성장기)
발화가 일어난 직후, 연소하는 가연물 위로 화염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화재가 성장할 때에 천장 부분의 가스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폐쇄된 공간의 전반적인 온도가 상승한다.
플래쉬오버(FLASHOVER)
플래쉬오버는 성장기와 최성기간의 과도적 시기이며 발화와 같은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주변의 모든 표면과 물체들이 그들의 발화온도까지 가열되어 어느 한 순간 화염을 일시에 분출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플래쉬오버가 일어나기 이전에 화재현장을 대피하거나 화재를 진압하지 못한 거주자는 생존하기 힘들 것이다. 또한 전문적인 소방대원 조차 플래쉬오버에 직면한다면,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극도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공간의 온도가 483℃를 초과하고, 모든 가연성 물질이 동시적 발화를 일으킨다.
최성기
화재 현장내의 모든 가연성 물질들이 화재에 관련될 때에 일어난다. 이 시기에 가연물은 최대의 열량을 발산하고, 많은 양의 연소생성가스가 발생되며, 연소되지 않은 뜨거운 연소 생성 가스는 발원지에서 인접한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 보다 풍부한 양의 산소와 만나면 발화하게 된다.
쇠퇴기
화재가 약화되며 부분 소멸하고 연기의 발생만 남는다.
출처: http://kor.laswell.co.kr/content.php?bo_table=0_0&wr_id=85&page_num=0203
728x90반응형'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감식평가기사] 화재, 발화지점 관련 문제 (0) 2021.11.10 [화재감식평가기사] 제조물책임법, 실화책임 관련 문제 (0) 2021.11.09 [화재감식평가기사] 플러그 콘센트, 축전기 관련 문제 (0) 2021.11.09 [화재감식평가기사] 연소, 위험물 (0) 2021.11.09 [화재감식평가기사] 시스히터 , 폭연, 폭굉, 폭발 (0)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