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감식평가기사] 화재, 발화지점 관련 문제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2021. 11. 10. 09:36728x90반응형
1. 독립된 화재로서 다중발화 할 수 있는 화재의 특징 6가지를 쓰시오. (단, 방화는 제외한다) (2016)
①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연소 확산
② 직접적인 화염충돌에 의한 확산
③ 개구부를 통한 화재 확산
④ 불티에 의한 확산
⑤ 드롭다운 등 가연물의 낙하에 의한 확산
⑥ 공기조화덕트 등 샤프트를 통한 확산2.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인접한 건물이 전소되고 그림과 같은 합선 흔적(단락흔)이 존재하였다. 그림에서 발화지점이 어디인지와 그 근거를 설명하시오 (단, 전기배선은 모든 방에 설치되어 있고 전선배치는 A와 B 모두 동일하고 어느 지점에서 합선이 일어나자마자 분전반의 메인차단기가 차단되어 전기가 통전되지 않는다) (2013)(2020)
① 발화지점 : A건물 1번방
② 근거 : 조건에서 발화지점은 A건물 1번방 또는 B건물 1번방이어야 한다. 먼저, B건물 1번방의 1차 단락흔으로 동번방에서 전기적 단락으로 최초 발화 후 전원이 차단되고 연소가 진행되면서 화재가 동번방 창문을 통해 인접한 A건물 2번방으로 연소가 확대되었다면 최초 A건물의 2번방에서 1차 단락으로 발화 후 전원이 차단되어, A건물 1번방에서는 단락흔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1번방에서는 단락흔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B건물 1번방이 발화지점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반대로 A건물의 1번방의 단락으로 최초발화 후 전원이 차단되고 연소가 1번방 ➞ 2번방 ➞ 2번방 창문 ➞ B건물 1번방 창문 ➞ B건물 1번방에서 전기적 단락으로 동번방에서 1차 단락흔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A건물 1번방이 최초발화지점이라고 추론 할 수 있다
3. 다음 화재현장의 개구부의 위쪽을 중심으로 벽, 천장이 소손되어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20)
① 발화지점 : C
② 연소진행방향 : C ➞ A ➞ B
③ " ② "와 같이 연소가 진행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방 C에서 발화한 화재는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 C 천장에서 충만된 연기와 열기 등 고온의 가스층은 천장에서 화부로 하강하고 문을 통하여 밖으로 연소가 진행되면서 문 양쪽으로 대각선으로 연소가 상승하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A가 B보다 탄화 정도가 심한 것으로 보아 방 C에서 발화하여 A ➞ B로 화재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한다.
4. 다음 그림와 같이 전기 단락흔이 형성되었다. 물음에 답하시오 (2018)
① 최초 발화지점 : A
② 합선순서 : A ➞ B ➞ C5. 그림에서 화재가 내부 중앙에 있는 쓰레기통에서 발생하여 진행하고 있다. 좌측 벽면이 연소되는 순서를 알파벳 순으로 쓰시오 (2018)
답: A ➞ B ➞C
6.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2020)
① 다음 그림에서 보여주는 화재형태는 ?
: V 패턴
② " ① " 화재형태를 설명하시오.: 발화지점에서 화염이 위로 올라가면서 밑면은 뽀족하고 위로 갈수록 수평면으로 넓어지는 연소형태이다
③ 발화지점은 ?
: A
④ 연소확대 순서는? ( A , B , C , D ): A ➞ B ➞ C ➞ D
⑤ 외부의 특이한 영향이 없을 경우 연소확대되는 속도비율을 쓰시오.
: 상측 20, 좌우 1, 하방 0.3
728x90반응형'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감식평가기사] 유리 관련 문제 (0) 2021.11.11 [화재감식평가기사] 박리흔, 임야화재, 목재 (0) 2021.11.11 [화재감식평가기사] 제조물책임법, 실화책임 관련 문제 (0) 2021.11.09 [화재감식평가기사] 중성대 (0) 2021.11.09 [화재감식평가기사] 플러그 콘센트, 축전기 관련 문제 (0)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