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열전달(전도, 대류, 복사)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7:17
1. 열전달 - 온도차가 발생되어 열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 - 종류 : 전도, 대류, 복사 ☆ 1) 4가지 온도 관계 2) 전도 - 고체 또는 정지상태의 유체 (액체, 기체)에서 매질을 통해 이루어진다. ☆ - 물체내의 온도차로 인해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직접접촉에 의하여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 물질들의 분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위치의 변동 없이 분자의 진동에 의해 열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열의 전달은 전도에 기인한다 ☆ - 완전 진공상태에서는 열은 전달되지 않는다. - 고체는 기체보다 열전도율이 좋다. - Fourier의 열전도 법칙을 따른다 - 주택의 벽면용 단열재의 경우 • 벽의 면적이 클수록 열손실이 많다 (면적: A) •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기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00:31
1. 연기 - 공기 중 부유하는 0.01 ~ 10μm 크기의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 ☆ - 연기생성물 중에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가 들어 있어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 - 기체 가운데 완전 연소되지 않은 가연물이 고체 미립자가 되어 떠돌아다니는 상태 - 탄소함유량이 많은 가연성 물질이 산소부족 상태에서 연소할 경우 다량의 탄소입자가 생성되는 것 - 연기는 독성이 있다 ☆ - 공기보다 고온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천장의 하면을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 - 유동속도: 수평방향(0.5~1m/s) < 수직방향(2~3m/s) < 계단실내(3~5m/s) ☆☆☆☆ - 피난활동 중 인체 시각의 제약요인이 가장 큰 것이다 ☆ 2. 연기의 유동 ☆ ① 바람 ☆☆ - 외부의 바람이 건물 내로 유입하여 연기를 이동시킬 수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가스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23:13
▶ 유해 연소 가스 발생상황 (1) Flashover 산소농도는 급강하하여 직후 약 2[%] (2) CO2농도는 급상승하여 최고 농도는 15[%], CO 6[%] (3) CO > HCl > HCN > NH 3 순서로 많이 발생 (4) HCl 은 합성계, 나머지는 천연계에서 많이 발생 (5) CO농도는 화재하중이 클수록 환기량이 적을수록 증대 ▶ 유해 연소 가스의 분류 유해(연소) 가스는 마취성 가스, 자극성가스, 독성가스로 분류한다 (1) 마취성가스: CO, HCN, CO, 고농도CO2, 저농도O2 (2) 자극성가스: HCl, HF, HBr, 아크롤레인, 폼알데하이드 (3) 독성가스: CO, HCl, HCN, NH3, COCl2, SO2, NO2 ※ 연소가스의 독성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 독성가스: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에너지조건, 자연발화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5:56
1. 에너지 조건 - 온도: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 1) 인화점(Flash Point) - 외부 에너지(점화원)에 의해 발화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 ☆ - 물적조건과 에너지조건이 만나는 최소값이다. -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는 최저온도이다. - 액면에서 증발된 증기의 농도가 연소하한계에 도달하여 점화되는 최저온도 ☆ - 증기가 연소범위의 하한계에 이르러 점화되는 최저온도 ☆ - 가연성 액체의 위험도 기준 ☆ 2) 연소점(Fire Point) - 연소시 필요한 온도 - 가연물에 점화원을 제거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소할 수 있는 온도 ☆ - 외부에너지를 제거해도 발열반응의 연소열에 의해 미반응부분의 연쇄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온도 - 자력에 의해 연소를 지속할 수 있는 온도 - 인화점에 도달하여도..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범위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2:20
1. 연소범위 - 연소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가연성가스나 증기의 농도범위 - 자력으로 화염을 전파하는 공간 1) 연소상한계와 하한계 (1) 연소하한계(LFL) = 가연물의 최저용량비 ① 공기중에서 가장 낮은 농도에서 연소할 수 있는 부피 ② 지연성가스는 多 가연성가스는 小 그 이하에서는 연소할 수 없는 한계치 ③ 연소하한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크다 ☆☆☆ ④ 물질의 인화점에 해당한다 ☆☆ (2) 연소상한계(UFL) = 가연물의 최대용량비 ① 공기중에서 가장 높은 농도에서 연소할 수 있는 부피 ② 지연성가스는 小 가연성가스는 多 그 이상에서는 연소할 수 없는 한계치 ③ 연소상한계가 높을수록 위험성이 크다 ☆☆☆ 2) 연소범위의 특징 ☆ (1) 연소범위 - 가연성 혼합기에 점화했을때 화염이 지속되는 범위 ☆☆..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완전연소, 불완전연소, 화염(불꽃)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1:54
1.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 - 산소공급이 충분한 경우 완전연소가 일어난다 - 탄소화합물이 완전연소를 하면 CO2가 발생된다 - 탄소화합물이 불완전연소를 하면 CO가 발생된다 Q1. 20℃, 1기압의 프로판 1m3를 완전연소시키는데 필요한 20℃, 1기압의 산소부피는 얼마인가? (19공채) 풀이 : C3H8 + 5O2 -> 3CO2 + 4H2O답: 5m3 필요 Q2. 마그네슘 24g 이 완전연소를 위해 필요한 이론 산소량은 얼마인가? (단, Mg의 분자량: 24, O의 원자량: 16) (18공채) 풀이 : Mg + 1/2O2 -> MgO이론산소량: 0.5mol x 32g/mol = 16g 답: 16g 필요 Q3. 표준상태에서 공기 중 산소의 농도가 21%일때 메탄의 완전연소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메탄이 차..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의 조건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4. 11:24
1. 연소의 정의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연소의 정의와 조건 1. 연소 1) 정의 ☆☆☆☆ -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만나 빛과 열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현상 = 물질이 산화제와 화합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는 급격한 산화반응 = 빛과 발열반응을 수반하는 poo318.tistory.com 2. 연소의 조건 1) 연소의 3요소 ☆☆☆ -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2) 연소의 4요소 ☆ -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연쇄반응 3) 가연물 - 불에 타기 쉬운 물질이나 물건으로 산소와 반응시 발열에 의하여 연소가 계속 되기 쉬운 것 - 가연물은 산화되기 쉬운 물질이라 할 수 있고 산화되기 쉽다는 것은 활성화(점 화) 에너지가 작고 발열량이 많아 연소하기 쉽다는 말이다. (1) 가연물의 구비조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