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
[소방학개론] 4. 화재론 - 화재의 분류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6. 11:37
1. 화재의 정의 [소방학개론] 4. 화재론 - 화재의 정의, 원인 1. 화재 1) 정의 -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 ☆☆☆☆ - ‘반하거나’의 뜻은 과실에 poo318.tistory.com 2. 화재의 분류 - 가연물 성상에 따른 분류 ☆☆☆☆☆☆ 급수 A B C D E 분류 일반화재 (건축물, 항공기, 임야화재 등 ) 유류화재 전기화재 금속화재 가스화재 원인 부주의 등 다양한 원인 합선(단락), 과부하, 누전, 낙뢰 등 금속작업시 열의 축적 등 가연물 목재, 섬유, 종이, 플라스틱 등 - 제4류 위험물(특수인화물류, 석유류, 알코올류, 동식물류 ) - 페인트 등 액체가연물 전기설비 - 제1류 위험물인..
-
[소방학개론] 4. 화재론 - 화재의 정의, 원인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6. 09:47
1. 화재 1) 정의 -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 ☆☆☆☆ - ‘반하거나’의 뜻은 과실에 의한 화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기취급 중 발생하는 실화뿐만 아니라 부작위에 의한 자연발화까지 포함하며 ‘고의에 의해’라는 뜻은 사람의 의도에 의한 방화를 의미한다. - ‘연소현상’은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빛과 열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다.’ 라는 것은 사회공익을 해치거나 경제적인 손실 및 인명피해를 가져오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폭발현상’은 착화까지는 연소와 동일하나 착화이후 급격한 압력의 전파로..
-
[소방학개론] 3. 폭발론 - 방폭전기설비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6. 00:27
1. 방폭전기설비 - 물적 조건인 폭발성 분위기가 생성되는 확률과 에너지 조건인 전기설비가 점화원 이 되는 확률과의 곱이 이 되도록 하는 것 - 폭발조건인 물적 조건과 에너지 조건을 방지하는 것 2. 전기설비의 방폭대책 1) 폭발성 분위기 생성방지 - 폭발성 가스의 누설, 방류, 체류방지 2) 전기설비 점화원 억제 - 개폐기, 차단기, 접점, 단락, 단선, 지락 등 3) 전기설비 방폭화 (1) 점화원의 실질적인 격리 - 내압, 유입, 압력, 몰드, 충전 방폭구조 (2) 전기기기의 안전도 증가 - 안전증, 비점화 방폭구조 (3) 점화능력의 본질적인 억제 - 본질안전 방폭구조 3. 방폭구조의 종류 1) 위험장소에 따른 분류 2) 방폭구조에 따른 분류 (1) 내압방폭구조(d) -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
-
[소방학개론] 3. 폭발론 - 폭연, 폭굉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23:47
1. 폭연과 폭굉의 비교 ※ 연소 -> 폭연 -> 폭굉 폭연 폭굉 기준 화염의 전파속도 음속 ☆ 화염전파속도 0.1 ~ 10m/s 1,000 ~ 3,500m/s ☆ 전달에너지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해 전파됨 압력파에 의해 전파됨 압력 수기압 정도 초기압, 폭연의 10배 이상 화염면(온도, 압력, 밀도) 연속적 ☆☆ 불연속적 ☆☆ 충격파 X O ☆☆ -> 충격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에너지가 방출되어야 한다 에너지방출속도 물질전달속도에 기인O 물질전달속도에 기인X ☆ 아주 짧은 시간 내에 방출된다 ☆☆ 폭굉으로 전이가 가능하다 반응 또는 화염면의 전파가 공기의 난류확산에 영향을 받는다 ☆☆ 2. 폭굉유도거리 - 최초의 완만한 연소가 격렬한 폭굉으로 발..
-
[소방학개론] 3. 폭발 - 폭발의 원인(화학적폭발)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8:44
1. 물리적폭발 [소방학개론] 3. 폭발 - 폭발의 원인(물리적폭발) 1. 물리적폭발 (응상폭발) - 원소간 화학적 반응 없이 물리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 기체나 액체의 팽창 상변화 등의 , 물리현상이 압력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 - 증기 폭발, 수증기 폭발, poo318.tistory.com 2. 화학적 폭발 ( 기상 폭발 ) - 화학적 반응에 의해 폭발이 발생 - 물체의 연소, 분해, 중합 등의 화학반응으로 압력이 상승하는 것 - 화학적 폭발의 종류 ☆☆☆ 가스폭발 - 증기운폭발 분해폭발 - 아세틸렌, 과산화물, 다이너마이트, 산화에틸렌 분진폭발 - 석탄, 알루미늄 분진, 금속분, 전분, 밀가루 분무폭발 - 윤활유 고체폭발 - 화약류 중합폭발 - 염화비닐, 초산비닐, 시안화수소, 산화에틸렌 ..
-
[소방학개론] 3. 폭발 - 폭발의 원인(물리적폭발)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8:41
1. 물리적폭발 (응상폭발) - 원소간 화학적 반응 없이 물리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발 - 기체나 액체의 팽창, 상변화 등 물리현상이 압력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 - 증기 폭발, 수증기 폭발, 블레비, 보일러폭발 로 분류된다 1) 증기폭발(vapor explosion 혹은 rapid phase transition) - 액체를 급속하게 가열하거나 주변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생성 되며 증발하는 비등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 - 비등현상에 의해 액체가 급격히 기화하면 기체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압력이 증가하여 폭발이 발생한다 - 착화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화염 발생은 없으나 가연성 가스가 기화한 경우 가스폭발이 발생 할 수도 있다. - LNG 등의 저온액화가스가 상..
-
[소방학개론] 3. 폭발론 - 폭발의 정의, 분류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8:41
1. 폭발 - 고온과 빠른 연소속도로 인해 체적이 급격하게 팽창되는 현상 ☆ - 반응 전파속도가 빠르고 대부분 빛과 열을 수반한다. - 착화까지는 연소와 동일하나 착화이후 급격한 압력의 전파로 폭발음과 함께 파괴를 수반하는 것 ☆ - 기체나 액체의 팽창, 상변화 등의 물리현상이 압력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리적 폭발과 물체의 연소, 분해, 중합 등의 화학반응으로 압력이 상승하는 화학적 폭발로 구분한다. ☆ - 밀폐공간에서 물리적, 화학적 변화의 결과로 발생한 급격한 압력상승에 의한 에너지가 외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파열, 폭음 등을 동바하는 현상 ☆ ※ 폭발은 반드시 연쇄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 2. 폭발 조건 - 농도(물적) 조건 에넞조건과 함께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 1) 농도(물적) 조건의 성..
-
[소방학개론] 2. 연소론 - 화상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5. 17:30
1. 1도 화상 ☆ - 홍반성 - 표피에 국한된 손상으로 그 부위가 빨간 색깔을 띠고 심한 통증을 느낌 - 태양광이나 부엌에서 약하게 데인 정도 - 국소연고제로만으로 효과가 있으며 흉터가 남지 않음 2. 2도 화상 ☆ - 수포성 - 진피까지 손상되어 그 부위가 분홍 색깔을 띠고 분비물이 모여 물집이 생김 - 진피 손상깊이에 따라 얕은 도와 깊은 도로 나누어진다 1) 얕은 2도(표재성) ∙ 표피 전부와 진피의 까지 1/3 화상 ∙ 과열된 온수나 불꽃 화상에 의해 발생 ∙ 1~2주내에 재상피화가 일어나면서 치유 오랫동안 연한 변색 2) 깊은 2도(심재성) ∙ 표피 전부와 진피의 까지 2/3 화상 ∙ 3~8주 치료로 재상피화 ∙ 염증이 생기면 도 화상으로 전환됨 3. 3도 화상 ☆ - 괴사성 - 표피와 진피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