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0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문제 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25. 00:25
    728x90
    반응형

    1. 가연물의 화학적 연쇄반응 속도를 줄여 소화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다량의 물을 주수하여 소화한다.

    ② 할론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한다.

    ③ 연소물이나 화원을 제거하여 소화한다.

    ④ 에멀션(emulsion) 효과를 이용하여 소화한다

     

    답: 2번 

    풀이 연쇄반응 속도 줄여 소화하는 방법은 억제소화이다. 


    2. 물 소화약제 첨가제 중 주요 기능이 물의 표면장력을 작게 하여 심부화재에 대한 적응성을 높여 주는 것은?

    ① 부동제 ② 증점제 ③ 침투제 ④ 유화제

     

    답: 3번 

    풀이 

    ① 부동액(Antifreeze Agent) 

    - 물의 응고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 동결방지 

    - 난방을 하지 않는 거실, 옥외 노출 배관, 겨울철, 한랭지에 사용 

    - 실제 가격이 고가이고 인체에 유해하여 겨울철 배관시험에만 사용 

    - 약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이상 유기물), CaCl2(무기물)

     

    ② 침투제(Wetting Agent)  

    -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침투효과를 높이는 약제 

    - 물의 침투가 용의치 않는 원면화재, 산림화재, 심부화재에 효과적 

    - 약제: 합성계면활성제(1.1[%]첨가) 사용

     

    ③ 강화액(Density Modifier) 

    - 억제효과가 있는 염류를 첨가하여 만든 소화약제

    - K2CO3 -> 2K+ + CO3 2- 에서 K+가 H+, OH-와 반응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한다 
    - 약제: 알칼리 금속염의 중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인산암모늄 사용

     

    ④ 유화제(Emulsifier)

    - 가연물과 에멀션을 형성하여 유화층 형성을 돕는 약제
    - 약제: 계면활성제, 친수성콜로이드 사용

     

    ⑤ 중점제 (Viscosity water agent)

    - 물의 유실방지 및 소방대상물의 표면에 오랫동안 잔류하면서 무상주수 시 물체의 표면에서 점성의 효력을 올리는 약제이다 

    - 무산방지 및 부착성을 좋게 하여 물의 점성을 높이기 위한 약제
    - 약제: CMC, DAP 사용

     

    ⑥ 산-알칼리제 

    - 산과 알칼리의 화학반응을 이용한 소화약제
    - 산: 황산

    - 알칼리: 탄산수소나트륨(중조)


    3. 가연성 가스 중 위험도가 가장 큰 물질은? (단, 연소범위는 메탄 5 %∼15 %, 에탄 3 %∼ 12.4 %, 프로판 2.1 %∼9.5 %, 부탄 1.8 %∼8.4 %이다.)

    ① 메탄 ② 에탄 ③ 프로판 ④ 부탄

     

    답: 4번 

    풀이 

    위험도 = H - L / L 

    ① 메탄: (15 - 5)/5 = 2

    ② 에탄: (12.4 - 3)/3 = 3.13

    ③ 프로판: (9.5 - 2.1)/2.1 = 3.52

    ④ 부탄: (8.4 - 1.8)/1.8 = 3.67


    4. 우리나라 소방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선 시대인 1426년(세종 8년) 금화도감이 설치되었다.

    ② 일제강점기인 1925년 최초의 소방서가 설치되었다.

    ③ 미군정 시대인 1946년 중앙소방위원회가 설치되었다.

    ④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8년 소방법이 제정·공포되었다.

     

    답: 4번 

    풀이 

    1) 삼국시대 

    - 화재가 사회적재앙으로 등장(국가적 관심사)

    - 금화의식 싹틈

     

    2) 통일신라시대

    - 지붕(기와), 화재예방의식 높음, 군대

    - 백성 진화

    - 금화의식 가짐

     

    3) 고려시대

    - 소방을 소재(消災 : 사라질 소, 화재 재)라고 부름  

    - 금화제도 시작 -> 아직 금화조직은 없음

    - 실화 및 방화관리자에 처벌

     

    4) 조선시대 

    - 1417. 금화법령 시행

    - 1426.6(세종8년) 우리나라 최초 소방관서 금화도감 설치 

    - 1426.8 수성금화도감 

    - 1723. 중국으로수벝 수총기를 도입 

     

    5) 갑오개혁 (1894) 

    - 경무청이 신설되고 소방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함 

    - 1908. 최초 화재보험회사 설립 

    - 1908. 완용펌프 3대 도입

    - 1909. 수도의 개설로 소화전이 설치 

     

    6) 일제강점기 

    - 상비소방수제도: 전문적으로 소방을 상설해 놓은 제도  

    - 1925. 최초 경성(종로)소방서 설치, 의용소방조, 민간소방대 조직 

    - 화재진압장비가 도입 설치, 불조심 행사

     

    7) 미군정시대 (자치소방체제, 1946-1948) 

    - 1946. 독립된 자치소방제도를 최초로 시행

    -> 중앙: 중앙소방위원회(소방청), 지방: 도 소방위원회(지방소방청) 

    - 1947. 중앙소방위원회의 집행기구로 소방청을 설치 

     

    8) 정부 수립 이후(국가소방체제, 1948-1970) 

    - 1948. 정부수립, 국가소방체제의 틀 속에서 경찰사무로 포함 

    - 중앙:내무무 치안국 소방과, 지방 : 경찰국 소방과 소방서

    - 1958.3. 소방법 제정 

    (※ 소방법 제정시 의용소방대 설치 규정이 마련되었다) 

    - 1969. 경찰공무원법 제정

     

    9) 발전시기(국가, 자치 이원적 체제, 1971-1992) 

    - 소방이 경찰로부터 독립성 확보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소방국

    -> 지방 : 서울, 부산 자치 소방, 도민방위국 소방과 

    - 1972. 서울, 부산에 각각 소방본부 설치 

    - 1975. 민방위기본법 제정 

    - 1977. 국가·지방소방공무원에 대한 단일신분법이 제정 

    - 1978.3. 소방공무원법 제정(신분 : 소방공무원)

    - 1978.7. 소방학교 설치 - 소방교육의 체계화

    - 1983. 119구조대 설치 - 소방안전 문화의 정착

     

    10) 현재(광역자치소방체제, 1992 ~ ) 

    - 광역체제 정착(지방자치제 실시)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산하 소방국

    - 지방 : 16개(시7, 도9) 시ㆍ도 광역체제 일원화

    - 1992.4.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 설치 

    - 1995.1 신분 : 지방공무원

    - 1995.10 중앙 119구조대 직제 공포

    - 2004. 5. 4분법 제정

    ① 소방기본법 ②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③ 소방시설 공사업법 ④ 위험물 안전관리법

    - 2004. 6. 소방방재청 개청 (대구지하철 사고를 계기로 신설) 

    -> 소방방재청을 설립하여 소방업무, 민방위 재난, 재해업무까지 관장하였다 

    - 2008. 3. 소방방재청장(소방총감으로 임명)

    - 2014.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하고 소방방재청을 국민안전처로 편입하여 국민안전처 소속 중앙소방본부 

    - 2017. 국민안전처가 행정안전부에 흡수, 통합되면서 행정안전부 산하의 소방청으로 신설  

    - 2019. 국가직전환으로 국가공무원법 적용 

     


    5. 스프링클러설비의 리타딩 체임버(retarding chamber)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① 역류방지 ② 가압송수 ③ 오작동방지 ④ 동파방지

     

    답: 3번 

    풀이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리다팅 챔버: 오작동 방지, 안전밸브의 역할, 배관 및 압력스위치의 손상보호 


    6. 소방시설의 분류와 해당 소방시설의 종류가 옳게 연결된 것은?

    ①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포소화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② 경보설비 - 자동화재속보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제연설비

    ③ 소화용수설비 -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연결살수설비

    ④ 소화활동설비 - 시각경보기, 연결송수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답: 1번 

    풀이 


    7.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화는 중요화재에 해당한다.

    ② 화재조사에는 화재원인조사와 화재피해조사가 있다.

    ③ 화재조사는 관계 공무원이 화재 사실을 인지하는 즉시 실시하여야 한다.

    ④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후 72시간 이내에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 화재로 인한 사망자로 본다.

     

    답: 1번 

    풀이

    - 화재원인조사, 화재피해조사 

    1) 화재원인조사 

    가. 발화원인 조사 : 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 발견, 통보 및 초기소화상황 조사 : 발견경위, 통보 및 초기소화 등 일련의 행동과정 

    다. 연소상황 조사 : 화재의 연소경로 및 연소확대물, 연소확대사유 등 

    라. 피난상황 조사 : 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마. 소방·방화시설 등 조사 : 소방·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2) 화재피해조사 

    가. 인명피해
    -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 화재진압 중 발생한 사망자 및 부상자 

     

    나. 재산피해
    - 소실피해 :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피해
    - 수손피해 : 소화활동으로 발생한 수손피해 등
    - 기타피해 : 연기, 물품반출, 화재중 발생한 폭발 등에 의한 피해 등 

     

    - 사상자는 화재현장에서 사망한 사람과 부상당한 사람을 말한다. 단,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후 72시간이내에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 화재로 인한 사망으로 본다. 

     

    - 조사업무 

    ① 대형화재 

    가. 인명피해 : 사망 5명이상이거나 사상자 10명이상 발생화재  

    나. 재산피해 : 50억원이상 추정되는 화재 

     

    ② 중요화재 

    가. 관공서, 학교, 정부미 도정공장, 문화재, 지하철, 지하구 등 공공 건물 및 시설의 화재  

    나. 관광호텔, 고층건물, 지하상가, 시장, 백화점, 대량위험물을 제조·저장·취급하는 장소, 대형화재취약대상 및 화재경계지구 

    다. 이재민 100명이상 발생화재  

     

    ③ 특수화재 

    가. 철도, 항구에 매어둔 외항선, 항공기, 발전소 및 변전소의 화재 

    나. 특수사고, 방화 등 화재원인이 특이하다고 인정되는 화재 

    다. 외국공관 및 그 사택 

    라. 그 밖에 대상이 특수하여 사회적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화재 


    8. 우리나라 소방행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미군정 시대에는 소방행정을 경찰에서 분리하여 자치소방행정체제를 도입하였다.

    ② 1972년 전국 시·도에 소방본부를 설치·운영하고 광역소방행정체제로 전환하였다.

    ③ 소방공무원은 공무원 분류상 경력직 공무원 중 특수경력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④ 소방공무원의 징계 중 경징계에는 정직, 감봉, 견책이 있다.

     

    답; 1번 

    - 소방공무원은 공무원 분류상 경력직 공무원 중 특정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 소방공무원의 징계 중 경징계에는 감봉, 견책이 있다

    - 소방의 역사 

    1) 미군정시대 (자치소방체제, 1946-1948) 

    - 1946. 독립된 자치소방제도를 최초로 시행

    -> 중앙: 중앙소방위원회(소방청), 지방: 도 소방위원회(지방소방청) 

    - 1947. 중앙소방위원회의 집행기구로 소방청을 설치 

     

    2) 정부 수립 이후(국가소방체제, 1948-1970) 

    - 1948. 정부수립, 국가소방체제의 틀 속에서 경찰사무로 포함 

    - 중앙:내무무 치안국 소방과, 지방 : 경찰국 소방과 소방서

    - 1958.3. 소방법 제정 

    (※ 소방법 제정시 의용소방대 설치 규정이 마련되었다) 

    - 1969. 경찰공무원법 제정

     

    3) 발전시기(국가, 자치 이원적 체제, 1971-1992) 

    - 소방이 경찰로부터 독립성 확보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소방국

    -> 지방 : 서울, 부산 자치 소방, 도민방위국 소방과 

    - 1972. 서울, 부산에 각각 소방본부 설치 

    - 1975. 민방위기본법 제정 

    - 1977. 국가·지방소방공무원에 대한 단일신분법이 제정 

     

    4) 현재(광역자치소방체제, 1992 ~ ) 

    - 1992.4.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 설치 

    - 1995.1 신분 : 지방공무원

    - 1995.10 중앙 119구조대 직제 공포

    - 2004. 5. 4분법 제정

    - 2004. 6. 소방방재청 개청 (대구지하철 사고를 계기로 신설) 

    -> 소방방재청을 설립하여 소방업무, 민방위 재난, 재해업무까지 관장하였다 

    - 2008. 3. 소방방재청장(소방총감으로 임명)

    - 2014.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하고 소방방재청을 국민안전처로 편입하여 국민안전처 소속 중앙소방본부 

    - 2017. 국민안전처가 행정안전부에 흡수, 통합되면서 행정안전부 산하의 소방청으로 신설  

    - 2019. 국가직전환으로 국가공무원법 적용 


    9. 화재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낮은 산소분압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초기에 화염 없이 일어나는 연소를 훈소연소라 한다.

    ㄴ. 목조건축물 화재는 유류나 가스 화재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무염착화 없이 발염착화로 이어진다.

    ㄷ. A급 화재는 일반화재로 면화류, 합성수지 등의 가연물에 의한 화재를 말한다.

    ㄹ. 전소란 건물의 70 % 이상이 소실된 화재를 말한다

     

    답: ㄱ, ㄷ, ㄹ

    풀이 

    목조건축물 화재 진행과정: 화재원인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발화 → 최성기 → 연소낙하 → 진화


    10. 화재진압 시 주수소화에 적응성 있는 위험물로 옳은 것은?

    ① 황화린 ② 질산에스테르류 ③ 유기금속화합물 ④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답: 2번 

    - 황화린은 2류 위험물에 속하고 건조사로 질식소화 한다 

    - 유기금속화합물과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제3류 위험물에 속하고 건조사, 팽창질석, 팽창진주암, 금속화재용 분말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질식소화한다

    - 질산에스테르류는 제5류 위험물에 속하며 다량의 물을 주수하는 주수소화로 인해 냉각소화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