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 대구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번 ~ 10번 풀이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4. 16:04728x90반응형
1.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은?
① 이동탱크저장소 ② 지하탱크저장소 ③ 옥외탱트저장소 ④ 주유취급소
답: 1번
풀이
위험물안전관리법 제15조(위험물안전관리자)
① 제조소등[제6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허가를 받지 아니하는 제조소등과 이동탱크저장소(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저장소를 말한다)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관계인은 위험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직무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제조소등마다 대통령령이 정하는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자격이 있는 자(이하 “위험물취급자격자”라 한다)를 위험물안전관리자(이하 “안전관리자”라 한다)로 선임하여야 한다. 다만, 제조소등에서 저장ㆍ취급하는 위험물이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유독물질에 해당하는 경우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당해 제조소등을 설치한 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안전관리업무를 하는 자로 선임된 자 가운데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를 안전관리자로 선임할 수 있다.
2. 다음 중 최소발화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온도가 상승하면 분자운동이 활발해지므로 발화에너지는 작아진다.
② 압력이 상승하면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발화에너지가 작아진다.
③ 연소범위 내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화에너지는 높아진다.
④ 열전도율이 작을수록 발화에너지는 작아진다.
답: 3번
풀이
연소범위 내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화에너지는 낮아진다
최소발화에너지(MIE) = 최소점화에너지, 최소착화에너지
- 가연성 혼합기를 발화시키는데 필요한 최저에너지
- 혼합기의 온도, 압력, 조성 등에 따라 변한다
- 온도가 상승하면 분자간 운동이 활발해지므로 MIE는 작아진다 ☆☆
- 압력이 상승하면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MIE는 작아진다 ☆
- 농도가 짙고 발열량이 크고 산소분압이 높아질때 MIE는 작아진다 ☆
- 가연성가스의 조성이 화학양론농도 부근일때 MIE는 최저가 된다
- 열전도율이 낮아질때 MIE는 작아진다 ☆☆
3. 다음 중 위험물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소속도가 빠르면 2차 재해에 위험이 높다.
② 인화점이 낮고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위험하다.
③ 휘발성이 높고 인화점이 높을수록 연소속도는 빠르다.
④ 고열의 화재발생으로 일반화재보다 연소속도가 빠르며 확대위험도 높다.
답: 3번
휘발성이 높고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속도는 빠르다
4. 소방용수시설의 설치기준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주거지역,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설치시 소방대상물과의 거리는 140m 이하로 한다.
② 소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100mm이다.
③ 저수조는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이하여야 한다.
④ 급수탑 내 급수배관의 구경은 100mm이상이고 개폐밸브는 지상으로부터 1.0~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답:
소방용수시설의 설치기준
1) 공통기준
- 주거지역·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 소방대상물과의 수평거리를 100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
- 주거지역: 거주의 안녕과 건전한 생활환경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 상업지역: 상업이나 그 밖의 업무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 공업지역: 공업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 그 외의 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 소방대상물과의 수평거리를 140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
2) 소방용수시설별 설치기준
① 소화전
-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
-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 65밀리미터로 할 것
② 급수탑
- 급수배관의 구경: 100밀리미터 이상
- 개폐밸브: 지상에서 1.5미터 이상 1.7미터 이하의 위치 ☆
③ 저수조
-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미터 이하일 것 ☆
- 흡수부분의 수심이 0.5미터 이상일 것 ☆
- 소방펌프자동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
- 흡수에 지장이 없도록 토사 및 쓰레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출 것
-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센티미터 이상, 원형의 경우에는 지름이 60센티미터 이상일 것 ☆
-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급수되는 구조일 것 ☆
5.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준하는 긴급구조지원기관이 아닌 것은?
① 산림청 ② 항공청 ③ 경찰청 ④ 기상청
답: 2번
풀이
긴급구조지원기관: 긴급구조에 필요한 인력ㆍ시설 및 장비, 운영체계 등 긴급구조능력을 보유한 기관이나 단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과 단체를 말한다.
1.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기상청 및 산림청
2. 국방부장관이 탐색구조부대로 지정하는 군부대와 그 밖에 긴급구조지원을 위하여 국방부장관이 지정하는 군부대
3. 「대한적십자사 조직법」에 따른 대한적십자사
4. 「의료법」에 따른 종합병원
4의2. 응급의료기관, 응급의료정보센터 및구급차등의 운용자
5. 전국재해구호협회
6. 긴급구조기관과 긴급구조활동에 관한 응원협정을 체결한 기관 및 단체
7. 그 밖에 긴급구조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갖춘 기관 및 단체로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관 및 단체
6. 다음 중 청정 소화약제인 것은?
① CF3Br ② CF2ClBr ③ CCl4 ④ CF3I
답: 4번
풀이
<청정소화약제> https://poo318.tistory.com/426
< 할론 소화약제 > https://poo318.tistory.com/424
- Halon 1301 (CF3Br) ☆
- Halon 1211 (CF2ClBr)
- Halon 2402 (C2F4Br2)
- Halon 104 (CCl4)
7. 기체가연물 중 위험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된 것은?
① 아세틸렌>수소>휘발유>메탄
② 아세틸렌>수소>메탄>휘발유
③ 수소>아세틸렌>메탄>휘발유
④ 수소>아세틸렌>휘발유>메탄
답:
위험도
- 가연성 가스의 위험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 위험도: 상한계 - 하한계 / 하한계
8. 구조대 및 구조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① 구조대장의 연령은 55세 이하로 한다.
② 구조대원은 도덕적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③ 국제구조대의 편성과 운영은 소방방재청장이 할 수 있다.
④ 특수구조대는 관할지역의 소방서에 1개대 이상을 편성한다.
답: 1번
풀이
구조대 및 구급대의 편성, 운영 등에 관한 규칙 (개정전 법령)
구조대장의 연령은 40세 이하로 한다 구조대원의 연령은 48세로 한다
소방방재청장 또는 소방본부장은 테러 및 특수재난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직할구조대, 주요도시 또는 화학공장밀집지역을 관할하는 소방서의 구조대를 시·도마다 1개대 이상 지정하여 테러대응전문구조대로 운영할 수 있다. 다만, 시·도 직할구조대를 테러대응전문구조대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소방서의 구조대를 테러대응전문구조대로 지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소방공무원법
구조대장 - 소방위, 소방경
연령정년: 60세
119구조, 구급에 관한 법률(개정후)
제5조(119구조대의 편성과 운영) ① 법 제8조제1항에 따른 119구조대(이하 “구조대”라 한다)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편성ㆍ운영한다.
1. 일반구조대: 시ㆍ도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방서마다 1개 대(隊) 이상 설치하되, 소방서가 없는 시ㆍ군ㆍ구(자치구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경우에는 해당 시ㆍ군ㆍ구 지역의 중심지에 있는 119안전센터에 설치할 수 있다.
2. 특수구조대: 소방대상물, 지역 특성, 재난 발생 유형 및 빈도 등을 고려하여 시ㆍ도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지역을 관할하는 소방서에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설치한다. 다만, 라목에 따른 고속국도구조대는 제3호에 따라 설치되는 직할구조대에 설치할 수 있다.
제9조(국제구조대의 편성과 운영) ① 소방청장등은 국외에서 대형재난 등이 발생한 경우 재외국민의 보호 또는 재난발생국의 국민에 대한 인도주의적 구조 활동을 위하여 국제구조대를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9. 방화관리대상물의 관계인과 방화관리자의 업무가 아닌 것은?
=>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가 아닌 것은?
① 소방계획의 작성
② 위험물취급의 감독
③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
④ 소방훈련 및 교육
답: 2번
방화관리자 현재 소방안전관리자로 명칭이 바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소방시설법 )
제20조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그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하여 제6항에 따른 소방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⑥ 특정소방대상물(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제외한다)의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제1호ㆍ제2호 및 제4호의 업무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경우에만 해당한다.
1. 피난계획에 관한 사항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 포함된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시행
2. 자위소방대및 초기대응체계의 구성ㆍ운영ㆍ교육
3.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
4. 소방훈련 및 교육
5. 소방시설이나 그 밖의 소방 관련 시설의 유지ㆍ관리
6. 화기(火氣) 취급의 감독
7. 그 밖에 소방안전관리에 필요한 업무
10. 건축물의 피난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6층 이상 건축물로서 16층 이상의 바닥면적 합계가 10,000㎡ 이상인 경우에는 헬리 포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피난층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이나 복도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내화재료로 하여야 한다.
③ 종교시설에는 피난용도로 쓸 수 있는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한다.
④ 피난표시는 색과 형태보다는 문자로 하는 것이 이용에 편리하다.
답: 3번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제25조(지하층의 구조) 제1항 제5조: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과 그 바탕은 불연재료로 할 것
제40조(옥상광장 등의 설치) ① 옥상광장 또는 2층 이상인 층에 있는 노대등[노대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주위에는 높이 1.2미터 이상의 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그 노대등에 출입할 수 없는 구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5층 이상인 층이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종교집회장ㆍ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종교시설, 판매시설,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 또는 장례시설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피난 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에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9조제1항에 따른 성능인증 및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제품검사를 받은 비상문자동개폐장치(화재 등 비상시에 소방시스템과 연동되어 잠김 상태가 자동으로 풀리는 장치를 말한다)를 설치해야 한다.
1. 제2항에 따라 피난 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
2. 피난 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하는 다음 각 목의 건축물
가. 다중이용 건축물
나. 연면적 1천제곱미터 이상인 공동주택
④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11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0㎡ 이상인 건축물의 옥상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1. 건축물의 지붕을 평지붕으로 하는 경우: 헬리포트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
2. 건축물의 지붕을 경사지붕으로 하는 경우: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⑤ 제4항에 따른 헬리포트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 및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의 설치기준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 경기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번 ~ 10번 풀이 (0) 2021.12.14 2007 대구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1번 ~ 20번 풀이 (0) 2021.12.14 2007 부산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번 ~ 10번 풀이 (0) 2021.12.14 2005 강원도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1번 ~ 20번 풀이 (0) 2021.12.14 2005 강원도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번 ~ 10번 풀이 (0)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