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05 강원도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11번 ~ 20번 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4. 00:01
    728x90
    반응형

    11. 연소의 3가지조건이 될 수 없는 것은?

    ① 가연성물질(연료=가연물)

    ② 환원성물질(이산화탄소=질소)

    ③ 열원(발화원=에너지원)

    ④ 산소공급원(공기=산화제=자기반응성물질)

     

    답: 2번 

     

    12. 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해 전문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해 주로 시각적인 방법으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① 화재조사 ② 발화원 ③ 감정 ④ 감식

     

    답: 4번 

    풀이 

    - 화재조사: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화재원인, 피해상황, 대응활동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료의 수집, 관계인등에 대한 질문, 현장 확인, 감식, 감정 및 실험 등을 하는 일련의 행위

    - 발화열원: 발화의 최초원인이 된 불꽃 또는 열

    - 감정: 화재와 관계되는 물건의 형상, 구조, 재질, 성분, 성질 등 이와 관련된 모든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 방법에 의한 필요한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화재원인을 밝히는 자료를 얻는 것 

     

    13. 분말소화약제 중 인산염인 것은?

    ① 제1종 ② 제2종 ③ 제3종 ④ 제4종

     

    답: 3번 

    14. 화재실 단위 바닥면적당 가연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① 화재하중 ② 화재강도 ③화재가혹도  ④화재심도

     

    답:  1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15

     

    15. 기본적인 응급처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기도유지 ② 지혈 ③ 환자운반 ④ 쇼크방지

     

    답: 3번 

    풀이 

    응급처치: 응급의료행위의 하나로서 응급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심장박동의 회복, 그 밖에 생명의 위험이나 증상의 현저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긴급히 필요로 하는 처치

    응급처치의 우선순위

    여러 명의 환자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반드시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처치를 실시한다.

    ① 제1순위 : 생명을 구하기 위해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는 대상자

    -기도폐쇄

    -즉각적인 지혈을 요하는 손상

    -쇼크를 일으키는 손상

     

    ② 제2순위 : 긴급 수술을 요하는 대상자

    -혈관, 내장의 손상으로 지혈을 요하는 손상

    -의식이 없어져 가는 뇌 손상

     

    ③ 제3순위 : 수술을 필요로 하나 지연 가능한 대상자

    -척추손상

    -이물 제거가 필요한 연조직 창상

    -경한 골절이나 탈구 -눈의 손상

     

    16. 특수구조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화학구조대 ② 재난구조대 ③ 수난구조대 ④ 산악구조대

     

    답: 2번 

    풀이 

    . 특수구조대: 소방대상물, 지역 특성, 재난 발생 유형 및 빈도 등을 고려하여 시ㆍ도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지역을 관할하는 소방서에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설치한다. 다만, 라목에 따른 고속국도구조대는 제3호에 따라 설치되는 직할구조대에 설치할 수 있다. 

    가. 화학구조대: 화학공장이 밀집한 지역 

    나. 수난구조대: 「내수면어업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내수면지역

    다. 산악구조대: 「자연공원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자연공원 등 산악지역

    라. 고속국도구조대: 「도로법」 제10조제1호에 따른 고속국도(이하 “고속국도”라 한다)

    - 교통사고 발생 빈도 등을 고려하여 소방청, 시ㆍ도 소방본부 또는 고속국도를 관할하는 소방서에 설치하되, 시ㆍ도 소방본부 또는 소방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ㆍ도의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마. 지하철구조대: 「도시철도법」 제2조제3호가목에 따른 도시철도의 역사및 역 시설

     

    17. 개방형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의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① 하나의 방수구역은 2개층에 미치지 아니 할 것.

    ② 방수구역마다 일제개방밸브를 설치할 것.

    ③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50개 이하로 할 것.

    ④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은 3,000㎡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답: 4번

    풀이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하나의 방수구역은 2개 층에 미치지 아니 할 것 

    2. 방수구역마다 일제개방밸브를 설치할 것 

    3.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50개 이하로 할 것. 다만, 2개 이상의 방수구역으로 나눌 경우에는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25개 이상으로 할 것 

    4. 일제개방밸브의 설치위치는 제6조제4호의 기준에 따르고, 표지는 "일제개방밸브실"이라고 표시할 것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ㆍ유수검지장치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방호구역(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범위에 포함된 영역을 말한다. 이하 같다)ㆍ유수검지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은 3,000㎡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다만,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에 격자형배관방식(2이상의 수평주행배관 사이를 가지배관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말한다)을 채택하는 때에는 3,700㎡ 범위 내에서 펌프용량, 배관의 구경 등을 수리학적으로 계산한 결과 헤드의 방수압 및 방수량이 방호구역 범위 내에서 소화목적을 달성하는 데 충분할 것 

    2. 하나의 방호구역에는 1개 이상의 유수검지장치를 설치하되, 화재발생시 접근이 쉽고 점검하기 편리한 장소에 설치할 것 

    3. 하나의 방호구역은 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1개 층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경우와 복층형구조의 공동주택에는 3개 층 이내로 할 수 있다. 

    4. 유수검지장치를 실내에 설치하거나 보호용 철망 등으로 구획하여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되, 그 실 등에는 개구부가 가로 0.5m 이상 세로 1m 이상의 출입문을 설치하고 그 출입문 상단에 "유수검지장치실" 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다만, 유수검지장치를 기계실(공조용기계실을 포함한다)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실 또는 보호용 철망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기계실 출입문 상단에 "유수검지장치실"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수 있다. 

    5. 스프링클러헤드에 공급되는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지나도록 할 것. 다만, 송수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6. 자연낙차에 따른 압력수가 흐르는 배관 상에 설치된 유수검지장치는 화재시 물의 흐름을 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압력이 얻어질 수 있도록 수조의 하단으로부터 낙차를 두어 설치할 것

    7.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것 

     

    18. 소방설비 중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 활동을 위해 소방관이 주로 사용하는 소화활동설비는?

    ① 연결살수설비 ② 물분무등 소화설비 ③ 단독경보형 설비 ④ 소화용수설비

     

    답: 1번 

    풀이 

    소화활동설비 

    -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본격소화에 해당 

    - 제연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연소방지설비

     

     

    19. 원자핵반응에서 생성계질량의 총합이 반응계 질량의 총합보다 감소하는 반응은?

    ① 흡열반응 ② 발열반응 ③ 유기반응 ④ 중화반응

     

    답: 1번 

     

    20. 연소열을 빼앗아 연소물의 온도를 발화점이하로 낮추는 소화방법은?

    ① 냉각소화 ② 질식소화 ③ 희석소화 ④ 제거소화

     

    답: 1번 

    풀이 

    냉각소화 

    - 점화원, 점화에너지를 차단하는 소화방법

    - 연소 중 가연물에 물을 주수하여 열 방출량을 낮추는 소화방법

    - 물 등을 이용하여 가연성 연소분해물의 생성물을 흡수하기 위한 소화방법

    - 열을 흡수하여 연소반응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목적이 있는 소화방법

    - 발화점 이하의 에너지 상태로 가연물을 유지하기 위함  

    - 옥내ㆍ외, 스프링클러, 물분무 등이 이 소화방법을 이용한 설비이다

    - 구체적인 소화방법은 액체의 현열, 증발잠열을 이용하는 방법(옥내 옥외, 스프링클러, 물분무 등)과 열용량이 큰 고체(화염방지기)를 이용하는 방법, 식용유 화재 시 신선한 야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 식용유에 불이 붙어 옆에 있는 상온의 식용유를 부었더니 꺼진 경우 

    - 물의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에 화재의 소화작업에 주로 물을 사용한다 

    - 봉상주수 , 적상주수, 무상주수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