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항목별 시험법)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14. 11:20
    728x90
    반응형

    1. 냄새 

    - 물속의 냄새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자의 후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시료를 정제수로 희석하면서 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여 희석배수를 수치화 한다.

     

    1) 적용범위 

    표수, 지하수, 폐수

     

    2) 냄새역치 

    냄새 역치 (TON, threshold odor number)를 구하는 경우 사용한 시료의 부피와 냄새 없는 희석수의 부피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2. 색도

    - 색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눈에 보이는 색상에 관계없이 단순 색도차 또는 단일 색도차를 계산하는데 아담스-니컬슨 (Adams-Nickerson)의 색도공식을 근거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육안적으로 두개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A, B가 무색으로부터 같은 정도로 색도가 있다고 판정되면, 이들의 색도값 (ADMI : American dye manufacturers institute)도 같게 된다.

    - 아담스-니컬슨 (Adams-Nickerson)의 색도공식

    육안으로 두개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A, B가 무색으로부터 같은 정도로 색도가 있다고 판정되면, 이들의 색도값 (ADMI의 기준 : American dye manufacturers institute)도 같게 된다. 이 방법은 백금-코발트 표준물질과 아주 다른 색상의 폐·하수에서 뿐만 아니라 표준물질과 비슷한 색상의 폐하수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 물속에 존재하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20 에서 5일간 저장하여 두었을 때 시료중의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과 호흡작용에 의하여 소비되는 용존산소의 양으로부터 측정하는 방법

     

    1) 식종하지 않은 시료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mg/L) = (D1 - D2) × P

     

    여기서, D1 : 15분간 방치된 후의 희석(조제)한 시료의 DO (mg/L)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조제)한 시료의 DO (mg/L)

    P : 희석시료 중 시료의 희석배수 (희석시료량/시료량)

     

    2) 식종희석수를 사용한 시료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mg/L) = [ (D1 - D2) - (B1 - B2) × f ] × P

     

    여기서, D1 : 15분간 방치된 후의 희석(조제)한 시료의 DO(mg/L)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조제)한 시료의 DO (mg/L)

    B1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 DO (mg/L)

    B2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후 DO (mg/L)

    f :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 (x %)과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 (y %)의 비 (x/y)

    P : 희석시료 중 시료의 희석배수 (희석시료량/시료량)

     

    3) 연속자동측정방법

    연속자동측정기를 이용하여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4. 수소이온농도 (pH)

    - 물속의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준전극과 비교전극으로 구성되어진 pH측정기를 사용하여 양전극간에 생성되는 기전력의 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온 도
    ()
    수산염
    표준용액
    프탈산염
    표준용액
    인산염
    표준용액
    붕산염
    표준용액
    탄산염
    표준용액
    수산화칼슘
    표준용액
    0 1.67 4.01 6.98 9.46 10.32 13.43
    5 1.67 4.01 6.95 9.39 10.25 13.21
    10 1.67 4.00 6.92 9.33 10.18 13.00
    15 1.67 4.00 6.90 9.27 10.12 12.81
    20 1.68 4.00 6.88 9.22 10.07 12.63
    25 1.68 4.01 6.86 9.18 10.02 12.45
    30 1.69 4.01 6.85 9.14 9.97 12.30
    35 1.69 4.02 6.84 9.10 9.93 12.14
    40 1.70 4.03 6.84 9.07 - 11.99
    50 1.71 4.06 6.83 9.01 - 11.70
    60 1.73 4.10 6.84 8.96 - 11.45

    - 연속자동측정방법

    물속의 수소이온농도 (pH)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준전극과 비교전극으로 구성되어진 pH측정기를 사용하여 양전극간에 생성되는 기전력의 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pH는 수소이온농도를 그 역수의 상용대수로서 나타낸 값으로 보통 기준전극과 비교전극으로 구성되어진 pH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양전극간에 생성되는 기전력의 차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한다

     

     

    5. 온도 

    의 온도를 수은 막대 온도계 또는 서미스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1)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

    - KS B 5316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담금선붙이 50 또는 100 ) 또는 이에 동등한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로서 최소 측정단위가 0.1 로 교정된 온도계를 사용한다.

    -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를 측정하고자 하는 수중에 직접 담근 상태에서 일정 온도가 유지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온도계의 눈금을 읽는다.

     

    2) 서미스터 온도계

    - KS C 2710 직렬형 NTC 서미스터 온도계 또는 이에 동등한 온도계로 최소 측정단위는 0.1 로 교정된 온도계를 사용한다.

    - 서미스터 온도계의 측정부를 수중에 직접 담근 상태에서 일정 온도가 유지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온도계의 눈금을 읽는다.

     

    3) 연속자동측정방법 

    물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표준유리제 수은 막대온도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시험기준은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금속산화물 서미스터 (thermistor)를 사용하는 측정기로 수온을 측정

     

    6. 용존산소-적정법(Dissolved Oxygen-Titrimetric Method)

    - 물속에 존재하는 용존산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에 황산망간과 알칼리성 요오드칼륨용액을 넣어 생기는 수산화제일망간이 시료 중의 용존산소에 의하여 산화되어 수산화제이망간으로 되고, 황산 산성에서 용존산소량에 대응하는 요오드를 유리한다. 유리된 요오드를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하여 용존산소의 양을 정량하는 방법

     

    1) 용존산소 농도 산정방법

    a : 적정에 소비된 티오황산나트륨용액(0.025 M)의 양 (mL)

    f : 티오황산나트륨(0.025 M)의 인자 (factor)

    V1 : 전체 시료의 양 (mL)

    V2 : 적정에 사용한 시료의 양 (mL)

    R : 황산망간 용액과 알칼리성 요오드화칼륨-아자이드화나트륨 용액 첨가량 (mL)

     

    2) 용존산소 포화율 산정방법

    DO : 시료의 용존산소량 (mg/L)

    DOt : 수중의 용존산소 포화량 (mg/L)

    B : 시료채취시의 대기압 (mmHg)

     

    7. 용존산소-전극법(Dissolved Oxygen-Electrode Method)

    - 물속에 존재하는 용존산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중의 용존산소가 격막을 통과하여 전극의 표면에서 산화, 환원반응을 일으키고 이때 산소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량으로부터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방법

     

    8. 잔류염소-비색법

    -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시료의 pH를 인산염완충용액으로 약산성으로 조절한 후 발색하여 잔류염소 표준비색표와 비교하여 측정한다.

    잔류염소
    (mg/L)
    잔류염소
    표준비색용액
    (mL)

    (mL)
    잔류염소
    (mg/L)
    잔류염소
    표준비색용액
    (mL)

    (mL)
    0.05 0.5 49.5 0.8 8.0 42.0
    0.1 1.0 49.0 0.9 9.0 41.0
    0.2 2.0 48.0 1.0 10.0 40.0
    0.3 3.0 47.0 1.2 12.0 38.0
    0.4 4.0 46.0 1.4 14.0 36.0
    0.5 5.0 45.0 1.6 16.0 34.0
    0.6 6.0 44.0 1.8 18.0 32.0
    0.7 7.0 43.0 2.0 20.0 30.0

     

    9. 잔류염소-적정법

    - 물속에 존재하는 잔류염소를 전류적정법으로 측정하는 방법

     

    10. 전기전도도

    - 전기전도도 측정계를 이용하여 물중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

     

    셀 상수
    (cm-1)
    측 정 범 위
    (μS/cm)
    0.01
    0.10
    1
    10
    50
    20이하
    120
    102,000
    10020,000
    1000200,000

    11. 화학적 산소요구량 

    1) 과망간산칼륨법

    ① 산성 

    - 물속에 존재하는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황산산성으로 하여 과망간산칼륨 일정과량을 넣고 30분간 수욕상에서 가열반응 시킨 다음 소비된 과망간산칼륨량으로부터 이에 상당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② 알칼리성 

    - 물속에 존재하는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알칼리성으로 하여 과망간산칼륨 일정과량을 넣고 60분간 수욕상에서 가열반응 시키고 요오드화칼륨 및 황산을 넣어 남아있는 과망간산칼륨에 의하여 유리된 요오드의 양으로부터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12. 탁도 

    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탁도계를 이용하여 물의 흐림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13. 투명도 

    - 투명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름 30 cm의 투명도판(백색원판)을 사용하여 호소나 하천에 보이지 않는 깊이로 넣은 다음 이것을 천천히 끓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0.1 m 단위로 읽어 투명도를 측정하는 방법

    - 투명도판

     

    - 측정결과는 0.1 m 단위로 표기한다.

     

    출처:

    하수도시설기준(2011)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