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공장폐수 및 하수유량-측정용 수로 및 기타 유량측정방법)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10. 11:20
    728x90
    반응형

    1. 폐수처리 공정에서 유량측정장치의 적용


    공장폐수
    원수 (raw wastewater)
    1차처리수
    (primary effluent)
    2차처리수
    (secondary effluent)
    1차슬러지
    (primary sludge)
    반송슬러지
    (return sludge)
    농축슬러지
    (thickened sludge)
    포기액
    (mixed liquor)
    공정수
    (process water)
    웨어
    (weir)





    플룸 (flume)



     

    2. 각종 웨어와 수량 측정 범위

    웨어 형식 (m) 수두의 범위
    (H mm)
    수량의 범위
    (Q m3/min)
    60° 삼각웨어 0.45 40 120 0.018 0.26
    90° 삼각웨어 0.60 70 200 0.11 1.5
    90° 삼각웨어 0.80 70 260 0.11 2.9
    사각웨어 0.9 × 0.36 30 270 021 5.5
    사각웨어 1.2 × 0.48 30 312 0.28 8.0

    수두: 웨어의 상류측 수두측정 부분의 수위와 절단 하부점(직각 3각 웨어) 또는 절단 하부 모서리의 중앙(4각 웨어)과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3. 정밀도 및 정확도

    유량계 범위
    (최대유량 : 최소유량)
    정확도
    (실제유량에 대한, %)
    정밀도
    (최대유량에 대한, %)
    웨어 (weir) 500 : 1 ± 5 ± 0.5
    파샬수로 (flume) 10 : 1 75 : 1 ± 5 ± 0.5

     

    4. 유량계의 종류 및 특성

    1) 웨어 (weir)

     

    직각 3각 웨어

    이 계산식의 적용범위는 아래와 같다.

    B : 0.5 m 1.2 m

    D : 0.1 m 0.75 m h : 0.07 m 0.26 m < B/3

     

     

    4각 웨어

    2) 파샬수로(parshall flume)

    수두차가 작아도 유량측정의 정확도가 양호하며 측정하려는 폐하수중에 부유물질 또는 토사등이 많이 섞여 있는 경우에도 목 (throat)부분에서의 유속이 상당히 빠르므로 부유물질의 침전이 적고 자연유하가 가능하다

    목 (throat)폭 적 용 공 식
    W= 7.6 cm
    W= 15.2 cm
    W= 22.86 cm
    W= 30.48 cm∼ 243.84 cm
    q = 0.143 Ha 1.55 (L/s)
    q = 0.264 Ha 1.58 (L/s)
    q = 0.466 Ha 1.53 (L/s)
    q = 0.964 Ha 1.52 (L/s)



    3) 용기에 의한 측정

    ① 최대 유량이 1 m3/분 미만인 경우

    - 유수를 용기에 받아서 측정

    - 용기는 용량 100 L 200 L인 것을 사용하여 유수를 채우는 데에 요하는 시간을 스톱워치 (stop watch)로 잰다. 용기에 물을 받아 넣는 시간을 20초 이상이 되도록 용량을 결정한다

    최대유량 1 m3/분 이상인 경우

    - 침전지, 저수지 기타 적당한 수조 (水槽)를 이용

    - 수조가 작은 경우는 한번 수조를 비우고서 유수가 수조를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부터 최대유량이 1 m3/분 미만인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량을 구한다.

    - 수조가 큰 경우는 유입시간에 있어서 유수의 부피는 상승한 수위와 상승 수면의 평균표면적 (平均表面積)의 계측에 의하여 유량을 산출한다. 이 경우 측정시간은 5분 정도, 수위의 상승속도는 적어도 매분 1 cm 이상이어야 한다.

     

    4) 개수로에 의한 측정

    수로의 구성재질과 수로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고 수로의 길이가 적어도 10 m까지 똑바른 경우

    - 직선 수로의 구배와 횡단면을 측정하고 이어서 자 ()등으로 수로폭간의 수위를 측정한다.

    - 평균유속은 케이지 (Chezy)의 유속공식에 의한다.

    수로의 구성, 재질, 수로단면의 형상, 구배 등이 일정하지 않은 개수로의 경우

    - 수로는 될수록 직선적이며, 수면이 물결치지 않는 곳을 고른다.

    - 유속의 측정은 부표를 사용하여 10 m구간을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톱워치 (stop watch)로 재며 이때 실측유속을 표면 최대유속으로 한다.

     

    5. 유량의 측정조건 및 측정값의 정리와 표시

    - 폐하수의 유량조사에 있어서는 배출시설(공장, 사업장 등)의 조업기간 중에 있어서 가능한 한 처리량, 운전시간, 설비가동상태에 이상이 없는 날을 택하여 조사한다. 1일 조업시간을 1단위로 한다.

    - 조사당일은 그날의 조업개시 시간부터 원칙적으로 10분 또는 15분마다 반드시 일정간격으로 폐하수량을 측정하며, 당일의 조업이 끝나고 다음날 (翌日)조업이 시작될 때까지, 혹은 당일의 조업이 끝나고 다음 조업이 시작될 때까지 폐하수가 흐르는 경우에는 폐하수의 방류가 종료될 때까지 측정을 계속한다.

    , 유량에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의 시간간격을 적의 연장하여도 무방하다.

    - 한 조사단위에 있어서 동일 간격으로 측정한 유량 측정값은 다음 3개항에 해당 배수량을 나타낸다.

    - 그래프에 조업시간과 유량과의 관계를 표시한다.

    - 측정값의 산술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유량으로 한다.

    - 측정값의 최대값을 가지고 최대유량 측정값으로 한다.

    - 측정을 계속하는 중에 배출시설(공장, 사업장 등)의 조업상태가 나쁘거나 다른 이상이 있거나 폐하수의 유량에 유의한 변화가 있어 측정값에 영향이 있을 경우에는 재측정을 한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