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산화지법)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5. 09:37728x90반응형
Q. 다음은 산화지법과 활성슬러지법을 비교한 것이다. 옳은 것은?
∨① 산화지법은 부지면적이 크다.
② 산화지법은 수심이 깊을수록 좋다.
③ 산화지법은 공기를 다량으로 송입해야 한다.
④ 산화지법은 원생동물이 정화작용의 주체가 된다.
Q.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그 방법의 원리가 잘못 설명된 것은?
① 회전원판법 - 미생물 부착성장형으로서 별도의 산소 공급장치가 없다.
② 접촉안정법 - 생물흡수(Biosorption)에 의하여 폐수 중의 유기물을 슬러지에 흡착시킨다.
③ 심층포기법 - U자형의 관을 이용하여 포기를 실시하며 주로 부상조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분리시킨다.
∨④ 산화지법 - 수심 1 m이하의 경우 호기성 세균의 산소 공급원은 조류와 균류이다
● 산화지법
- 박테리아와 조류의 공생현상을 이용하여 생활하수를 처리하는 방법
1. 종류
- 호기성 산화지법
호기성산화지의 깊이는 0.3~0.6m 정도이며 산소는 바람에 의한 표면포기와 조류에 의한 광합성에 의하여 공급된다. 호기성산화지는 전 수심에 거쳐 일정한 용존산소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혼합시켜 주어야 한다.
- 임의성 산화지법
산기식 혹은 기계식표면포기기를 사용하며 지의 깊이는 3~6m, 체류시간은 7~20일 정도이다. 포 기식산화지는 임의성산화지보다 높은 BOD부하를 받아들이며 악취문제가 적고 소요부지 또한 비교적 작은 편이다. 포기식산화지 다음에는 임의성산화지나 침전지를 설치하여 방류수내의 SS함량을 줄이도록 한다
- 폭기식 산화지법
임의성산화지의 깊이는 1.5~2.5m, 체류시간은 25~180일 정도이다. 임의성산화지에 있어서는 호 기성산화지나 포기식산화지와는 달리 부유물질이 산화지 내에서 침전되어 혐기성지역이 형성되도록 하며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수면과 대기의 접촉부분은 호기성, 밑바닥은 혐기성 이 되어 임의성산화지가 형성된다
2. 장점
- 처리비용이 적다
- 건설, 유지비가 적다
- 충격부하에 매우 강하다
3. 단점
- 기후 영향을 받는다
- 처리효율이 낮다
- 넓은 부지면적이 필요하다
- 악취가 발생한다
728x90반응형'환경직공무원 > 수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처리법[생물막공법(회전원판법, 접촉산화법)] (0) 2021.11.06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생물막공법(살수여상법)] (0) 2021.11.05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활성슬러지법 관련 계산 문제) (0) 2021.11.05 [수질] 수질오염 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 (호기성 처리, 활성슬러지법) (0) 2021.11.05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 (0) 202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