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처리법[생물막공법(회전원판법, 접촉산화법)]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6. 09:58
    728x90
    반응형

    Q. 다음은 회전 원판법의 장점을 설명한 것이다. 이 중 틀린 것은?

    운전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다.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반응 소용 시간이 짧고 부하 변동에 강하다.

    ∨④ 처리수의 투시도가 양호하다.

     

    Q. 회전원판법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운전관리상 조작이 간단하고 소비전력량은 소규모 처리시설에서는 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적다.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이로 인하여 처리수의 BOD가 높아진다.

    ∨③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이차침전지에 미세한 SS가 유출되기 어렵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좋다.

    살수여상과 같이 파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하루살이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Q.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회전원판법(RBC)의 장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운전이 쉽다.

    반응시간이 짧다.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④ 기온의 영향이 적다.

     

    Q. 다음은 Bio-disc(RBC)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일종의 호기성 처리로 산소 공급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한다.

    활성 슬러지법에 비해 폐수 농도 및 유량에 덜 민감하다.

    반응조 전후에 침전지가 필요하다.

    ∨④ 슬러지 반송률은 20~30%정도이다.

     

    Q. 회전원판법의 일반적인 특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단회로 현상의 제어가 어렵다.

    폐수량 변화에 강하다.

    파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하루살이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최종침전지에서 미세한 부유물질이 유출되기 쉽다.

     

    Q. 생물막을 이용한 처리법 중 접촉산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비교적 소규모 시설에 적합하다

    ∨② 미생물량과 영향인자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이 쉽다

    슬러지 반송이 필요하지 않아 운전이 용이하다

    고부하시 운전 시 생물막이 비대화되어 접촉재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회전원판법 - 생물막공법

    - 원판의 일부가 수면에 잠기도록 원판을 설치하여 이를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원판 위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호기성 미생물(이하 “부착생물”이라 함)을 이용하여 하수를 처리하는 것이다

    - 호기성여상법으로 대표되는 생물막을 이용하여 하수를 처리하는 방식

    - 반응조의 상태가 살수여상법과 접촉산화법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이 방법에서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접촉체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1. 장점

    - 폐수량 변화에 강하다.

    - 활성 슬러지법에 비해 폐수 농도 및 유량에 덜 민감하다.

    - 운전이 쉽다.

    - 반응시간이 짧다.

    -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 소비전력량은 소규모 처리시설에서는 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적다.

    - 팽윤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충격부하에 강하다

    - 활성슬러지법에서와 같이 벌킹으로 인해 이차침전지에서 일시적으로 다량의 슬러지가 유출되는 현상은 없다

     

    2. 단점 

    - 살수여상과 같이 여상에 파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하루살이가 발생하는 수가 있다.

    -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이차침전지에서 미세한 SS가 유출되기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

    -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이로 인하여 처리수의 BOD가 높아진다.

    -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처리효율이 낮다

    - 질산화가 일어나기 쉬우며 pH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 접촉산화법 - 생물막공법

    - 접촉여재는 통상 물에 잠겨 있다. 이 때문에 하수에 산소를 공급하며 또한 하수와 생물막의 접촉을 촉진하기 위한 교반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접촉산화법은 접촉여재를 고정시킨 것 과 부유상태 또는 유동상태인 것으로 대별되며 전자를 고정상식, 후자를 유동상식이라고 한다.

    - 반응조 내 접촉재 표면에 발생 부착된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의해 하수를 처리하는 방식

    - 고부하에서 운전시 생물막이 비대화되어 접촉재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 일차침전지 유출수 중의 유기물은 호기상태의 반응조내에서 접촉제 표면에 부착된 생물에 흡착되어 미생물의 산화 및 동 화작용에 의해 분해 제거된다.

    - 부착생물의 증식에 필요한 산소는 포기장치로부터 조 내에 공급된다. 접촉제 표면의 과잉부착생물은 탈리되어 이차침전지에서 침전분리되지만, 활성슬러지법에서처럼 반송슬러지로서 이용되는 것이 아니 라 잉여슬러지로서 인출된다

    1. 장점

    • 유지관리가 쉽다
    • 수온 변화에 강하다
    • 슬러지 반송이 필요없고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 소규모 시설에 적합하다
    • 부하, 수량 변동에 대한 완충능력이 있다 
    • 반송슬러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관리가 용이하다.
    • 비표면적이 큰 접촉제를 사용하여 부착생물량을 다량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기질의 변동에 유연히 대응할 수 있다.
    •  생물상이 다양하여 처리효과가 안정적이다.
    •  슬러지의 자산화가 기대되어 잉여슬러지량이 감소한다.
    •  부착생물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서 조작조건의 변경에 대응하기 쉽다

    2. 단점

    • 미생물량과 영향인자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이 어렵다.
    • 반응조내 매체를 균일하게 포기 교반하는 조건설정이 어렵고 사수부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포기비용이 약간 높다. 
    • 매체에 생성되는 생물량은 부하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 고부하시 매체의 폐쇄위험이 크기 때문에 부하조건에 한 계가 있다.
    • 초기 건설비가 높다.

     

    출처: 하수도시설기준(2011)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