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생물학적 처리법(활성슬러지법 관련 계산 문제)
    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5. 09:31
    728x90
    반응형

     

    Q. 다음중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16국민안전처9급)

    ① MLSS : 포기조 내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농도를 말한다

    ∨② SRT : 침전지에서 유기물질이 머무는 시간을 말한다

    ③ SVI : 침전지에서 침강 농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④ SDI : 침전지에서 침강성과 슬러지 반송률 결정에 이용하는 지표이다

     

     SRT : 침전지 내 고형물 체류시간을 말한다 

    Q. .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고자 할 때 폭기조의 부피가 10m3이고 F/M비가 0.25(kg/kg·day), MLSS80 g/L 일 때 BOD 용적 부하량(kg/m3·day)을 계산하시오?

    풀이

    BOD - MLSS 부하 = BOD·Q / V·X = F / M 

    => 0.25kg/kg·day = BOD x Q / V · 80 g/L

    BOD용적부하량 = BOD·Q / V = 0.25kg/kg·day x  80 g/L

    = 0.25kg/kg·day x 0.08kg/L x 1000L / m3 = 20kg/m3·day

     

    : 20kg/m3·day

     

    Q. BOD150mg/L이고 유량이 1000/day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폭기조의 용적은?(, BOD의 용적부하율은 0.5kg/㎥․day로 유지한다.)

     

    풀이

    BOD용적부하량 = BOD·Q / V =  0.5kg/㎥·day

    V = 150mg/L x 1000㎥/day /  0.5kg/㎥·day 

       = 0.15kg/L x 1000x1000L/day / 0.5kg/㎥·day  = 300000㎥

    : 300L = 300000㎥

     

    Q. 활성슬러지법에서 폭기조를 결정하는 기준 중 적합하지 않는 것은?

    폭기시간

    F/M

    BOD 용적부하율

    ∨ ④ SVI

     

    Q. 활성오니법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옳은 것은?

    폭기조에서의 유기물 제거는 공급된 산소의 산화 작용에 의해 행해진다.

    유기물은 산화되어 최종적으로 메탄과 물이 된다.

    침전조에서 폭기조로 보내지는 오니를 잉여오니라 한다.

    ∨④ 활성오니법에서는 오니가 벌킹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으므로, 처리계획이나 운전관리에 있어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Q. F/M비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F/M비를 크게 할수록 유기물 제거율이 증가한다.

    F/M비는 0.3~0.6이 좋다.

    F/M비를 적게 할수록 잉여 슬러지 생산율도 적어진다.

    F/M비의 단위는 BOD5/MLSS·day 이다.

     

    Q. 생물학적 처리에서 미생물 체류시간이 증가하면 나타나는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폭기조내 MLSS 농도가 줄어든다.

    산소소비량이 감소된다.

    ∨③ 슬러지 생산량이 줄어든다.

    처리효율이 감소된다.

     

    Q.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사상균, 황세균이 출현한다.

    침전지의 Bulking현상이 나타난다.

    침전슬러지의 부패가 발생된다.

    혐기성 상태가 되어 가스를 형성한다.

     

    Q. SVI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① SVI50~150의 범위가 좋으며 BOD나 수온에 큰 영향이 없다

    SVI가 높게 되면 MLSS는 저하된다.

    침강 농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SVI가 적을수록 슬러지가 농축되기 쉽다.


    ● 활성슬러지 공법에 관련된 함수

     

    BOD 부하량(kg/day) = BOD x Q

     

    BOD용적부하량(kg/m3.day) = BOD·Q / V 

     

    BOD - MLSS 부하(kg/kg.day) = BOD·Q / V·X = F/M

     

    슬러지부피지표 SVI = SV x 1000 / X (30분 침강) 

     

    - F/M이 높을수록 세포체류시간은 짧아진다

    - F/M이 낮을수록 잉여슬러지 생산량은 적어진다

    - 긴 고형물 체류시간은 반응조 혼합액의 평균 부유물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