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현장발굴 및 복원 조사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9:13
1. 다음 빈칸을 완성하시오(2013) 발굴범위검토 -> 발굴개시 -> 발화원 등 탄화물 확모 -> ( 복원 ) -> 연소확대요인, 발화원 검토 등 -> 발굴종료 -> 발굴범위검토 1. 발굴 및 복원조사 전체 과정의 단계별 사진촬영 방법 1) 발굴 시 사진촬영 방법 2) 복원 시 사진촬영 방법 2. 발굴 및 복원 조사의 절차 및 요령 1) 현장관찰요령 2) 발굴절차 : 발굴범위검토 -> 발굴개시 -> 발화원 등 탄화물 확모 -> (복원) -> 연소확대요인, 발화원 검토 등 -> 발굴종료 -> 발굴범위검토 3) 현장 발굴요령 4) 복원요령 및 유의사항 3. 발굴과정에서 식별되는 연소형태 관찰 1) 탄화물, 그을음 제거 2) 훈증유막의 검댕물질 제거 3) 금속면의 탄화 및 ..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저항, 전기화재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8:12
1. 줄열에 기인한 국부적인 저항치 증가로 발화되는 현상 3가지를 쓰시오 (2015)(2017)(2018) ① 접촉저항 증가 ② 반단선 ③ 아산화동 증식 2. 전기화재 발생원인 중 단락이 원인이 되는 5가지를 쓰시오. (2020) ①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② 반단선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③ 과부하/과전류 ④ 누전/지락 ⑤ 층간단락 + 누전/지락,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미확인단락, 트래킹에 의한 단락 ※ 용어 정리 - 접촉불량 : 도선과 단자, 납땜을 실시한 개소, 접속용의 커넥터 등의 전기접속부분에 있어서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진 상태 - 과부하: 기기 또는 장치가 감당하는 정상값을 초과한 부하 - 절연열화: 전기 기기나 재료에 전기나 열이 통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점차 약..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조사 전담부서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11
1. 화재조사 전담부서에서 갖추어야 하는 기자재 중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2017) ① 기자재 명칭과 ⓐ ~ ⓒ 의 명칭을 쓰시오. - 명칭 : 검전기 - ( ⓐ 검지부 ) , ( ⓑ 발광부 ) , ( ⓒ 음향부(발음부)) ② 사용용도를 쓰시오. 단로기 조작 경우에 차단기 작동여부와 차단계통이 작동했는지 확인한다 2. 화재조사 전담부서에서 갖추어야 할 증거수집장비 6종을 쓰시오. (2014) 증거물수집기구세트, 증거물보관세트, 증거물 표지, 증거물 태그, 접자, 라텍스장갑 3. 소방기본법 상 소방서 화재조사 전담부서에 갖추어야 할 안전장비를 6가지 쓰시오.(2017) 보호용 작업복, 보호용 장갑, 안전화, 안전모, 마스크(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보안경 4. 화재현장에서 증거물의..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fuse cock, 리프팅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11
1. 가스시설에 있는 퓨즈 코크(Fuse Cock)가 하는 역할에 대하여 쓰시오.(2014) 코크에 내장된 볼이 떠올라 가스통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2. 가스기구에서 리프팅의 원인 5가지를 쓰시오.(2015)(2018)(2020) ① 버너의 염공에 먼지 등이 부착하여 염공이 작아졌을 때 ② 가스의 공급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③ 노즐의 구경이 지나치게 클 경우 ④ 가스의 공급량이 버너에 비해 과다할 경우 ⑤ 공기 조절기를 지나치게 열었을 경우 ● 퓨즈코크 - 과류차단 안전기구가 부착된 것 - 배관과 호스 또는 배관과 quick coupler를 연결하는 구조 - 작동원리: fuse는 측면에 슬릿을 갖고 있는 실린더와 볼로 구성되어 있고 과대한 양의 가스가 흘렀을 때 fuse ball이 가스..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사상자, 중상, 경상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10
1. 화재현장에서 2명이 사망했고 96시간 경과 후 1명이 또 사망하였다. 사상자 중에는 5주 이상 입원을 한 사람이 9명, 단순연기흡입으로 통원치료를 한 사람이 9명 이었다. 사상자 수를 구하시오 (2016) ① 사망자 수 : 2명 ② 중상자 수: 10명 ③ 경상자 수: 9명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36조(사상자) 사상자는 화재현장에서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람을 말한다. 단,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후 72시간이내에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 화재로 인한 사망으로 본다. 제37조 (부상정도) 부상의 정도는 의사의 진단을 기초로 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한다. 1. 중상 : 3주 이상의 입원치료를 필요로 하는 부상을 말한다. 2. 경상 : 중상이외의(입원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 부상을 말..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피해액 , 소실면적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09
1.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00m2가 소실되었다. 화재피해액을 산정하시오. (내용연수 50년, 경과연수 30년, 손해율 70%, 건물신축단가 425천원) (2014) 풀이: 건물화재피해액 = 신축단가 X 소실면적 X [1-(0.8X경과연수/내용연수)] X 손해율 = 425천원 X 500 X [ 1 - ( 0.8 X 30 / 50 ) ] X 0.7 = 77350천원 답: 77350천원 2.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화재발생건물의 피해금액을 산정하시오 (2019) 화재당시 건물 신축단가 450,000원, 소실면적 500m2, 내용연수 50년, 경과연수 30년, 손해율 70% (다만, 잔존물 제거비는 제외) 풀이: 건물화재피해액 = 450 X 500 [ 1 - (0.8 X 30 /50 )] X 0.7 = 8..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누전, 방전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08
1. 누전화재의 3연소를 쓰시오. (2014) ① 누전점 ② 출화점 ③ 접지점 2. 다음 그림을 보고 누전의 3연소와 각각의 장소를 쓰시오.(2017) ① 누전점 : 빗물받이 ② 출화점 : 라스 모르타르 ③ 접지점 : 수도관 3. 다음은 방전현상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내용에 알맞은 방전현상을 쓰시오.(2019) ① ( 코로나 )방전 : 2개의 전극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불꽃을 발하기 이전에 전기장의 강한 부분만이 발광하여 전도성을 갖는 현상이다. ② ( 불꽃 )방전 : 기체 내에 넣은 전극에 고전압을 걸었을 때, 갑자기 기체의 절연상태가 깨지면서 큰 소리와 함께 빛을 방전하는 현상이다. ③ ( 글로 )방전 : 방전관의 압력이 10 ~ 1 Torr 정도에서 높은 전압을 걸면 유리관 전체가 빛을 내..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반단선, 트래킹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2021. 10. 30. 00:08
1.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2014) (2020) ① 트래킹: 전압이 인가된 이극도체 간 고체 절연물 표면에 오염물질(분진, 오존 등)이나 이를 함유하는 액체의 증기 또는 금속분 등의 도전성 물질이 부착하면 오염부 표면을 따라 미소전류가 흘러 발열이 지속되고 절연물을 탄화시켜 전극간에 탄화 도전로가 형성되는 현상 ② 반단선: 전선이 절연피복 내에서 단선되어 그 부분에서 단선과 이어짐이 되풀이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심선의 일부가 남아 있는 상태 2. 다음은 반단선에 대한 설명이다. O , X를 표시하시오 (2014) ① 단선측 소선의 일부에는 붙고 떨어지는 사이에 생기는 조그만 용융흔이 발생한다. (O) ② 단선측 선의 부하측 단선에는 반드시 단락흔이 발생한다. (X) ③ 여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