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저항, 전기화재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8:12728x90반응형
1. 줄열에 기인한 국부적인 저항치 증가로 발화되는 현상 3가지를 쓰시오 (2015)(2017)(2018)
① 접촉저항 증가
② 반단선
③ 아산화동 증식
2. 전기화재 발생원인 중 단락이 원인이 되는 5가지를 쓰시오. (2020)
①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② 반단선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③ 과부하/과전류
④ 누전/지락
⑤ 층간단락+ 누전/지락,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미확인단락, 트래킹에 의한 단락
※ 용어 정리
- 접촉불량 : 도선과 단자, 납땜을 실시한 개소, 접속용의 커넥터 등의 전기접속부분에 있어서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진 상태
- 과부하: 기기 또는 장치가 감당하는 정상값을 초과한 부하
- 절연열화: 전기 기기나 재료에 전기나 열이 통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점차 약해지는 현상
- 층간단락 : 권선 기기의 코일은 상층에서 하층까지 각층 사이에 절연이 되어 있는데, 이 절연이 파괴되어 층간에서 부분적인 단락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르는 말
3. 그림을 보고 단락이 발생한 순서를 쓰시오. (2016)C ➞ B ➞ A
부하측(커피포트)에서 먼저 단락되어 전원측으로 단락이 이루어진다.4. 전기화재 발생원인 중 단락이 원인이 되는 5가지를 쓰시오.(2020)
①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②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③ 과부하/과전류
④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⑤ 층간단락5. 다음 조건에서 세 곳(X표시 된 부분)에서 단락이 식별된 경우 조건 및 그림을 참고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2018)
[조건]
●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
● X 표시 부분은 합성에 의한 단락 발생
● 전기적인 단락흔적으로 판정하되 연소패턴 등 주변 가연물의 상황은 무시
① 최초 단락에 의한 발화부의 추정 가능여부를 쓰시오.: 3구 콘센트 말단에 연결된 TV 부하측 A지점에서 최초 단락에 의해 발화가 일어나고 차단기가 없는 직렬회로의 특징으로 순차적으로 전원측 1구 콘센트에 연결한 노트북 부하측 B지점으로 단락이 일어나고 전원측으로 단락이 이루어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② ①에 대한 이유를 쓰시오.: 전원측에 가까운 1구에 연결한 노트북 부하측 B지점에서 최초 단락이 일어났다면 A ➞ C순으로 단락이 진행되면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TV 부하측에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6. 전기설비에서 나타나는 화재현상 중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2017)
① 배선기구 접속부위 국부적인 저항치 증가로 인한 발화요인을 쓰시오.
: 이산화동 증식현상
② ①이 원인이 되어 구리산화물이 생성되는 현상 및 그때 생성되는 물질의 화학식을 쓰시오.- 현상 : 동으로 된 도채의 접촉저항이 증가하고 접촉부가 과열하게 되면 접촉부의 표면에 산화물의 막이 조금씩 형성되어지는데, 이 산화막을 도채의 표면에 국한되어 내부로 진행하지 않고 아산화동을 발생시키면서 발열한다.
- 화학식 : Cu2O
7. 화재 당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상태(통전 중)로 소실된 경우 통전상태를 입증하기 위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나타나는 특징을 각각 쓰시오. (2017)
① 콘센트 : 칼날받이가 벌어진 상태로 발견되고 부분적으로 용융흔이 있다.
② 플러그 : 플러그 핀이 용융, 패임, 잘림이 나타나기도 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연기 등 변색이 적다.
https://m.news1.kr/articles/?4303861#_enliple 728x90반응형'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목재 (0) 2021.10.31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현장발굴 및 복원 조사 (0) 2021.10.30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조사 전담부서 (0) 2021.10.30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fuse cock, 리프팅 (0) 2021.10.30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사상자, 중상, 경상 (0) 202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