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사상자, 중상, 경상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10
1. 화재현장에서 2명이 사망했고 96시간 경과 후 1명이 또 사망하였다. 사상자 중에는 5주 이상 입원을 한 사람이 9명, 단순연기흡입으로 통원치료를 한 사람이 9명 이었다. 사상자 수를 구하시오 (2016) ① 사망자 수 : 2명 ② 중상자 수: 10명 ③ 경상자 수: 9명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36조(사상자) 사상자는 화재현장에서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람을 말한다. 단,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후 72시간이내에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 화재로 인한 사망으로 본다. 제37조 (부상정도) 부상의 정도는 의사의 진단을 기초로 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한다. 1. 중상 : 3주 이상의 입원치료를 필요로 하는 부상을 말한다. 2. 경상 : 중상이외의(입원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 부상을 말..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피해액 , 소실면적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09
1.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00m2가 소실되었다. 화재피해액을 산정하시오. (내용연수 50년, 경과연수 30년, 손해율 70%, 건물신축단가 425천원) (2014) 풀이: 건물화재피해액 = 신축단가 X 소실면적 X [1-(0.8X경과연수/내용연수)] X 손해율 = 425천원 X 500 X [ 1 - ( 0.8 X 30 / 50 ) ] X 0.7 = 77350천원 답: 77350천원 2.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화재발생건물의 피해금액을 산정하시오 (2019) 화재당시 건물 신축단가 450,000원, 소실면적 500m2, 내용연수 50년, 경과연수 30년, 손해율 70% (다만, 잔존물 제거비는 제외) 풀이: 건물화재피해액 = 450 X 500 [ 1 - (0.8 X 30 /50 )] X 0.7 = 8..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조사, 화재원인조사, 과학적 방법론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09
1. 소방기본법시행규칙 별표5에서 정한 화재피해의 조사 중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조사범위를 쓰시오 (인명피해 조사범위 2가지, 재산피해 조사범위 3가지) (2018) 인명피해 ① ( 소방활동 중 발생한 사망자 및 부상자 ) ② ( 그밖에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재산피해 ③ (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피해 ) ④ ( 소화활동으로 발생한 소손 피해 ) ⑤ ( 그밖에 연기, 물품반출, 화재로 인한 폭발 등에 의한 피해 ) 2. 건축물 폭발현장의 [조건]을 참고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고압 스팀보일러에서 물리적 폭발 발생을 입증하기 위한 흔적과 이유를 쓰시오 (2017) [조건] 건축물 지하실에 LNG를 연료로 하는 고압 스팀보일러가 설치되어 작동 중 지하실에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 ①..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누전, 방전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30. 00:08
1. 누전화재의 3연소를 쓰시오. (2014) ① 누전점 ② 출화점 ③ 접지점 2. 다음 그림을 보고 누전의 3연소와 각각의 장소를 쓰시오.(2017) ① 누전점 : 빗물받이 ② 출화점 : 라스 모르타르 ③ 접지점 : 수도관 3. 다음은 방전현상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내용에 알맞은 방전현상을 쓰시오.(2019) ① ( 코로나 )방전 : 2개의 전극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불꽃을 발하기 이전에 전기장의 강한 부분만이 발광하여 전도성을 갖는 현상이다. ② ( 불꽃 )방전 : 기체 내에 넣은 전극에 고전압을 걸었을 때, 갑자기 기체의 절연상태가 깨지면서 큰 소리와 함께 빛을 방전하는 현상이다. ③ ( 글로 )방전 : 방전관의 압력이 10 ~ 1 Torr 정도에서 높은 전압을 걸면 유리관 전체가 빛을 내..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열전달량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28. 20:06
1. 전선이 절연피복 내에서 단선되어 그 부분에서 단선과 이어짐이 되풀이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심선의 일부가 남아 있는 상태(단, 콘크리트 벽의 열전도율은 0.083W/mK이다) (2014) 답: 221.3W 2. 화재가 발생한 공가 내부의 온도를 50°C로 가정하고 외부의 온도가 20°C인 경우 두께 3cm , 면적 3m2인 목재벽을 통한 열전달량은 얼마인가? (목재 벽의 열전도율은 0.09w/mK이다 ) (2015) 답: 270W 3. 두께 3cm인 벽면의 양쪽이 각각 400°C, 200°C일 때 열유속은? [단, 열전도율(K) = 0.083w/m · K) (2016) 답: 553W ● 푸리에의 법칙에 의해 전도되는 열전달량 q = 열전달량 K = 열전도율 A = 면적 L = 두..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재 소실 정도: 전소, 반소, 부분소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28. 19:56
1. 다음 화재의 소실 정도에 따라 다음을 구분하여 쓰시오. (2014) ① 건물의 70% 이상 소실되거나 그 미만이라도 잔존부분이 보수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한 것 => 전소 ② 건물의 30% 이상 70% 미만이 소실된 것 => 반소 2. 다음 화재의 소실 정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9) ① 전소 : 건물의 70% 이상(입체면적에 대한 비율)이 소실된 화재 또는 그 미만이라도 잔존부분이 보수를 하여도 재사용이 불가능한 것 ② 반소 : 건물의 30% 이상 70% 미만이 소실된 화재 구분 전소화재 반소화재 부분소화재 ③ 부분소 : 전소 · 반소 이외의 화재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30조(화재의 소실정도) ① 건축·구조물화재의 소실정도는 3종류로 구분하며 그 내용은 다음의 각 호에 따른다.(2006.12...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제조물 책임법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28. 19:56
1. 다음은 [제조물책임법]의 용어의 정의이다. 빈칸을 들어갈 알맞은 답을 쓰시오 "제조업자"란 다음의 자를 말한다 (2015)(2018) ① 제조물의 ( 제조 ) · ( 가공 ) 또는 ( 수입 )을 업으로 하는자 ② 제조물에 ( 성명 ) · ( 상호 ) · 상표 또는 그 밖에 식별 가능한 기호 등을 사용하여 자신을 ① 의 자로 표시한 자 또는 ①의 자로 오인하게 할 수 있는 표시를 한자 2. 제조물책임법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을 채우시오. (2016) ①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가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자를 안 날부터 (3년 )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된다. ② 손해배상청구권은 제조업자가 손해를 발생시킨 제조물을 공급한 날부터 (10년 ) 이내에 행사하여야 한다. ③ 손해배상청구권은 신..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만곡, 철골조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실기 2021. 10. 27. 15:54
1. 빈칸을 완성하시오 (2013) ① 금속에 따라 ( 용융 )온도 등이 다르므로 화재현장에서 금속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으면 대략적으로 온도를 알 수 있다. ② 금속이 화재열을 받으면 용융하기 전에 자중 등으로 인한 좌굴하여 ( 만곡 )이라는 형상을 남긴다. 이것으로 연소의 강/약을 알 수 있다. + 금속이 화중을 받고 있을 때 화염이 기둥 우측에 있을 때는 기둥은 ( 우측 ) 방향으로 휜다. ● 화원의 위치 - 도괴가 나타나는 이유: 금속의 만곡 또는 금속이 화재열을 받으면 용융하기 전에 자중 등으로 인해 좌굴하기 때문 ● 금속의 만곡 - 화재열을 받은 금속은 용융하기 전에 자중 등으로 인해 좌굴한다. - 화재현장에서는 만곡이라는 형상으로 남아 있다. - 일반적으로 금속의 만곡정도가 수열정도와 비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