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기] 대기오염물질 황산화물 SOx
    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5. 10:11
    728x90
    반응형

    Q. 다음 중 아황산가스( SO2 )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분진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독성이 증가한다.

    무색, 자극성을 가진 기체이다.

    환원성 있는 기체로 공기보다 무겁다.

    대류권에서 광분해되는 특성이 있다.

    연소시 발생하는 황산화물 중 대부분이 SO2 기체이다.

     

    답: 4번

     

    Q. 다음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입자상물질 중 특히 입경이 0.5~5정도인 입자는 폐포까지 도달하여 침착되기 때문에 인체에 가장 유해하다.

    이산화질소는 적갈색가스로서 NO보다 독성이 강하고 광화학스모그의 원인물질이다.

    황산화물 가스 중 자연상태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물질은 H2S 이다.

    미스트 함유 SO2 SO2 단독 존재시보다 독성이 10배정도 강하지만, 분진 함유 SO2는 그보다 더 독성이 강하다.

     

    답: 4번 

     

    Q. A기체는 계란썩는 냄새가 나는 유독가스로 호흡기 장애 및 불면증을 유발한다. A가스의 발생원이 아닌 것은?

    냉동공장 석유정제 하수 및 쓰레기 하치장  ④ 알루미늄 공업

     

    답: 4번 

     

    Q. 대기 중 존재하는 SOx 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

    인위적 발생원에서 화석연료 중의 황화합물은 연소하면 대부분 SO2 가 된다.

    SO2 의 연간배출량은 에너지 소비량과 비례하여 미국이 가장 많다.

    전 세계 황화합물 배출량 중 인위적 배출량이 80%를 차지하며 나머지 20%가 자연발생원에서 배출된다

    대기 중의 SO2 는 광화학반응에 의해 SO3 로 산화되거나 건성 또는 습성 침착에 의해 대기 중에서 배출된다.

     

    답: 3번 

    전 세계 황화합물 배출량 중 인위적 배출량이 20%를 차지하며 나머지 80%가 자연발생원에서 배출된다

     

    Q. 아황산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환원성 표백제로 각종 색소를 표백한다.

    무색의 자극성이 강한 기체로 액화하기 쉽다.

    석탄이나 석유의 연소과정에서 많이 발생하며, 대기오염물질의 지표가스이다.

    황화합물 중에서 자연계에서 가장 많이 존재한다

     

    답: 4번 

    H2S가 자연계에서 가장 많이 존재한다  

     

    Q. 아황산가스의 공기 중 주요 제거 메카니즘으로 보기 어려운 것?

    Washout

    Rainout

    염으로의 산화

    광화학반응에 의한 분해

     

    답: 4번 

     

     아황산가스, 이산화황, SO2

    - 무색, 자극성을 가진 기체

    - 환원성 있는 기체로 공기보다 무겁다.

    - 분진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독성이 증가한다.

    - 자연적발생: 인위적발생 = 1:1

    - 독성: 미스트 함유 SO2> 분진함유 SO2 > 단독 SO2

    - 연소시 발생하는 황산화물 중 대부분이 SO2 기체

    - 환원성, 아황산 상태에서 각종 색소를 표백한다

    - 산성비를 유발한다

    -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대기 구름에 용해되어 제거(Rain-out)되거나 빗물에 제거(Wash-out)된다

    - 호흡기 장애, 식물 엽록소 파괴, 백화현상, 맥간반점 유발

    - 인위적 발생원에서 화석연료 중의 황화합물은 연소하면 대부분 SO2 가 된다.

    - 대기 중의 SO2 는 광화학반응에 의해 SO3 로 산화되거나 건성 또는 습성 침착에 의해 대기 중에서 배출된다.

     

     황화수소, 유화수소, H2S

    - 계란썩는 냄새, 무색의 기체

    - 자연상태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물질(80%)

    - 해양을 통해 자연적 발생원 중 가장 많은 양의 황화합물이 DMS 형태로 배출됨

    - 냉동공장, 석유정제(가장 관련 깊음),하수 및 쓰레기 하치장

    - 악취가 있으며, 쉽게 아황산가스가 되어 점막을 자극한다.

     

     이황화탄소, CS2

    - 비스코스 섬유제조 시 주로 발생하는 무색의 유독한 휘발성 액체이고, 그 불순물은 불쾌한 냄새가 남

     

     황산, H2SO4: 무색, 부식성이 강함

     

     황산화물 발생방지법

     중유의 탈황방법

    - 방사선 화학적 탈황

    - 금속 산화물에 의한 흡착 탈황

    - 미생물에 의한 생화학적 탈황

    - 접촉 수소화 탈황(): 직접탈황법, 간접탈황법, 중간탈황법

     

     배기가스 탈황방법

     건식탈황법: 석회석주입법, 활성산화망간법 활성탄흡착법, 접촉산화법, 전자선조사법, NOXSO공정, CuO공정

    - 접촉산화법: 황산화물의 촉매를 사용하여 SO2 SO3로 산화시켜 약 80% 농도의 황산을 직접 회수할 수 있는 방법

     습식탈황법

    - 석회세정법, 암모니아흡수법, 나트륨법, Wellmann-lord, 마그네슘법

    - 출가스가 굴뚝으로 배출될 때 확산이 나쁘다.

    - 반응 효율은 높으나 수질오염의 문제가 심하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