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대기] 대기오염물질 CO, CO2
    환경직공무원/대기 2021. 10. 25. 14:24
    728x90
    반응형

    Q. 다음은 대기오염물질과 그 영향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CO : 혈액내 Hb(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이 산소의 21에 달해 산소운반 능력을 저하시킨다.->210

    NO2 : 적갈색, 자극성 기체로 NO 보다 독성이 5배 정도 강하다.

    SO2 : HF와 함께 식물에 의한 성분분석으로 대기오염 정도를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HC : 올레핀계 탄화수소는 광화학적 스모그에 적극 반응하는 물질이다.

     

    답: 1번 

    CO는 혈액내 Hb(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이 산소의 210배이다 

     

    Q. 대기오염물의 하나인 일산화탄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대기 중에서 다른 오염물질과 유해한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토양 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됨으로써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

    물에 난용성이므로 비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가장 많은 양을 발생시키는 인위적 발생원은 석탄연소 및 공업(석유정제, 제철소등)이다

     

    답: 4번 

    자동차가 가장 많은 양을 발생시키는 인위적 발생원이다 

     

    Q. 일산화탄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일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다.

    일산화탄소는 무색,무미,무취의 가스로 불완전 연소의 생성물이다.

    일산화탄소가 흡입되면 폐에서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카르복시 헤모글로빈이 형성된다

    일산화탄소는 환원성이 있다.

     

    답: 1번 

     

    Q. 일산화탄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연소의 중간생성물로서 불완전연소의 지표물질이다.

    Hb에 대한 친화력이 산소보다 210배 정도 높아 산소부족원이 된다.

    이의 처리를 위해 보통 환원법을 사용하여 분해한다.

    자동차 운행중 주행속도가 낮거나 정지가동시 많이 배출된다.

     

    답: 3번 

     

    Q.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가장 낮은 물질은?

    SF6

    메탄

    아산화질소

    이산화탄소

     

    답: 4번 

     

    Q. 온실효과에 미치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르지 못한 것은?

    CO2 는 온실효과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큰 물질로서 대표적인 저감방법으로는 화석연료사용량 감축 및 청정에너지 사용 등의 방법이 있다.

    CO2 1로 기준으로 했을 때 기후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로 ODP가 있으며 1ppm으로 가장 온난화 지수가 큰 물질은 SF6 이다. -> GWP

    기후변화협약의 실질적인 실천을 위해 합의한 교토의정서에 명시된 온실가스에는 CO2, CH4, N2O, SF6, PFC, HFC 등이 있다.

    CFC는 오존파괴물질이며 기후 생태계 변화 유발물질로서 온실가스이지만, 교토의정서 명시된 온실가스 종류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답: 2번 

    GWP: CO2 를 1로 기준으로 했을 때 기후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

     

    일산화탄소, CO - 무색, 무취, 무자극성 기체

    - 연소의 중간생성물로서 불완전연소의 지표물질이다.

    - 공기보다 약간 가볍다

    - Hb에 대한 친화력이 산소보다 210배 정도 높아 산소부족원이 된다.

    - 물에 녹지 않고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도 잘 일어나지 않고 환원성이 있다

    - 자연발생원: 테르펜의 산화, 화산폭발, 클로로필의 분해, 산불, 해수 중 미생물의 작용

    - 주요배출원: 자동차 운행중 주행속도가 낮거나 정지가동시 많이 배출된다

    - CO 의 폭로 시 가장 강한 영향을 받는 장기: 심장

    - 대기 중 CO2로 산화되기 어렵고 토양박테리아에 의해 CO2로 산화되어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

     

    이산화탄소, CO2 - 무색 기체

    - 식물의 부패, 화산폭발, 화석연료의 연소 등에 의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진다

    - 식물활동, 해양활동에 의해 대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고 나머지는 대기 중에 축적된다

    - 실내공기오염의 지표이다

    - 현재 지구상의 이산화탄소의 대부분의 저장고는 해수다.

    -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하여 북반구에서 상대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다.

    - 대기 중 12~18μm 영역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지구의 평균기온을 증가시킨다.

    -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해양이나 식물에 흡수되어 대기 중에서 제거되며, 추정체류시간은 약 2~4년으로 알려져 있다.

    - 현재의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주로 인위적인 방출에 의한 것이다.

    - 온실효과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큰 물질로서 대표적인 저감방법으로는 화석연료사용량 감축 및 청정에너지 사용 등의 방법이 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