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문제풀이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23. 00:10728x90반응형
1. 소방시설의 종류에 따른 분류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경보설비 - 비상조명등
② 소화설비 - 연소방지설비
③ 피난구조설비 - 비상방송설비
④ 소화활동설비 - 비상콘센트설비
답: 4번
풀이
- 경보설비 : 단독경보형감지기,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통합감시시설, 가스누설경보기, 자동화재속보설비, 시각경보기, 누전경보기
- 피난구조설비: 피난기구, 인명구조기구, 비상조명등, 휴대용 비상조명등, 유도등
- 소화설비 : 소화기구,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 스프링클러소화설비등, 물분무등소화설비
- 소화활동설비: 제연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 소화용수설비: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저수지, 그밖의 소화용수설비
2. 다음 특성에 해당하는 소화약제는?
◦ 소화 후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없고, 비전도성이다.
◦ 장기보존이 용이하고, 추운 지방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 자체 압력으로 방출이 가능하고, 불연성 기체로서 주된 소화효과는 질식효과이다
①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② 산 알칼리 소화약제 ③ 포 소화약제 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답: 1번
풀이
1)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특징
- 더 이상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 불연성 물질 ☆
- 질소, 아르곤, 할론 등의 불활성 기체와 함께 가스계 소화약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무색, 무취의 부식성이 없는 기체, 공기보다 1.5배 정도 무거운 기체
- 상온에서는 기체이지만 압력을 가하면 액화되기 때문에 고압가스 용기 속에서 액화시켜 보관
- 기체 팽창률 534L/kg(15℃), 증발잠열 56.1kcal/kg.
- 자체 증기압(57.8kg/cm2,21℃) 높아 심부까지 침투용이
- 액화가 용이한 불연성 가스(임계점 31.35℃, 72.9atm)
- 전기부도체(비전도성)로 전기화재(C급)에 적응성이 있다. ☆
- 전기절연성은 공기의 1.2배이다.
2) 적응 화재
- 유류화재 (B급), 전기화재 (C급) ☆
- 밀폐된 상태에서 방출된 경우 일반화재(A급)에 사용가능 ☆
3) 장점 ☆☆
- 증발잠열이 커서 증발 시 많은 열량 흡수
- 기화 팽창율이 큼(15℃방출 시 534L/kg로 팽창)- 피연소물에 피해가 적고 증거보존이 용이하여 화재원인조사가 쉽다 ☆☆☆
- 압력이 커서 자체압력으로 방사 가능하고 외부의 방출용 동력이 필요없다☆
- 표면화재, 심부화재(공기비중이 1.5배로 심부까지 침투용이), 전기화재에 적용 가능 ☆☆- 장기보존 용이 ☆
- 추운 지방에서 사용 가능 ☆
- 진화 후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없음 ☆4) 단점
- 질식의 위험성이 있음
- 방사시 소음이 크다 ☆
- 기화 시 급랭하여 동상의 우려가 있음
- 흰색운무에 의한 가시도 저하
- 온실가스로서 지구온난화 유발물질
3. 화재 용어 중 화재실의 단위 시간당 축적되는 열의 양을 의미하는 것은?
① 훈소 ② 화재하중 ③ 화재강도 ④ 화재가혹도
답: 3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15
- 훈소(Smoldering): 밀폐된 공간에서 산소의 양이 부족한 상태에서 가연물이 열분해에 의해서 불꽃없이 가연성 가스 혹은 분해생성물만을 발생시키는 연소현상
4. 포소화설비에서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은?
① 라인 프로포셔너(line proportioner)
② 펌프 프로포셔너(pump proportioner)
③ 프레셔 프로포셔너(pressure proportioner)
④ 프레셔사이드 프로포셔너(pressure side proportioner)
답: 4번
풀이
포 소화약제 혼합방식
① 펌프 프로포셔너방식
-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정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
② 프레져 프로포셔너방식 ☆
-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ㆍ혼합하는 방식
③ 라인 프로포셔너방식 ☆
-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ㆍ혼합하는 방식
④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
-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⑤ 압축공기포 믹싱챔버방식
5. 존스(Jones)의 재해분류 중 기상학적 재해가 아닌 것은?
① 번개 ② 폭풍 ③ 쓰나미 ④ 토네이도
답: 3번
6. 위험물의 종류에 따른 일반적 성상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산화성 고체는 환원성 물질이며 황린과 철분을 포함한다.
② 인화성 액체는 전기 전도체이며 휘발유와 등유를 포함한다.
③ 가연성 고체는 불연성 물질이며 질산염류와 무기과산화물을 포함한다.
④ 자기반응성 물질은 연소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며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를 포함한다.
답: 4번
풀이
① 산화성 고체는 산화성 물질이며 황린은 3류 자연발화성물질이고 철분은 2류 가연성고체에 포함된다
② 인화성 액체는 비전도체이며 휘발유와 등유를 포함한다.
③ 산화성 고체는 불연성 물질이며 질산염류와 무기과산화물을 포함한다.
7. 위험물 지정수량이 다른 하나는?
① 탄화칼슘 ② 과염소산 ③ 마그네슘 ④ 금속의 인화물
답: 3번
풀이
8. 다음은 제1석유류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 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제1석유류는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 가 )이 섭 씨 ( 나 )도 미만인 것이다
답: (가) : 인화점 (나) 21
풀이
- 특수인화물: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100도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섭씨 - 20도 이하이고 비점이 섭씨 40도 이하인 것 ☆☆
- 제1석유류: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미만인 것 ☆☆
- 알코올류: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변성알코올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
가.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 내지 3개의 포화1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60중량퍼센트 미만인 수용액
나. 가연성액체량이 60중량퍼센트 미만이고 인화점 및 연소점(태그개방식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연소점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에틸알코올 60중량퍼센트 수용액의 인화점 및 연소점을 초과하는 것
- 제2석유류: 등유, 경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이상 7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에 있어서 가연성 액체량이 40중량퍼센트 이하이면서 인화점이 섭씨 40도 이상인 동시에 연소점이 섭씨 60도 이상인 것은 제외한다. ☆
- 제3석유류: 중유, 클레오소트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70도 이상 섭씨 20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
- 제4석유류: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00도 이상 섭씨 250도 미만의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
- 동식물유류: 동물의 지육 등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50도 미만인 것
9. 해방 이후의 소방조직 변천과정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옳게 나열한 것은?
ㄱ. 중앙에는 중앙소방위원회를 두고, 지방에는 도소방위원회를 두어 독립된 자치소방제도를 시행하였다.
ㄴ. 소방행정이 경찰행정 사무에 포함되어 시·군까지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국가소방체제로 전환되었다.
ㄷ. 서울과 부산은 소방본부를 설치하였고, 다른 지역은 국가소방체제로 국가소방과 자치소방의 이원화시기였다.
ㄹ. 소방사무가 시·도 사무로 전환되어 전국 시·도에 소방 본부가 설치되었다.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ㄴ → ㄹ → ㄷ
③ ㄴ → ㄱ → ㄷ → ㄹ
④ ㄴ → ㄱ → ㄹ → ㄷ
답: ㄱ -> ㄴ -> ㄷ -> ㄹ
풀이
1) 미군정시대 (자치소방체제, 1946-1948) ☆☆
- 1946. 독립된 자치소방제도를 최초로 시행
-> 중앙: 중앙소방위원회(소방청), 지방: 도 소방위원회(지방소방청) ☆☆☆
- 1947. 중앙소방위원회의 집행기구로 소방청을 설치
2) 정부 수립 이후(국가소방체제, 1948-1970) ☆
- 1948. 정부수립, 국가소방체제의 틀 속에서 경찰사무로 포함 ☆
- 중앙:내무무 치안국 소방과, 지방 : 경찰국 소방과 소방서
- 1958.3. 소방법 제정 ☆☆☆☆☆
(※ 소방법 제정시 의용소방대 설치 규정이 마련되었다) ☆
- 1969. 경찰공무원법 제정
3) 발전시기(국가, 자치 이원적 체제, 1971-1992) ☆☆
- 소방이 경찰로부터 독립성 확보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소방국
-> 지방 : 서울, 부산 자치 소방, 도민방위국 소방과
- 1972. 서울, 부산에 각각 소방본부 설치 ☆☆☆
- 1975. 민방위기본법 제정
- 1977. 국가·지방소방공무원에 대한 단일신분법이 제정 ☆
- 1978.3. 소방공무원법 제정(신분 : 소방공무원)
- 1978.7. 소방학교 설치 - 소방교육의 체계화
- 1983. 119구조대 설치 - 소방안전 문화의 정착
4) 현재(광역자치소방체제, 1992 ~ ) ☆
- 광역체제 정착(지방자치제 실시)
- 중앙 : 내무무 민방위본부 산하 소방국
- 지방 : 16개(시7, 도9) 시ㆍ도 광역체제 일원화
- 1992.4.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 설치 ☆
- 1995.1 신분 : 지방공무원
- 1995.10 중앙 119구조대 직제 공포
- 2004. 5. 4분법 제정
① 소방기본법 ②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③ 소방시설 공사업법 ④ 위험물 안전관리법
- 2004. 6. 소방방재청 개청 (대구지하철 사고를 계기로 신설) ☆☆☆☆
-> 소방방재청을 설립하여 소방업무, 민방위 재난, 재해업무까지 관장하였다 ☆
- 2008. 3. 소방방재청장(소방총감으로 임명)
- 2014.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하고 소방방재청을 국민안전처로 편입하여 국민안전처 소속 중앙소방본부
- 2017. 국민안전처가 행정안전부에 흡수, 통합되면서 행정안전부 산하의 소방청으로 신설 ☆
- 2019. 국가직전환으로 국가공무원법 적용
10. 연료지배형화재와 환기지배형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환기지배형화재는 공기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불완전연소가 심하다.
② 연료지배형화재는 공기공급이 충분한 조건에서 발생한 화재가 일반적이다.
③ 연료지배형화재는 주로 큰 창문이나 개방된 공간에서, 환기 지배형화재는 내화구조 및 콘크리트 지하층에서 발생하기 쉽다.
④ 일반적으로 플래시오버 전에는 환기지배형화재가, 이후에는 연료지배형화재가 지배적이다
답: 4번
풀이
일반적으로 플래시오버 전에는 연료지배형화재가 지배적이고 이후에는 환기지배형 화재가 지배적이다
1) 연료지배형 화재 ☆
- 재료의 특성에 지배받는 화재
- 화재초기엔 산소량이 충분하므로 연료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화재진행속도가 결정된다
- 주로 큰 창문이나 개방된 공간에서 발생하기 쉽다
- 환기지배형 화재에 비해 폭발성 및 역화현상이 작다 ☆
2) 환기지배형 화재 ☆☆☆
- 환기요소에 지배받는 화재
- 내화구조 및 콘크리트 지하층에서 발생하기 쉽다
- 산소량이 부족하고 연료량이 충분한 경우 산소량에 따라 화재진행속도가 결정된다
- 환기량에 비해 연료량이 충분하다
- 공기부족으로 불완전연소가 될 수 있고 백드래프트나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 밀폐된 공간으로 가연물의 양이 영향을 미친다
- 연료지배형 화재보다 연소가스가 더 많이 생성된다
- 환기요소 : A√H
(A: 개구부 단면적, H: 개구부 높이)
- 개구부 면적이 작으면 화재가 느리고 개구부 면적이 크면 화재가 빠르다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문제풀이 (0) 2021.12.23 2019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3 2019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21번~25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 2019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 2019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