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문제 풀이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22. 15:27728x90반응형
1.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상 의용소방대의 임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예방업무의 보조
② 구조· 구급· 업무의 보조 ·
③ 소방시설 점검업무의 보조
④ 화재의 경계와 진압업무의 보조
⑤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대피 및 구호업무의 보조
답: 3번
풀이
제7조(임무) 의용소방대의 임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화재의 경계와 진압업무의 보조
2. 구조ㆍ구급 업무의 보조
3.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대피 및 구호업무의 보조
4. 화재예방업무의 보조
5.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2.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상 위험물 및 지정수량이 올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
답: 5번
풀이
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상 다중이용시설의 관계인이 위기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을 작성하여 이에 따른 훈련을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0 m2인 판매시설
②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 m2인 운수시설 중 여객용 시설
③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0 m2인 숙박시설 중 관광 숙박시설
④ 바닥면적의 합계가 7,000 m2인 의료시설 중 종합 병원
⑤ 바닥면적의 합계가 8,000 m2인 문화 및 집회시설 ( 동물원 및 식물원은 제외)
답: 1번
풀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34조의 6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점유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기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이하 “위기상황 매뉴얼”이라 한다)을 작성ㆍ관리하여야 한다. 다만, 다른 법령에서 위기상황에 대비한 대응계획 등의 작성ㆍ관리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점유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이하 “다중이용시설등”이라 한다)의 관계인을 말한다.
1.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제17호가목에 따른 다중이용 건축물
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물
1) 문화 및 집회시설(동물원 및 식물원은 제외한다)
2) 종교시설
3) 판매시설
4) 운수시설 중 여객용 시설
5)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6)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4. 표준 상태에서 공기 중 가연물의 위험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된 것은?
답: ㄷ > ㄴ > ㄹ > ㄱ
풀이
위험도: H-L / L
ㄱ의 위험도: 12/4 = 3
ㄴ의 위험도: 30/3 = 10
ㄷ의 위험도: 13/1 = 13
ㄹ의 위험도: 30/6 = 5
5.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소는 빛과 열의 발생을 수반하는 급격한 산화반응이다.
② 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이다
③ 수소 기체는 아세틸렌 기체보다 연소범위가 더 넓다.
④ 가연물의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 위험성이 커진다.
⑤ 열분해에 의해 산소를 발생하면서 연소하는 현상은 자기연소이다
답: 3번
풀이
- 연소의 정의: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만나 빛과 열을 수반하며 급격히 산화하는 현상
- 연소의 3요소: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 연소범위 : 아세틸렌의 연소범위가 가장 넓다
- 가연물의 인화점, 발화점, 융점, 비점이 낮을수록 위험하다
- 자기연소: 분자 내에 산소를 가지고 있어 가열시 열분해에 의해 가연성 증기와 함께 산소를 발생하여 자신의 분자 속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에 의해 연소함
6. 응상폭발에 해당되는 것은?
① 저온의 액화가스가 상온의 물 위에 분출되었을 때와 같이 액상에서 기상으로의 급격한 상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현상
② 공기 중에 분출된 가연성 액체의 미세한 액적이 무상으로 되어 공기 중에 있을 때 점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일어나는 폭발현상
③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을 때에 착화원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현상
④ 공기나 산소가 섞이지 않더라도 가연성 가스 자체의 분해 반응열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현상
⑤ 대기 중에 기화하기 쉬운 가연성 액체가 유출되어 가연성 혼합기체가 대량으로 형성되었을 때 점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일어나는 폭발현상
답: 1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06
https://poo318.tistory.com/407
② 분무폭발: 공기 중에 분출된 가연성 액체의 미세한 액적이 무상으로 되어 공기 중에 있을 때 점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일어나는 폭발현상
③ 분진폭발: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을 때에 착화원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현상
④ 분해폭발: 공기나 산소가 섞이지 않더라도 가연성 가스 자체의 분해 반응열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현상
⑤ 증기운폭발(화학적폭발, 기상폭발): 대기 중에 기화하기 쉬운 가연성 액체가 유출되어 가연성 혼합기체가 대량으로 형성되었을 때 점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일어나는 폭발현상
7. 다음에서 설명하는 소화방법은?
비중이 물보다 큰 중유 등 비수용성 유류화재 시 무상주수하거나 포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유류 표면에 엷은 층이 형성되어 공기 중의 산소 공급을 차단시켜 소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① 제거소화법
② 유화소화법
③ 억제소화법
④ 방진소화법
⑤ 피복소화법
답: 2번
풀이
- 제거소화: 가연물을 제거하거나 공급을 중단시켜 소화시킨다
- 유화소화: 가연성액체(중질유; 제4류 위험물 중 제3석유류, 제4석유류) 화재 시 물을 무상으로 고압 방사하여 유화층을 형성시켜 유류의 증기압을 떨어뜨려 소화(에멀젼 효과)
- 억제소화: 부촉매를 활용하는 소화방법
- 방진소화: 제3분말소화약제에서 볼 수 있는 소화작용
- 피복소화: 비중이 공기의 1.5배 정도로 무거운 소화약제로 가연물의 구석구석까지 침투 피복하여 소화
8.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상 재난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재난관리정보에 해당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재난상황정보 ㄴ. 동원가능 자원정보 ㄷ. 시설물정보 ㄹ. 지리정보
답: ㄱ,ㄴ,ㄷ,ㄹ
풀이
- 재난관리정보: 재난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재난상황정보, 동원가능 자원정보, 시설물정보, 지리정보를 말한다.
9.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별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제살수식의 경우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된다.
② 건식의 경우 2차측 배관에 가압수를 충전시킨다
③ 습식과 일제살수식의 경우 감지기가 설치된다.
④ 습식의 경우 슈퍼비조리판넬(Supervisory Panel)이 설치된다.
⑤ 준비작동식의 경우 감지기와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다.
답: 5번
10. 건축물 내부화재 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광계수가 증가할수록 가시거리는 증가한다.
② 연기의 수직방향 유동속도는 수평방향보다 빠르다.
③ 굴뚝효과는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④ 화재실 내부에서 중성대의 상부 압력은 실외 압력 보다 높게 나타난다.
⑤ 열의 전달 방법 중 복사는 중간 매개체 도움 없이 발생하는 전자파에 의한 에너지의 전달이다
답: 1번
풀이
- 감광계수와 가시거리는 반비례한다
- 유동속도: 수평방향(0.5~1m/s) < 수직방향(2~3m/s) < 계단실내(3~5m/s)
- 굴뚝효과: 건축물 상, 하층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압력차 때문에 건축물 하부에서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고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가 천장 위쪽으로 올라가 빠져나가는 현상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21번~25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 2019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 2018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 2018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번~10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2 2018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21번~25번 기출문제 풀이 (0) 20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