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2016 소방공무원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20. 16:00
    728x90
    반응형

    11. 제2류 위험물 중 주수소화가 가능한 물질은 무엇인가?

    ① 금속분 ② 철분 ③ 마그네슘 ④ 적린

    답: 4번
    풀이
    2류 위험물 소화대책
    - 물에 의한 냉각소화
    - 황화린ㆍ철분ㆍ마그네슘ㆍ금속분은 건조사로 질식소화


    12. 화재 진압, 경계, 구조, 구급 등을 활동하기 위한 조직에 일원에 해당되는 사람은 누구인가?

    ① 의용소방대
    ② 자위소방대
    ③ 소방안전관리자
    ④ 위험물안전관리자

    답: 1번
    풀이

    1) 소방대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재난 ·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 · 구급 활동 등을 하기 위한 조직체 ☆

     

    2) 조직

    -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


    13. 분말 소화약제 소화효과에 옳지 않는 것은?

    ① 질식 ② 냉각 ③ 방사열 차단 ④ 희석

    답: 4번
    풀이
    1) 소화효과

    - 습기에 방지하지 못하면(습기에 약하면) 소화효과가 떨어진다
    - 유동성이 좋아야 소화효과가 높아진다

    ① 질식효과
    - 분말 소화약제가 열에 의해 분해될 때 CO2, NH3, 수증기 등의 불연성 기체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저하되어 나타나는 현상

    ② 냉각효과
    - 분말 소화약제가 열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되는 흡열반응과 고체분말에 의한 화염온도가 저하(고농도인 경우)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주된 소화효과는 아니다.

    ③ 부촉매효과
    - 분말 소화약제가 고온의 화염에 접하게 되면 그 일부가 분해되어 유리 할로겐(Na+, K+, NH4+ ) 이 발생되고 이 유리할로겐이 가연물의 활성라디칼(H-, OH-)인 연쇄전달체를 포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크게 하여 연소반응을 중단시켜 소화하는 작용으로 분말 소화약제의 주 소화효과이다

    ④ 방진효과
    - 섬유소를 탈수 탄화시킨 올소인산(H3PO4) 은 다시 고온에서 2차 분해되면 최종적으로 가장 안정된 유리상의 메타인산(HPO3)이 된다. 이 메타인산은 가연성물질이 숯불형태로 연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으로 숯불에 융착하여 유리상의 피막을 이루어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는 소화 효과로 재연소 방지효과가 커서 A급 화재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⑤ 탄화, 탈수효과
    - 제 1인산암모늄이 열분해 될 때 생성되는 올소인산(H3PO4)에 의해 종이, 목재, 섬유 등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소를 연소하기 어려운 탄소로 급속히 변화시키는 작용 (탈수 탄화작용) 에 의하여 섬유소를 난연성의 탄소와 물로 분해하여 연소 반응을 차단시키는 소화효과이다

    방사열 차단효과
    - 분말 소화약제가 방출되면 화염과 가연물 사이에 분말의 운무를 형성하여 화염으로부터의 방사열을 차단하는 효과


    14. 계급의 순서가 옳은 것은?

    ① 소방총감 - 소방준감 - 소방정감 - 소방정 - 소방감
    ② 소방총감 - 소방감 - 소방준감 - 소방정 - 소방정감
    ③ 소방총감 - 소방준감 - 소방정 - 소방감 - 소방정감
    ④ 소방총감 - 소방정감 - 소방감 - 소방준감 - 소방정

    답: 4번


    15. 중앙긴급구조 통제단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지문 변경)

    ① 중앙(긴급구조) 통제단의 단장은 행정안부장관이다.
    ② 중앙통제단은 소방청에 설치한다.
    ③ 중앙통제단 구성․기능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 중앙통제단장은 긴급구조를 위하여 필요하면 긴급구조지원기관 간의 공조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계 기관·단체의 장에게 소속 직원의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

    답: 1번 
    풀이

    중앙긴급구조통제단 (49조)

    ① 긴급구조에 관한 사항의 총괄ㆍ조정, 긴급구조기관 및 긴급구조지원기관이 하는 긴급구조활동의 역할 분담과 지휘ㆍ통제를 위하여 소방청에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이하 “중앙통제단”이라 한다)을 둔다. 

    ② 중앙통제단의 단장은 소방청장이 된다. (행정안전부장관X) 

    - 중앙통제단장은 중앙통제단을 대표하고, 그 업무를 총괄한다.

    - 중앙통제단에는 부단장을 두고 부단장은 중앙통제단장을 보좌하며 중앙통제단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 부단장은 소방청 차장이 되며, 중앙통제단에는 총괄지휘부ㆍ대응계획부ㆍ자원지원부ㆍ긴급복구부 및 현장지휘대를 둔다.

    ③ 중앙통제단장은 긴급구조를 위하여 필요하면 긴급구조지원기관 간의 공조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계 기관ㆍ단체의 장에게 소속 직원의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기관ㆍ단체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요청에 따라야 한다. 

    ④ 중앙통제단의 구성ㆍ기능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 국가 긴급구조대책의 총괄ㆍ조정
    • 긴급구조활동의 지휘ㆍ통제(긴급구조활동에 필요한 긴급구조기관의 인력과 장비 등의 동원을 포함한다)
    • 긴급구조지원기관간의 역할분담 등 긴급구조를 위한 현장활동계획의 수립
    • 긴급구조대응계획의 집행
    • 그 밖에 중앙통제단의 장(이하 “중앙통제단장”이라 한다)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16. 소화 적응성에 따른 표시 색상과 화제의 종류로 맞는 것은?

    ① A급 – 황색 - 일반화재
    ② B급 – 무색 - 금속화재
    ③ C급 – 청색 - 전기화재
    ④ D급 – 백색 - 유류화재

    답: 3번


    17. 건물화재 시 실내와 실외의 정압 같아지는 경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중심점 ② 중성대 ③ 상중점 ④ 안전대

    답: 2번


    18.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서 화재원인 조사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발화원인조사
    ② 인명피해조사
    ③ 연소상황조사
    ④ 발견 ․ 통보 및 초기 소화상황조사

    답: 2번

    풀이

    1) 화재원인조사 

    가. 발화원인 조사 : 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 발견, 통보 및 초기소화상황 조사 : 발견경위, 통보 및 초기소화 등 일련의 행동과정 

    다. 연소상황 조사 : 화재의 연소경로 및 연소확대물, 연소확대사유 등 

    라. 피난상황 조사 : 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마. 소방·방화시설 등 조사 : 소방·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2) 화재피해조사 

    가. 인명피해
    -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 화재진압 중 발생한 사망자 및 부상자 

     


    19. 다음 중 소방시설의 종류가 다른 것은?

     

    ① 상수도소화용수설비
    ② 연결살수설비
    ③ 연결송수관설비
    ④ 제연설비

    답: 1번

    풀이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용수설비에 속한다 

    연결살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제연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속한다 


    20. 건축물 70%가 손실 될 때 소실정도는?

    ① 전소 ② 반소 ③ 부분소 ④ 즉소

    답: 1번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