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2017 소방간부 소방학개론 11번~20번 기출문제 풀이
    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20. 23:38
    728x90
    반응형

    11. BLEVE(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액화가스탱크 등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액체가 비등하면서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용기가 파열되는 현상을 말한다.

    ② BLEVE 현상은 비등하는 액체가 팽창하여 용기가 파손되면서 분출하는 화학적 폭발 현상이며, 이때 분출되는 가스가 가연성 이면 가스가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물리적인 폭발이 이어질 수 있다

    ③ 탱크가 계속 가열되면 용기 강도는 저하되고 내부 압력은 상승하여 어느 시점이 되면 저장탱크의 실제압력을 초과하게 되고 탱크가 파괴되어 급격한 폭발현상을 일으킨다.

    ④ BLEVE 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저장된 물질의 종류와 형태, 저장용기의 재질, 주위의 온도와 압력상태 등이 있다.

    ⑤ 냉각살수장치 설치, 용기 내압강도 유지, 감압시스템 설치 등이 BLEVE 현상 방지에 도움이 된다.

     

    답: 2번 

    풀이 

    블레비: 비등액체 팽창 증기 폭발이나 평형파괴형 증기 폭발과 같은 물리적 폭발로 인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파열되면 내부 가열된 액화가스가 급속히 유출되면서 화구(fireball)를 형성하게 되고 화학적 폭발로 전이될 수 있다


    12. 가연물의 불완전연소에 의해 발생하며, 흡입하면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여 몸속의 산소운반을 방해하여 질식을 유발시키는 무색, 무취의 연소가스는?

    ① 일산화탄소(CO) ② 이산화탄소(CO2) ③ 이산화질소(NO2) ④ 암모니아(NH3) ⑤ 아황산가스(SO2)

     

    답: 1번 

    풀이 https://poo318.tistory.com/401


    13. 연소점(fire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연물에 점화원을 제거한 후에도 계속적인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온도

    ②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착화가 가능한 가연물질의 최저온도

    ③ 외부로부터의 직접적인 점화에너지 공급 없이 물질자체가 스스로 착화가 되는 최저온도

    ④ 물질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척도로 쓰이며, 위험물질관리법에서 석유류를 분류하는 기준으로도 사용

    ⑤ 고체의 연소점은 물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액체는 인화점과 연소점이 같음

     

    답: 1번

    풀이 

    인화점: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착화가 가능한 가연물질의 최저온도

    발화점: 외부로부터의 직접적인 점화에너지 공급 없이 물질자체가 스스로 착화가 되는 최저온도


    14. 화재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의 분류는 가연물의 종류와 성상,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금속화재, 가스화재 등으로 구분된다.

    ② 일반화재는 산소와 친화력이 강한 물질에 의한 화재로 연소 후 재를 남길 수 있는 대상물 화재를 말한다.

    ③ 유류화재는 화재 성장속도가 일반화재보다 느리며, 생성된 연기는 백색으로 연소 후에는 재를 남긴다.

    ④ 전기화재는 그 형태가 아주 다양하며 원인규명이 상당히 어려운 화재로 주로 누전, 과전류, 합선 혹은 단락 등의 발화가 그 원인이다.

    ⑤ 금속화재는 물과 반응하여 수소(H2)등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며, 물이나 물을 포함한 소화약제를 사용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답: 3번 

    풀이 


    15. 다음 건물화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 초기단계에서는 가연물이 열분해되어 가연성가스가 발생하는 시기이다.

    ② 화재 성장기단계에서는 실내에 있는 내장재에 착화하여 롤오버 등이 발생하며 개구부에 진한 흑색연기가 강하게 분출한다.

    ③ 최성기 이후에 플래시오버 현상이 발생하며, 이후 실내에 있는 가연물 또는 내장재가 격렬하게 연소되는 단계로서 실내온도가 최고온도에 이르는 시기이다.

    ④ 목조건축물은 건축물 자체에 개구부가 많아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여 격심한 연소현상을 나타내며, 고온단기형이다.

    ⑤ 내화건축물은 목조건축물에 비해 공기 유통조건이 일정하며 화재진행시간도 길고, 저온장기형이다.

     

    답: 3번 

    풀이

    - 건축물 화재의 진행단계 (실내화재) : 초기→ 성장기  flash over → 최성기→ 감쇠기

    - 초기: 가연물이 발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연물에 대한 가열이 선행되어야 하는바 이 과정이 화재의 초기단계에 해당한다. 즉 발화 이전의 가열단계이다.

    - 성장기: 건축물 실내에서 발화의 시점부터 Flash Over가 일어나기까지 진행되는 화재상황이 화재의 성장단계

    - 최성기: 실의 연기의 양은 적어지고 화염이 확대되고 개구부 밖으로 분출하고 연소가 가장 격렬한 시기이며 불완전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단계

    - 목조건축물과 내화건축물의 비교 


    16. 플래시오버(Flash Over)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래시오버 현상은 점화원의 위치와 크기, 가연물의 양과 성질, 개구부의 크기, 실내 마감재 등에 영향을 받는다.

    ② 열전도율이 작은 내장재일수록 플래시 오버 현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

    ③ 플래시오버 현상은 건축물 실내화재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④ 산소가 다량으로 유입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천장재보다 벽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개구부의 크기가 작을수록 플래시오버 현상을 촉진시킨다.

    ⑤ 천장부근에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어 어느 시기에 이르러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이다

     

    답: 4번

    풀이 

    산소가 다량으로 유입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천장재보다 벽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개구부의 크기가 작을수록  백드래프트 현상을 촉진시킨다.


    17. 소화약제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소의 요소 중 한 가지 이상을 제거 또는 차단할 수 있을 것

    ② 가격이 고가일 것

    ③ 인체에 독성이 없을 것

    ④ 환경에 대한 오염이 적을 것

    ⑤ 저장에 있어 변질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성이 있을 것

     

    답: 2번 

    가격이 저렴할 것 


    18. 가스화재 시 밸브를 차단시켜 가스공급을 중단시키는 소화방법의 소화원리로 옳은 것은?

    ① 냉각소화 ② 질식소화 ③ 제거소화 ④ 억제소화 ⑤ 희석소화

     

    답: 3번 


    19. 위험물의 유별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1류 위험물은 인화성액체로 인화위험이 높고, 비교적 발화점이 낮으며 증기비중이 공기보다 무겁다.

    ② 제2류 위험물은 가연성 고체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하기 쉬운 환원성 물질이다.

    ③ 제3류 위험물은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로 자연발화성 물질 및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물질이다.

    ④ 제5류 위험물은 자기반응성 물질로 외부로 부터 산소의 공급 없이도 가열, 충격 등에 의해 연소폭발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⑤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로 불연성이지만 산화성이 커서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다.

     

    답: 1번 

    풀이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액체로 인화위험이 높고, 비교적 발화점이 낮으며 증기비중이 공기보다 무겁다.


    20. 유류저장탱크 속의 물이 점성을 가진 뜨거운 기름의 표면 아래에서 끓을 때 화재를 수반하지 않고 기름이 넘쳐흐르는 현상은?

    ① 슬롭오버(Slop over)

    ② 후로스오버(Froth over)

    ③ 오일오버(Oil over)

    ④ 보일오버(Boil over)

    ⑤ 플래시오버(Flash over)

     

    답: 2번 

    - 보일오버: 유류탱크화재 시 탱크 유면에서부터 고온층이 확대되어 고온층이 탱크 하부에 있는 물을 가열, 비등시켜 발생된 수증기가 체적팽창에 의해 상층의 유류를 탱크 밖으로 분출시키는 현상

    - 슬롭오버: 중질유 탱크의 액 표면온도가 물의 비점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포나 소화용수를 방사했을때 증발된 수증기와 함께 유류가 급격한 부피팽창으로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

    - 오일오버:  탱크 내 유류가 1/2 이하로 채워진 상태에서 내부 압력상승으로 인한 폭발화재 현상

    - 프로스오버: 물에 의해 탱크 내 유류가 넘치는 현상으로 고온에서도 끈끈한 점성을 유지하고 있는 고점도 중질유 유류가 저장탱크 속에 물과 섞여 들어가 있을때 또는 유류표면 아래로 물이 유입되면서 물이 고점도 유류 아래에서 비등할때, 기름과 섞여있는 물이 갑자기 수증기화 되면서 탱크 내부에서 탱크 내의 이부 내용물을 넘치게 하는 현상

    - 플래시오버: 가연물의 착화와 열분해 시 생성된 가연성 가스가 천장아래에 축적되고 천장아래에 축적된 연기층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바닥면의 복사수열량이 증가될때 순간적으로 방전체가 급격하게 타오르는 화재확대현상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