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화재진압활동(3)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1. 11:28728x90반응형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 (1)
1. 출동준비 1) 소방장비점검, 정비 :교대점검, 정기점검, 정비 2) 각종조사 : 지리조사, 소방용수조사, 소방활동 자료조사 3) 교육훈련: 도상훈련. 소방훈련 4) 근무자세 2. 신고접수 1) 화재통보
poo318.tistory.com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2)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 (1) 1. 출동준비 1) 소방장비점검, 정비 :교대점검, 정기점검, 정비 2) 각종조사 : 지리조사, 소방용수조사, 소방활동 자료조사 3) 교육훈련: 도상
poo318.tistory.com
11. 방수(주수)
1) 직사주수
- 사정거리가 길고, 다른 방법에 비해 바람의 영향이 적으므로 화세가 강해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 유효하다.
- 원거리공격, 직접타격, 명중률, 연소물제거, 물의 침투효과가 있다 ☆
- 파괴력이 강해 창유리, 지붕 기와 등의 파괴, 제거 및 낙하위험이 있는 물건의 제거에도 유효하다. ☆
- 목표물에 대한 명중성이 있다
- 반동력이 커서 방향전환, 이동주수가 용이하지 않다.
- 장애물에 대해서는 주수 범위가 좁아 용이하다.
- 분무주수에 비해 소화시간이 짧다 ☆
- 옥외에서 옥내로 또는 지상에서 높은 곳으로 주수하는 경우 반사주수를 실시하면 유효하다. 단, 사정거리 및 사정각도에 주의한다.
- 전개형 분무관창을 사용하는 경우 관창의 압력이 0.3Mpa미만일 때는 관창수 1인, 0.3Mpa 이상일 경우는 관창보조가 필요하다. 반동력은 약 2Mpa이하가 적당하다
2) 고속분무주수
- 분무방수 중 가장 강하다 ☆
- 주수범위가 직사주수에 비해 넓다.
- 화점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는 소화에 유효하다.
- 연소저지에 유효하다.
- 닥트스페이스, 파이프샤프트 내 등의 소화에 유효하다
- 사정거리는 직사주수보다 짧다.
- 파괴력은 직사주수보다 약하다
- 감전의 위험은 직사주수보다 적다.
- 전도화염의 저지에 유효하다.
- 관창압력 0.6Mpa, 관창 전개각도 10~30°정도를 원칙으로 한다.
3) 중속분무주수
- 주수범위가 넓다. 따라서 연소실체에의 주수가 가능하다.
- 분무수막에 의한 냉각효과가 크다
- 검색 진입대원의 신체보호에 유효하다
- 소구획실 내에서의 소화 주수에 유효하다.
- 파괴를 필요로 할 때는 충격력이 약해 부적당하다.
- 전개각도에 의해 시야가 가려 전방의 상황파악이 어렵다
- 반동력이 적다.
-사정거리가 짧으므로 화열이 강한 경우는 연소실체에 직접 주수는 곤란하다.
- 바람과 상승기류의 영향을 받는다.
- 용기, 소탱크의 냉각에 유효하다.
- 소규모 유류화재, 가스화재의 소화에 유효하다
- 주수에 의한 감전위험은 비교적 적다.
- 관창압력 0.3Mpa이상, 관창 전개각도는 30도 이상으로 한다
4) 저속분무주수
- 간접공격법(로이드레만전법)에 가장 적합한 주수방법이다 ☆
- 입자가 적어서 기류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증발이 활발하다.
- 수손이 적고 소화시간이 짧다.
- 벽, 바닥 등의 일부를 파괴하여 소화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 간접공격법 (로이드레만전법)
내화건물 화재 시에 소방활동상 최대의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은 연기와 열이며, 이 연기와 열을 제거하기 위해 물의 흡열작용에 의한 냉각과 환기에 의한 열기와 연기의 배출을 보다 유효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
- 간접공격법의 전제조건
가. 연소물체 또는 옥내의 온도가 높은 상층부를 향하여 주수한다.
나. 고온에 가열된 증기에 의해 대원이 피해를 받지 않는 위치를 선정한다.
다. 주수시 개구부는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라. 가열증기가 몰아칠 염려가 있는 경우는 분무주수에 의한 고속분무로 화점실 천장면 에 충돌시켜 반사주수를 병행한다.
마. 천장 속 등의 부분은 분무주수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확산주수
- 보통 직사 또는 분무주수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광범위하게 주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 소방력이 적을 때의 방어에 유효하다
- 낙하물의 제거에 유효하다. 4) 냉각에 유효하다.
- 저압의 경우 잔화정리에 유효하다
6) 반사주수
- 직사주수 또는 분무주수로 한다.
- 직접 연소실체에 주수할 수 없는 곳(사각)의 소화에 유효하다.
- 옥외에서 옥내의 사각지점 소화에 유효하다.
- 내화건물 내 축적된 열의 냉각에 효과적이지만 수손방지에 대하여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주수효과의 확인이 곤란하므로 효과 없는 주수가 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7) 사다리를 활용한 주수
- 사다리 설치각도는 75도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
- 어깨에 거는 방법의 경우는 전개형 분무관창의 직사주수로 0.25Mpa가 한도이지만 허리에 대는 방법은 관창을 로프로 창틀 또는 사다리선단에 결속하면 0.3~0.4Mpa 까지도 방수할 수 있다.
- 개구부 부분의 중성대 유무에 따라 직사주수 또는 분무주수를 한다
- 배기구의 경우는 직사주수로 하고, 급기구의 경우는 직사주수 또는 분무주수를 한다.
- 옥외에서 진입이 곤란한 경우라도 개구부에서 직접 옥내에 주수할 수 있고 주수범위 가 넓다.
- 연소실체에 직사가 가능하고 반사주수에 의해 효과가 크다.
- 활동높이는 사다리 길이로 결정하되 3층 정도까지로 한다
- 사다리를 난간 등에 묶지 않은 경우에는 저압주수도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8) 사다리차를 활용한 주수
- 사다리각도는 75도 이하로 하고, 건물과 3~5m이상 떨어져 주수한다.
- 주수는 보통 관창구경 23㎜로 관창압력 0.9Mpa 이하로 하고 기립각도, 신장 각도, 풍압, 선회각도를 고려하여 실시한다
- 주수각도의 전환은 좌우각도 15도 이내, 상하 약 60도 이내로 하고 그 이상의 각도 가 요구되는 경우는 사다리의 선회, 연장, 접는 방법으로 한다
- 실내에의 주수는 반사주수를 원칙으로 하고, 밑에서 위 방향으로 주수하는 동시에 좌우로 확산되도록 한다.
- 사다리차를 활용할 수 있는 건물 등의 화재에 국한한다.
- 고층의 경우 옥외에서의 주수는 매우 유효하다.
- 개구부에서 직접 옥내에 주수할 수 있고 연소실체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
- 주수방향의 전환각도가 한정되고 있으므로 사각이 발생되기 쉽다.
9) 방수포 주수
- 사정거리가 길고 대량의 주수가 가능하며 화세를 일거에 진압하기에 유효한 방법이다. 그러나 수원이 쉽게 고갈되는 것이 단점이다.
- 진입 또는 접근 불가능한 화재와 극장 등의 높은 천장화재에 유효하다.
- 국부파괴를 겸한 주수에 유효하다.
- 대구획화재에 유효하다.
- 옥외로부터 소화가 가능하며, 화세가 강한 화재에 유효하다.
- 주수방향을 변경할 때는 반동력에 주의하여 서서히 조작한다.
- 방수개시 및 정지는 원칙으로 펌프차의 방수구 밸브로 조작한다.
10) 화재실의 소화주수
- 주수목표는 천장, 벽면, 수용물, 바닥면 등의 순서로 한다
11) 엄호주수
(1) 대원에 대한 엄호주수
- 관창압력 0.6Mpa정도로 분무주수를 한다.
- 관창각도는 60~70°로 하고 관창수 스스로가 차열을 필요로 할 때는 70~90°로 한다.
- 엄호주수는 작업중인 대원의 등 뒤에서 신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분무주수로 한다.
- 강렬한 복사열로부터 대원을 방호할 때는 열원과 대원 사이에 분무주수를 행한다
(2) 요구조자에 대한 엄호주수
- 요구조자가 있다고 생각되는 직근의 천장 또는 벽면으로 주수한다
- 유효사정을 확보하기 위해 고속분무(10~15°)주수한다
- 주수 종별은 반사주수 또는 상하 확산주수로 수막을 형성하여 차열한다.
12) 3D 주수기법
- 화재가 발생되어 연소중인 가연물질 표면과 실내 전체에 퍼져있는 연기 에도 주수하는 방식
- 펄싱(pulsing), 페인팅(painting), 펜슬링(penciling)으로 나눌 수 있다.
12. 파괴활동
1) 파괴기구활용
- 동력절단기, 가스절단기
2) 대상별 파괴요령
- 셔터, 문, 벽, 천장, 유리, 바닥, 엘리베이터 문, 루버, 갤러리, 닥트
3) 파괴에 의한 진입로 확보 및 엄호주수
13. 소방시설 활용
1) 자동화재탐지설비
2) 연결송수관설비
3) 연결살수설비
4) 옥내소화전 설비
5) 스프링클러 설비
6)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7) 제연설비
8) 방송설비
9) 방재센터
10) 비상콘센트설비
11) 무선통신보조설비
12) 연소방지설비
14. 기타활동
1) 조명작업
2) 비화경계
3) 수손(水損)방지
4) 잔화정리
5) 현장보존
6) 현장홍보
7) 현장철수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구조, 구급 행정관리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화재진압활동 요약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2)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 (1)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전략, 전술 (0)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