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2)소방공무원/소방학개론 2021. 12. 11. 11:04728x90반응형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 (1)
1. 출동준비 1) 소방장비점검, 정비 :교대점검, 정기점검, 정비 2) 각종조사 : 지리조사, 소방용수조사, 소방활동 자료조사 3) 교육훈련: 도상훈련. 소방훈련 4) 근무자세 2. 신고접수 1) 화재통보
poo318.tistory.com
8. 배연
1) 배연
- 연소하고 있는 건물에서 발생한 농연, 열, 연소가스를 계획적, 체계적으로 제 거하는 것
(1) 배연의 필요성
- 생명을 구하기 위해
- 호스연장과 관창배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 폭발의 효과를 막거나 줄이기 위해
- 연소확대를 제한하기 위해
(2) 유의점
- 건물 내부의 연기, 열기의 상태 건물상태, 인명위험의 유무를 판단하여 적시에 환 기를 해야 한다. 잘못 판단에 기초한 환기는 화재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고, 배출경 로가 되는 곳에 요구조자가 있는 경우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보통의 환기작업은 소방호스라인이 내부에 진입하여 진화작업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가 적절하다.
- 화재 건물의 특징이나 개구부, 풍향, 화점의 위치, 화재범위를 판단하여 개방 및 폐쇄해야 할 개구부를 결정해야 한다
- 자연환기방식, 강제환기방식 중에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선택하여 수평환 기 또는 수직환기를 실시한다.
4) 분류
(1) 자연배연 방식
가) 수직배연 건물의 경우 천장, 지붕의 배출구를 파괴 또는 개방하여 배출구로 하는 방식이다.
나) 수평배연 벽에 있는 창문이나 출입문을 개방하여 배연하는 방식이다.
(2) 강제배연 방식
가) 송풍기 활용: 회전식 강철 팬의 회전력에 의한 압력으로 배연하는 방식이다
나) 분무주수 활용: 분무주수에 의한 수압으로 배연하는 방식이다.
다) 배연차 활용: 배연차에 장착된 기계장치에 의해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이다.
라) 고발포 활용: 고발포 방사시의 압력에 의해 배연하는 방식
마) 제연설비 및 공기조화설비 활용: 건물에 설비된 제연설비 및 공기조화설비는 소방대의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으므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2) 자연환기에 의한 배연
가. 수직 배연
1) 배연요령
수직배연은 일반적으로 가열된 연기 및 유독가스를 지붕 등 윗방향으로 배출할수 있도록 지붕을 파괴하는 등의 환기구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배연방식은 화재 로부터 생성된 뜨거운 가스를 배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지붕파괴가 힘든 내화구조의 콘크리트 지붕 등의 수직배연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한 건물의 경우는 최상층의 창문이나 옥탑 등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배연하는 방법을 취해야 한다.
2) 유의점
가) 부적절한 강제 환기와 병행하면 자연환기는 그 효과가 감소한다.
나) 유리창의 과잉파괴가 행해지면 수직 환기 효과가 감소한다.
다) 배연이 되고 있는 수직 환기구나 통로에서 주수를 하면 기류의 방향을 돌려놓는 결과가 되므로 주의한다.
나. 수평 배연
1) 배연요령
창문이나 출입문처럼 벽에 있는 출구를 통하여 연기가 빠져나가게 하는 것을 수평배연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수직배연을 하기에 알맞은 건물이 수평배연에도 좋다. 수평배연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서 풍상방향의 개구부를 급기구로 풍하방향의 개구 부를 배출구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2) 유의점
바람이 불지 않을 때에는 수평배연의 효과가 감소한다.
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곳은 급기구와 배기구 설정에 유의 한다
나) 아래층에서 배출된 연기가 상층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3) 송풍기 활용 배연
강제배연 방식 중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배연방법으로서 자연환기와 더불어 강제 환기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면 송풍기 등의 강제배연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가. 활용 요령
송풍압력으로 건물 외부의 압력보다 건물 내의 압력을 높게 하여 배연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하단 등 낮은 장소에 설치하여 불어넣는 방식을 주로 쓰고 있 으며 (양성압력형 환기법), 때로는 배출구에서 배출가스를 뽑아내는 방식(음성입력형)도 사용하고 있다. 송풍기를 활용한 배연은 동력원에 의존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1) 소방대원이 실내에 진입하지 않고도 강제 환기를 시작할 수 있다.
2) 자연환기의 흐름을 보충하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 환기의 효과와 같다.
3) 설치하기가 편리하고 배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4) 모든 건물이나 도관에 응용할 수 있다.
나. 유의 사항
송풍기 배연은 기계의 힘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사항에 유의하여 지속적으로 감독해야 한다.
1) 송풍기는 자연바람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여 효율성을 배가하여야 한다.
2) 송풍기 근처의 창문이나 출입문은 가능한 한 폐쇄하여 공기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 록 해야 한다.
3) 출입구에 송풍기를 설치할 경우 송풍기에서 나온 공기의 원추(圓錐)가 입구를 완전 히 덮을 수 있도록 출입구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둔다.
4) 배출구의 크기와 급기구의 크기가 같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5) 공기가 너무 많이 공급되게 하여 오히려 급격하게 연소 확대될 우려가 있으므로 특 히 유의하여야 한다.
6) 배출구가 되는 방향의 요구조자나 활동대원의 안전을 확인한 후 실시한다.
4) 분무주수를 활용한 배연·배열
가. 일반적 유의사항
화점실의 형상 또는 연소상황에 따라서 확산주수를 하거나 또는 분무주수로 전환하 여 간다. 그런데 통상의 방어활동의 상황을 보면 소화효과의 전제조건을 생각하지 않고 연기가 체류하면 무조건 분무주수에 의해 배연, 배열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나. 분무주수에 의한 배연요령
급기구측에서 분무주수하여 기류를 이용하는 배연방법이다.
1) 관창 전개각도 60도 정도로 급기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거리를 주수 위치로 선정 한다. 개구부가 넓은 경우에는 2구이상의 분무주수로 실시한다.
2) 관창압력은 0.6Mpa이상 분무주수를 한다.
3) 배기구측에 진입대가 있을 때는 서로 연락을 취해 안전을 배려하면서 주수한다.
5) 상황별 배연작전
1) 인명구조 중점의 배연작전
2) 화재진압 중점의 배연작전
3) 폭발방지 중점의 배연작전
4) 확산방지 중점의 배연작전
5) 고층건물20)화재 배연작전
9. 소방호스 연장
1) 소방호스 취급
- 소방호스 사리기 및 결합
- 소방호스의 적재
- 평면형 적재
- 혼합형(특수형) 적재
- 소방호스 운반·전개
- 소방호스 연장의 원칙과 관창배치
2) 옥내 소방호스연장
- 선착대 호스전개
- 2착대 호스전개
- 부적절한 호스배치
- 호스전개 효과평가
- 계단을 사용한 연장
- 연결송수관 설비 활용
- 고정소화설비의 활용
- 샤프트 화재(Shaft Fires)
- 공격적 내부진압전술
- 안전한 내부진압활동
3) 옥외소방호스연장
- 옥외계단의 연장
- 개구부를 통한 연장
4) 소방호스지지 및 결속
- 소방호스지지 요령
- 결속(고정)요령
5) 방화문 부분 통과요령
6) 소방호스의 추가연장 및 교체
10. 관창배치
1) 관창배치
2) 경계관창배치
출처
교재 및 강의자료< 자료실< 정보공개< 중앙소방학교
※ 미리보기가 안될 시 팝업차단 해제 후 이용 바랍니다.
www.nfsa.go.kr
728x90반응형'소방공무원 > 소방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화재진압활동 요약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화재진압활동(3) (1)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단계별 화재진압활동 (1)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전략, 전술 (0) 2021.12.11 [소방학개론] 11. 소방기능 - 소방활동 등 (소방력, 소방대, 소방활동, 소방신호) (0)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