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6 소방간부 화학개론 (11번 ~ 15번)
    소방공무원/화학개론 2021. 11. 30. 11:33
    728x90
    반응형

    답: 2번

    풀이 : 전극에서 생성되고 소모된 물질의 양은 전지를 통해 지나간 전기량과 비례한다 

     

    < 패러데이 법칙 >

    물리학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간 유도현상을 설명하는 것


     

    답: 5번 

     

    풀이 

    - SO3H : 설폰산기 / -OH: 알코올기 / -CHO: 알데하이드기 / -COOH3 존재X

     


    답: 2번 

    풀이 

    ① 음이온을 먼저 부르고 양이온을 나중에 부른다 

    ③ 금속이온의 이름은 바꾸지 않으나 산화상태는 로마 숫자로 쓴다 

    ④ 착음이온에서 중심금속의 산화상태는 로마숫자로 나타내고 이온의 이름은 끝을 -ate로 바꾼다 

    ⑤ 음이온 리간드의 이름은 끝에 -o를 붙인다. 

    < 배위결합물(배위화합물) 의 명명법 > 

    https://slidesplayer.org/slide/15128564/

     

    https://slidesplayer.org/slide/15128564/

     


    답: 3번 

     

    풀이 

    탄소 원자의 작은 결정이 규칙하게 모여 있는 무정형 탄소 

     

    < 탄소의 동소체 >

    빠강화학 

    1. 무정형탄소

    - 결정성 구조를 갖지 않은 탄소

    - 탄소원자들은 작은 범위 내에서 흑연과 거의 같은 규칙적인 배열을 하지만 넓은 범위에서는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지 않다

    - 숯, 검댕, 활성탄 등 

     

    2. 다이아몬드

    - 정사면제

    - 중심에 있는 탄소 원자가 정사면체의 꼭짓점에 있는 다른 탄소 원자 4개와 결합하고 있는 입체적 그물구조

    - 매우 단단하고 전기전도성이 없다 

     

    3. 흑연

    - 탄소 원자 1개가 다른 탄소원자 3개와 결합하여 정육각형 모양이 반복되어 있는 판을 이루고 판이 쌓여 정육각형모양의 층상구조를 가진다

    - 평면에 있는 탄소원자들은 강한 결합을 하고 있지만 평-평 사이의 인력은 약한 편이어서 힘을 가하면 탄소 층들은 잘 떨어진다 

    - 전기전도성이 있다 

    - 코크스나 무연탄을 전기 가마에서 2200 ~ 3000도로 가열하여 제조한다 

    - 윤활제나 건전지의 전극으로 이용된다

    - 열이나 화학약품에 강하여 전극 도가니 등에 이용된다 

     

    4. 플러렌

    - 탄소원자 60개가 육각형과 오각형 모양으로 결합한 축구공 모양의 분자

    - 탄소원자 1개는 다른 탄소원자 3개와 결합하고 있다

    - 밀도가 작다 

     

    5. 탄소나노튜브

    - 탄소워자 1개가 다른 탄소원자 3개와 결합하여 정육각형 모양이 반복되어 있는 얇은 탄소층이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구조의 물결이다

    - 강도가 매우 높고 전기와 열전도성이 매우 크다 

     

     


    답: 3번 

    - 남반구의 봄철인 9월과 10월 사이에 오존층이 많이 얇아지고, 11월경이 되면 오존층은 다시 원상태로 회복된다.

    - 북반구의 오존전량은 봄에 뚜렷한 최대값을 갖고 여름부터 가을까지 값이 낮아지는 계절변동을 보인다. 이는 늦가을과 겨울동안 열대지방에서 극지방으로 오존 수송이 증가하여 봄철 고위도에서 최댓값을 보인다.

     

    < 오존층 >

    지구 대기와 오존층의 모식도 © Salawitch et al, WMO, 2019

    - 오존의 약 90%가 성층권에 들어 있다.

    - 지상 20~30km에 걸친 상공의 성층권에 비교적 고농도의 오존이 존재하는 층

    - 온도 분포가 주로 오존의 복사성질에 의해 결정되며, 지상 25 km 부근의 농도가 가장 높다

    - 공기 중에 풍부한 산소 분자(O2)가 태양의 자외선을 만나면 두개의 산소원자(O)로 분리되고,다시 이 산소원자(O)가 다른 산소분자(O2)결합하여오존(O3)이 생성된다.

    - 오존은 자외선을 흡수해서 분리되어 파괴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태양의 자외선은 성층권 내에서 오존층의 균형을 자연적으로 유지시켜 주고, 또 오존은 태양의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지구상의 생명체들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 성층권에서의 오존은 생성과 파괴에 의하여 평형을 이룬다.

    - 오존은 주로 다음 식에 의하여 지상 30km이상에서 2420이하의 자외선에 의하여 산소 분자가 산소 원자로 해리되는 반응에 의하여 시작된다. => O2  hv  O + O

    -오존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기오염물질 중 질소산화물,탄화수소,일산화탄소, 메탄들은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오존 형성에 촉매역할을 하는 휘발성 유기물은 석유화학 정제공장, 석유저장고, 주유소 등으로부터 주로 배출된다

    - 남반구의 봄철인 9월과 10월 사이에 오존층이 많이 얇아지고, 11월경이 되면 오존층은 다시 원상태로 회복된다.

    - 북반구의 오존전량은 봄에 뚜렷한 최대값을 갖고 여름부터 가을까지 값이 낮아지는 계절변동을 보인다. 이는 늦가을과 겨울동안 열대지방에서 극지방으로 오존 수송이 증가하여 봄철 고위도에서 최댓값을 보인다.

     

     

     

     

    참고

    http://www.climate.go.kr/home/10_wiki/index.php/%EC%84%B1%EC%B8%B5%EA%B6%8C_%EC%98%A4%EC%A1%B4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SCTM00136692

    https://rtocare.tistory.com/entry/%EB%8C%80%EA%B8%B0%ED%99%94%ED%95%99

    위키백과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