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감식평가기사]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관련 문제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2021. 11. 6. 09:36728x90반응형
1.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화재출동시의 상황파악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2017)
조사관은 출동 도중이나 현장에서 관계자 등에게 질문을 하거나 현장의 상황으로부터 ( 화기관리 ), ( 화재의 발견 ), ( 신고 ), ( 초기소화 ), ( 피난상황 ), ( 인명피해상황 ), ( 재산피해상황 ), ( 소방시설의 사용 및 작동상황 ) 등 화재개요를 파악하여 현장조사의 원활한 진행에 노력하여야 한다
제39조(화재출동시의 상황파악)
① 화재현장에 출동하는 직원은 출동 중에도 조사에 도움이 되는 사항을 확인하여야 하며 화재현장에서도 소방활동을 통한 상황파악을 하여 조사업무에 협조하여야 하고 119안전센터 등의 선임자는 화재시 별지 제5호 서식에 따라 지체없이 화재현장 출동보고서를 작성하여 조사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007.3.22. 본항개정)
② 조사자는 출동도중이나 현장에서 관계자 등에게 질문을 하거나 현장의 상황으로부터 화기관리, 화재의 발견, 신고, 초기소화, 피난상황, 인명피해상황, 재산피해상황, 소방시설의 사용, 작동상황 등 화재개요를 파악하여 현장조사의 원활한 진행에 노력하여야 한다.
③ 제2항의 현장에서 관계자 등의 질문은 신속, 정확히 하여야 하며 진실한 진술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2.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소화방화시설 활용조사서상 소화시설 종류 4가지를 쓰시오.(2014)
① 소화기구
②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 소화설비
③ 옥내소화전설비
④ 옥외소화전설비3. 소방방화시설 활용조사서 소화활동설비 6가지를 쓰시오 (2013, 2019)
① 연소방지설비
② 연결송수관설비
③ 연결살수설비
④ 제연설비⑤ 비상콘센트설비
⑥ 무선통신보조설비
4.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13)
① 최종잔가율의 정의는?피해물의 경제적 내용연수가 다한 경우 잔존하는 가치의 재구입비에 대한 비율
② 건물, 부대설비, 구축물, 가재도구의 최종잔가율은 ?20%
③ 차량의 최종잔가율은?
10%
✶ 건구 부가세 20%
5.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다음에 알맞은 화재조사 용어의 정의를 쓰시오.(2018)① 화재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② 재구입비화재 당시에 피해물과 같거나 비슷한 것을 재건축(설계감리비 포함) 또는 재취득하는데 필요한 금액
③ 잔가율
화재 당시에 피해물의 재구입비에 대한 현재가의 비율
6.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용어를 정의하시오 (2014)
① ( 화재 )란 사람의 외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② ( 재구입비)란 화재 당시의 피해물과 같거나 비슷한 것을 재건축(설계 감리비를 포함) 또는 재취득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말한다.
③ ( 잔가율 )이란 화재 당시에 피해물의 재구입비에 대한 현재가의 비율을 말한다
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2조(용어의 정의)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2. "조사"란 화재원인을 규명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산정하기 위하여 자료의 수집, 관계자 등에 대한 질문, 현장확인, 감식, 감정 및 실험 등을 하는 일련의 행동을 말한다.
3. "감식"이란 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하여 주로 시각에 의한 종합적인 판단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을 말한다.
4. "감정"이란 화재와 관계되는 물건의 형상, 구조, 재질, 성분, 성질 등 이와 관련된 모든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 방법에 의한 필요한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화재원인을 밝히는 자료를 얻는 것을 말한다.
5. "조사관"이란 화재조사업무를 총괄하는 간부급 소방공무원을 말한다.
6. "조사자"란 화재조사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을 말한다.
7. "관계자 등"이란 소방기본법 제2조제3호에 의한 관계인과 화재의 발견자, 통보자, 초기 소화자 및 기타 조사 참고인을 말한다.
8. "발화"란 열원에 의하여 가연물질에 지속적으로 불이 붙는 현상을 말한다.
9. "발화열원"이란 발화의 최초원인이 된 불꽃 또는 열을 말한다.
10. "발화지점"이란 화재가 발생한 부위를 말한다.
11. "발화장소"란 화재가 발생한 장소를 말한다.
12. "최초착화물"이란 발화열원에 의해 불이 붙고 이 물질을 통해 제어하기 힘든 화세로 발전한 가연물을 말한다.
13. "발화요인"이란 발화열원에 의하여 발화로 이어진 연소현상에 영향을 준 인적·물적·자연적인 요인을 말한다.
14. "발화관련 기기"란 발화에 관련된 불꽃 또는 열을 발생시킨 기기 또는 장치나 제품을 말한다.
15. "동력원"이란 발화관련 기기나 제품을 작동 또는 연소시킬 때 사용되어진 연료 또는 에너지를 말한다.
16. "연소확대물"이란 연소가 확대되는데 있어 결정적 영향을 미친 가연물을 말한다.
17. "재구입비"란 화재 당시의 피해물과 같거나 비슷한 것을 재건축(설계 감리비를 포함한다) 또는 재취득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말한다.
18. "내용연수"란 고정자산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수를 말한다.
19. "손해율"이란 피해물의 종류, 손상 상태 및 정도에 따라 피해액을 적정화시키는 일정한 비율을 말한다.
20. "잔가율"이란 화재 당시에 피해물의 재구입비에 대한 현재가의 비율을 말한다.(2007.3.22. 본호개정)
21. "최종잔가율"이란 피해물의 경제적 내용연수가 다한 경우 잔존하는 가치의 재구입비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22. "화재현장"이란 화재가 발생하여 소방대 및 관계자 등에 의해 소화활동이 행하여지고 있는 장소를 말한다.
23. "상황실"이라 함은 소방관서 또는 소방기관에서 화재·구조·구급 등 각종 소방상황을 접수·전파 처리 등의 업무를 행하는 곳을 말한다.
24. "소방·방화시설"이란 소방시설 및 방화시설을 말한다.
728x90반응형'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감식평가기사] 화재분류, 화재조사 (0) 2021.11.07 [화재감식평가기사] 세탁기, 냉장고, TV, 퓨즈 (0) 2021.11.07 [화재감식평가기사] 화학반응식 문제 (0) 2021.11.07 [화재감식평가기사] 전기 계산문제 (0) 2021.11.06 [화재감식평가기사] 탄화심도, 무염화원 (0)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