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물리적처리시설(부상, 여과)환경직공무원/수질 2021. 11. 4. 12:20728x90반응형
Q. 용존공기를 이용한 부상조 설계를 위해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공기 용해도
∨ ② 유입공기 속도
③ 압력 탱크의 고형물 농도
④ 공기/고형물의 비
Q. 다음의 폐수 중 부상분리법으로 처리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제지업에서의 초지폐수
② 유지공업에서의 추출폐수
③ 석유 정제업에서의 세척폐수
∨ ④ 비금속광물 공업에서의 수세식 분별폐수
Q. 부상효과를 크게 하지 못하는 내용은?
∨① 온도를 내린다.
② 접촉시간을 길게 한다.
③ 작은 거품을 발생시킨다.
④ 기포제를 주입한다.
Q. 완속모래 여과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기출)
① 휴믹산 등에 의한 천연발생 색도는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② 역세척 과정이 없다.
③ 여과조 표면에 적정량의 조류 생성은 여과효율에 도움이 된다.
∨④ 용존성 유기물은 제거되지 않는다.
Q. 여과지 운전 중에 발생하는 주요 문제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여재의 비활성화
② 진흙덩어리의 축적
③ 여재층의 수축
④ 공기 결합
Q. 급속 여과법으로 고액분리를 할 때 입자의 제거 메카니즘(mechanism)에 맞지 않는 것은?
① 여재와의 충돌로 입자가 분해되어 미세입자가 포집된다.
② 여재의 공극이 체(sieve)거름 효과를 가져온다.
③ 입자 상호간 또는 여재와의 흡착 및 부착이 포집효과 갖는다.
∨④ 입자가 여과 매층 위에 형성된 미생물층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Q. 폐수처리용 급속여과에 관한 다음의 기술 중 틀린 것은?
① 급속 여과층의 억류 작용은 기계적 저지작용 및 응착물에 의한 저지 작용이다.
② 급속 여과는 응집 침전 및 여과조직에 충분한 숙련이 요구된다.
③ 완속용 여과사보다는 큰 입도의 여과사를 이용한다.
∨④ 급속여과는 일반적으로 저오탁도의 원수에 적합하다.
Q. 정수과정 중 모래여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완속여과에서는 여과표면에 증식한 미생물군에 의해 수중의 불순물이 흡착 산화분해 된다.
② 완속여과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수 탁도가 연 최고 10 NTU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③ 완속여과는 본질적으로 표면여과이다
∨④ 급속여과시 여과지의 모래층 상부수심은 90cm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⑤ 급속여과의 여과속도는 120~150 m/day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Q. 급속여과의 특징으로 다음 중 맞는 것은?
① 넓은 면적이 소요된다.
② 유지비가 적게 든다.
∨③ 역세척이 필요하다.
④ 유기물 및 무기물의 용존 물질을 제거한다.
Q. 다음은 정수과정 중 여과에 대한 설명들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4~5 m/day을 표준
∨② 완속여과의 모래층의 두께는 40~60 cm을 표준
③ 급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120~150 m/day을 표준
④ 급속여과의 모래층의 두께는 60~70 cm을 정도
Q. 다음 중 급속여과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모래층 두께는 60~70cm의 범위로 한다.
∨ ② 여과모래의 유효경은 0.3~0.45mm이다.
③ 여과속도는 120~150m/day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④ 여과모래의 균등계수는 1.7이하로 한다.
● 부상 (물리적처리)
1. 부상방법
1) 용존공기부상(dissolved air flotation; DAF)
- 전처리에서 형성된 플록에 미세기포를 부착시켜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침전공정의 효과적인 대안
- 부상된 슬러지를 걷어내며 용존공기부상지의 바닥쪽으로는 맑은 물이 남는다.
- 플록형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재래식 침전공정보다 짧으며 플록형성지에서 수리적 표면부하율은 재래식 침전지
의 10배 이상이다.- 발생슬러지의 고형물농도는 침전에서 발생된 슬러지의 농도(0.5 %)보다 훨씬 높다(2∼3 %)
- 부상지의 크기는 처리수량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한다.
- 부상지의 유입부는 처리수가 균일하게 분배되는 구조로 한다.
- 부상분리지는 슬러지가 충분히 부상하고 부상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와 제거설비를 구비
한다.
- 부상지의 유출구는 부상슬러지나 침전슬러지를 유출시키지 않는 구조와 높이로 한다.
- 반송부하량은 부상분리에 적합한 수량으로 한다.2) 공기부상
3) 진공공기부상
● 여과 (물리적처리)
① 균등계수: U = P60 / P10
P10 = 전체 모래 무게 10% 통과시킨 체눈의 크기(유효경)
P60 = 전체 모래 무게의 60% 통과시킨 체눈의 크기
- 균등계수가 클수록 큰 입자의 혼합차가 크고 모래의 공극률이 작아지고 여과저항이 증대한다
- 균등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입도분포가 양호하며 이보다 커지면 불량해진다
- 여과지의 운전에 따라 발생하는 공극률의 감소는 여과저항 증가의 원인이 된다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교재 248p / 시대고시기획 ② 완속여과
- 부유물질 외에 세균도 제거가 가능하다
- 저탁도 원수의 처리에 적합하다
- 완속여과속도는 4~5m/day
-
③ 급속여과
- 급속여과속도는 120~150m/day를 표준으로 한다
- 급속여과는 완속여과보다 처리용량이 면적에 비해 크고 대규모 처리에 적합하다
- 고탁도 원수 처리에 적합하다
728x90반응형'환경직공무원 > 수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 (흡착, 이온교환) (0) 2021.11.04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화학적처리시설 (응집) (0) 2021.11.04 [수질] 수질오염 방지기술, 물리적처리시설 (침전지, 침전) (0) 2021.11.04 [수질] 수질오염방지기술, 물리적처리시설(스크린, 침사지) (0) 2021.11.04 [수질] 독성, LD50, LC50 (0) 2021.11.02